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경복궁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1 '''景福宮驛''' (政府서울廳舍)[br]'''Gyeongbokgung Station''' (Government Complex-Seoul)}}}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경복궁역}}}[br](정부서울청사)}}}'''|| ||<width=120px><-2><:>[[지축역|{{{-2 {{{#000,#fff 지축 방면}}}}}}]][br][[독립문역|독립문]][br]← 1.6 ㎞||<|2><-2><width=120px><:><bgcolor=#ef7c1c>[[서울 지하철 3호선|[[파일:SM-3.svg|height=20]][br]{{{#fff {{{-2 3호선}}}}}}]][br]{{{-2 {{{#fff 327}}}}}}||<width=120px><-2><:>[[오금역|{{{-2 {{{#000000,#fff 오금 방면}}}}}}]][br][[안국역|안 국]][br]1.1 km →|| ||<-2><bgcolor=#ef7c1c> [[지축역|{{{#ffffff {{{-3 ◀ 일산선 직통}}}}}}]] ||<-2><bgcolor=#ef7c1c> [[오금역|{{{#ffffff {{{-3 송파하남선 직통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지하130 ([[적선동]] 81-1)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ef7c1c> [[서울 지하철 3호선|{{{#ffffff 3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ef7c1c> [[서울 지하철 3호선|{{{#ffffff 3호선}}}]] ||<-4> 1985년 7월 1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3호선]] 327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지하130 ([[적선동]] 81-1) 소재. [[서대문구]] [[천연동|현저동]]과 종로구 [[무악동]]에 걸쳐 있다. == 역 정보 == 본래 개통 당시에는 '[[중앙청]](中央廳)'역이었으나, 1987년 5월 1일에 경복궁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병기역명 또한 2000년 3월에 처음 추가되었을 때는 '정부중앙청사'였으나 2013년 1월 3일에 '정부서울청사'로 개명되었다. 2015년 4월 3일에 3번 출구 옆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생겼다. 해당 출구 번호는 3-1번 출구이다. 경복궁역의 내부 장식은 [[공간]]건축의 작품 중 하나이다. [[김수근]] 시대에 설계되었으며 설계 실무는 류춘수가 맡았다. 참고로 공간건축 홈페이지에 보면 수많은 운수건축 '계획'들이 올라와 있는데 그 중에 실현된 사례는 거의 이거 하나밖에 남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중앙역(부산)|중앙역]]과 구조가 비슷하다. 다만 현재 터널 벽면은 철거되었다. 메트로미술관(구 서울메트로 미술관)이 본 역 지하 1층에 위치했으나 2024년 1월 1일부터 역사 원형 복원 및 통행객의 편의 향상을 위해 폐관되었다.[[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6&bbsIdx=2216997| ]] 미술관이 있었던 시기에는 전시가 있을 때에 한해 7시부터 22시까지 해당 공간이 개방됐으며, 이 이외의 시간대에는 미술관이 폐쇄되어 해당 공간은 통행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1, 2, 3, 7번 출구~4, 6번 출구 간 이동해야 될 경우에는 지하 2층 대합실을 경유하거나 밖으로 나가야 했다. [[독립문역]] 출발 첫차가 유치선에서 나오는 방식이 아닌 [[지축차량사업소|지축차량기지]]에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하는 관계로 이 역에서 독립문역 출발 첫차를 이용하게 되면 뜬금없이 "회송"으로 열차 위치 안내판에 뜨다가 오금행으로 바뀐다.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으로 첫차부터 12시 30분~13시 30분 동안 모든 열차가 [[광화문역]], [[시청역(서울)|시청역]], 경복궁역을 무정차 통과하였다. 2015년 9월경 선로 쪽 벽면 타일이 철거되고 새로운 외장재로 교체되었다.[* 3호선 [[충무로역]], 4호선 [[회현역]], 5호선 [[방화역]]과 [[화곡역]]도 마찬가지다.] 스크린도어 설치로 인하여 스크린도어 너머의 역명판은 잘 보이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그보다 경복궁역 선로 쪽 벽면은 타 섬식 역들과 달리 벽돌이 아니라 가연재 재질의 벽면이었다. 이런 벽면을 가진 역에 열차가 정차한 상황에서 펜터그래프 폭발이나 방화사건 같은 화재 사고가 일어나면 이 가연재 벽면이 불타면서 유독가스를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냥 철거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 (정부서울청사)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경복궁 역명만 방송한다. 역 구내에 6퍼밀의 [[철도의 구배|구배]]가 있다. == 역 주변 정보 == 근처에 [[경복궁]]과 [[정부서울청사]]가 있다. 경복궁으로 가려면 5번 출구를 이용해야 하며, 5번 출구로 나가는 지하 1층 통로에 세워진 불로문(不老門) 복제석물도 볼거리다. [[창덕궁]] 후원에 있는 걸 경복궁역에 복제해서 세워 놓았다. 특히 5번 출구는 아예 '''경복궁 내부'''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미술관과 동일하게 밤 10시에 폐쇄한다. [[세종대로]]를 직접 지나지 않지만 바로 근처이기 때문에 [[주한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정부서울청사 등과 가까우며, 북쪽에는 경복궁과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그리고 좀 떨어진 서쪽 [[사직터널]] 쪽에는 [[서울특별시경찰청]], [[사직단|사직공원]]과 사직동주민센터가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교육청종로도서관]], [[서울매동초등학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대한민국역사박물관]]도 가깝다. [[대한축구협회]]도 이 역 근처에 있다. 