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포항역
(r8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대중교통 === [youtube(-lYcWD9jk7M)] 하지만 이런 점은 어디까지나 자차나 택시의 경우이고, [[포항시 시내버스|시내버스]]의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매우 떨어진다. [[북구(포항)|북구]]도 장량동 등 일부 지역은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마당에,[* [[포항 버스 121|121번]]이 있긴 하지만 초곡지구를 한 바퀴 돌고 장량동 중앙으로는 들어오지 않는다.] [[남구(포항)|남구]] 지역(효자, 지곡, 대잠, 이동 한정)[* 문덕이나 오천 등은 305번이 1번에 이어주기 때문에 환승까지는 필요없다.] 주민들이나 [[포스코]] 철강산단에 근무하는 직원같은 경우는 포항역에 가려면 대중교통 이용 시 환승은 필수이고, 소요시간도 기본 50분 잡아야 한다. [[남구(포항)|남구]] 상도동에 있는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에서 포항역으로 갈 때는 시내버스 기준으로 기본 40분 잡아야 한다. 포항역까지 가는 데 드는 시간과 배차간격[*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동대구 ↔ 포항]] 시외버스는 8시~20시 시간대에 배차간격이 15분까지 줄어든다. KTX의 경우 배차간격이 15분에서 1시간 15분까지 벌어지며 그 외 열차도 자주 다니지 않는다.]을 고려했을 때,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로 가는 것에 비하면 메리트가 부족해지는 게 단점이다.[* (포항시청 출발, 동대구 도착 기준) 포항역 이용 vs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이용 비교 / 포항역 이용시 - 총 85분 (포항시청 - (50분) - 포항역 - (35분) - 동대구역) / 시외터미널 이용시 - 총 90분 (포항시청 - (15분) - 시외터미널 - (75분) -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그래서 KTX 개통 후 버스의 수요를 빼앗아 온 경주나 울산과는 달리 [[포항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의 고속버스 수요를 완전히 빼앗아 오지 못했다. 하지만 KTX의 충격은 가시지 않았는지, 2017년 이후에는 KTX의 영향으로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 수요 1위이던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동대구 ↔ 포항]] 시외버스의 이용객은 [[시외버스 부산-포항|포항발 부산행 시외버스]]보다 수요가 줄었다.[* 그러나 부산행 버스도 2016년 4월 7일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부산서부-포항 노선]] 개통, 2017년 11월 1일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해운대]] 노선 개통으로 수요가 어느 정도 준 상태이다.][* 단, 남구에서 강남으로 가는 SRT를 타려면 포항역보다는 동대구-포항 시외버스를 타고 동대구역으로 가서 타는 게 더 편하다. 철도 동호인들이 포항역에 맺힌 한이 많아서 그런지 꼭 남구 사람들은 동대구역이나 시외버스 타라고 한다.] 그리고 포항역으로 들어가는 입구도 문제가 있다. 포항역 입구가 [[7번 국도]]에 바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7번 국도에서 이인리 방면으로 이어지는 왕복 4차로의 좁은 길목으로 놓여 있어서 둘러가야 한다는 것이다.[* 포항역 바로 옆을 지나는 영일만대로는 양덕동과 이동으로 바로 이어 준다. 문제는 포항역과 직접 이어진 분기점이 없다.] 특히 이 구간이 만성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곳이라 출퇴근 시간대나 휴가철, 명절 때 KTX 도착 시간까지 겹치면 그야말로 주차장이 되어 버린다. 그런데 이게 버스라고 남의 일은 아니라서, 빙 돌아서 역까지 들어갔다가 나올 때도 다시 빙 돌아서 나와야 하기 때문에 체감상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거기에 조금 전 언급한 교통체증까지 겹치면...[* 사실 원래는 포항역에서 시내버스만 따로 국도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도록 길목을 마련한 흔적이 있다. 다만 어째서인지 현재까지 별다른 언급도 없는 상황이다.] 대중교통이 꽤 불편하기 때문에, 택시 수십 대가 택시 승강장에서 손님을 태우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포항역으로 진입하는 도로가 협소하다 보니, 자가용, 택시, 시내버스, 횡단보도를 건너가려는 보행자들이 뒤엉켜 혼돈스러운 상황이 발생한다. 그래도 경주역보다는 냄새도 안 나고 택시 요금 횡포보다는 나은 편이다. [[2015년]] 4월 2일에 이전한 [[동해선]] 포항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포항 버스 107|107번]]과 [[포항 버스 500|500번]]이 운행하였으며, [[포항공항]] 및 구룡포, [[포스코]] 본사로 가는 [[포항 버스 210|210번]]이 신설되어 운행하였다. [[2020년]] 7월 25일 시내버스 개편 후, 포항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포항 버스 120·121|120·121번]], [[포항 버스 305|305번]], [[포항 버스 5000|5000번]], [[포항 버스 9000|9000번]]이다. 5000번은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과 보경사를 경유하고, 9000번은 영일대 해수욕장, 죽도어시장, [[포항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 [[포항공항]], 구룡포, 호미곶 등 포항의 주요 관광지를 경유하지만 배차간격이 길고 호미곶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과 [[포항시 시내버스]] 참고. 기타 노선을 타려면 '달전리' 정류장까지 조금 걸으면 탈 수 있다. 또한 울진, 영덕행 시외버스가 1일 4회 포항역을 경유했지만, 현재는 폐지되었다. 울진은 2024년까지는 흥해나[* 거리는 제일 가깝지만 완행 노선 밖에 없어 2시간 20분이나 걸려 주의해야 한다.] [[포항터미널|시외터미널]]로 이동해 울진행 버스를 타는 게 나았으나 2025년에 포항-강릉간 철도가 개통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어 강릉행 열차를 타는게 더 낫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