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포항역
(r8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정보 == [[2015년]] [[4월 2일]]에 [[동해선]] 일부 구간 복선전철화 및 [[건천연결선]]이 완공되면서 [[북구(포항)|북구]] [[흥해읍]] 이인리로 이전했다. 초기구상에서는 [[보령종합터미널]]과 함께 이전한 [[장항선]] [[대천역]]의 사례처럼 [[포항터미널]]도 같이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쌍도교통]]에서 규모를 축소하여 [[포항터미널]]의 이전은 취소되었다. 역사 구내는 현재 [[강릉선 KTX]] 및 [[경강선]]의 종점역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인 [[강릉역]] 신역사처럼 원형으로 되어 있다. 역 구내는 전형적으로 네모난 역사인 [[경주역]]보다 상대적으로 단촐하고, 규모도 살짝 작다. 포항역 이설과 함께 경주 - 포항 간 복선전철이 들어서 일반열차의 안강 - 부조 - 포항 구간 역시 신선으로 이설되었다. 新 [[부조역]]에서 [[효자역(경북)|효자역]] 구간인 옛 동해선 구간은 사실상 괴동선으로 편입되었다가 2021년 12월 28일부터 완전히 [[괴동선]]으로 편입되어 철강화물 수송업무만 본다.[* 참고로 일반열차는 부조신호장에서 분기하여 [[경주역(폐역)|구 경주역]]으로 운행하다가 [[2021년]] [[12월 28일]]에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현 [[경주역]]으로 운행한다.] 포항발 [[KTX]] 구간의 노선 명칭은 [[동해본선]](안내상으로는 포항행 KTX만 사용)으로, [[경부고속선]]과 기존 [[동해선]]의 연결선(3.9km)은 [[건천연결선]]으로 각각 결정되었다. 밤에는 문이 잠겨있다가 첫차 50분 전 문이 열린다.[* 2023년 7월 25일 기준] 영덕, 울진 방면 수요가 기대되는데, 소요시간은 편도 34분, 포항~영덕 시외버스의 배차 간격과[* 평균 30분,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1시간.] 강구, 영덕방면 [[7번 국도]]의 평면교차로와 수많은 신호등 및 차량정체를 생각해 보고[* 실제로 여름휴가철에는 '''[[주차장]]'''이자 '''[[지옥]]'''이 되어버리기 일쑤다. 설령 그 시간이 아니더라도 출퇴근시간이나 주말에는 영덕에서 포항으로 오는 나들이객,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인해 차가 굉장히 많다. 거기다가 신호까지 많으니 도저히 움직일 수가 없으므로 대기시간을 굉장히 많이 잡아먹게 되어 대기시간을 버틸 수가 없다.], [[영덕역]]의 위치를 고려해 보면, KTX 환승 수요까지 더해 이용객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12월에는 포항영일만항으로 이어지는 [[화물철도]]인 [[동해본선/영일만항 지선|영일만항선]]이 개통했다. [[포항시]]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요람과도 같은 곳이기 때문에 당연히 [[TMO]]가 설치되어 있다. 구역 [[TMO]]는 역 광장 왼쪽을 바라보면 보이는 컨테이너 건물에 있었다. 신역은 1층[* 2층으로 올라가지 말고, 오른쪽으로 가면 보인다.]에 [[TMO]]가 설치되어 있다. 포항역 특산물판매소 옆 의자에는 USB 포트[* 5V 1A]가 포함된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 등을 충전해야 할 사람은 참고하도록 하자.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