별도로 [[청와대]]도 이 역의 역세권 안에 들어간다. [[블루보틀 삼청 카페]]가 있다. [[종로구]] 북쪽은 사실상 전부 지하철의 사각지대라 이 역과 [[불광역]]의 권역 안에 있다. 그리고 불광역-[[녹번역]]-[[홍제역]]과 종로구 북부는 북한산으로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종로구 면적의 절반인 [[평창동]]-부암동-청운효자동-사직동-삼청동이 전부 종로구 북부의 남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경복궁역이 관할하게 된다. 면적이 넓기 때문에 문제가 있긴 하지만 종로구의 적은 인구 수로 보면 사실 그렇게 불합리한 위치는 아니며, 대신 시내버스를 6개나 채워서 보충한다. 오전 시간대(08:00~11:00)에 1번 출구로 나가 버스 정류장보다 조금 더 올라가 변압기 앞에서 [[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셔틀버스|연세대학교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 배차간격은 학기 중 기준 대략 5분에서 12분 사이인데 연세대학교 동문을 통해 학교에 진입하여 산 위에서부터 학생들을 내려주기에, 산 위 단과대 학생들은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을 통해 오는 것보다 훨씬 낫다.[* 동문-성암관(문대, 사과대, 상경대, 언더우드)-경영관삼거리를 찍고 백양누리에 종착이다. 그래서 비단 산 위 단과대생뿐 아니라 백양관 등 학교 정문에서 좀 안에 있는 건물에 갈 때에도 훨씬 편하다. 여름같은 경우 신촌역에서부터 정문까지도 일이지만 공대나 이과대가 아니면 정문에서도 한참 더 걸어야하므로 쾌적하지 못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셔틀을 타고 위에서부터 내려온다는 게 얼마나 편한 것인지는 쉽게 예상될 것이다. 동문에서도 서기에 꼭 경복궁역이 아니라 버스로 이대후문에 내려 길 건너 버스를 타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수업 타임 직전의 아슬아슬한 버스를 타면 당연하게도 상당한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을 경험할 수 있다.(연대 셔틀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연세대학교/신촌캠퍼스/셔틀버스|본 문서]] 참조) 그 외에도 [[서울 버스 272|272번]], [[서울 버스 606|606번]], [[서울 버스 710|710번]]으로 연세대학교 정문으로 갈 수 있다. 거기에 [[세브란스병원]] 셔틀버스나 [[이화여자대학교]] 셔틀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통학 시간대는 가축수송이다. 연세대학교 외에도 [[상명대학교]]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이 역에서 내려 환승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상명대학교 언덕 위를 올라가 주는 버스인 [[서울 버스 7016|7016번]]이 경유하는 마지막 지하철역으로, [[남영역]], [[숙대입구역]], 시청, [[광화문역]]을 지나서 오기 때문에 이전부터 사람이 미어 터진다. 따라서 조금 일찍 나와서 버스로 환승하거나. 상명대입구까지 가는 버스를 타서 [[서울 버스 종로13|종로13]] 마을버스를 타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배화여자대학교]] 셔틀도 1번 출구 앞에 선다. 안국동/[[신촌]] 방향으로는 시내버스 환승이 편리하지만, [[창의문|자하문]] 및 세검정 방면으로는 시내버스 정류장이 역에서 [[강남대로]] 수준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멀리 떨어져 있지만, 종로구 구기동과 평창동 주민들은 불광역을 포함해서 경복궁역에서도 대부분 환승한다. 그리고 청와대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이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 초창기 무렵 [[2008년 촛불집회|광우병 촛불집회]]가 한창일 때, 열차가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벌어졌던 적이 있어서 잠시 논란이 된 적도 있다. 이후 2022년 5월 10일부터는 청와대가 대통령 집무실 기능을 상실하면서 이 타이틀은 [[삼각지역]]이 가져갔다. 2015년 6월 1일부터 [[서울맹학교]] 통학버스의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1호차, 2호차로 나누어 운행하였지만, 수요가 워낙 적었기 때문에 통합하였다. [[연신내역]] - [[홍제역]] - 광화문역 - 경복궁역 순서로 정차하며, 등교 시에만 운행하고 하교 시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조금 더 자세한 노선 정보는 [[http://www.bl.sc.kr|이곳]]에 들어가서 통학버스노선을 참고.] 새로 업데이트가 되었다면 노선이 위와 비슷할 것이다. 이 버스는 경복궁역에 오전 8시 10분에서 오전 8시 20분 사이에 도착하여 오전 8시 20분경에 출발한다. 오전 8시 15분에 출발하는 게 원래 시간표다. 버스 노선을 보면 한국BRT에서 운행하는 [[서울 버스 708|708번]]과 노선이 유사하다. 광화문역까지 노선이 중복되며, 그 이후로는 [[서울 버스 1020|1020번]], [[서울 버스 7018|7018번]] 등, 경복궁역, 효자동으로 가는 노선과 완전히 중복된다. == 승강장 == ||<-4> [[독립문역|독립문]] ↑ ||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ef7c1c> {{{#ffffff 하}}} ||<width=10px><bgcolor=#ef7c1c> {{{#ffffff 상}}} ||<width=10px> ㅣ || ||<-4> ↓ [[안국역|안국]] || ||<width=10px><bgcolor=#ef7c1c> {{{#ffffff 상}}} ||<|2> [[파일:SM-3.sv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 ||[[불광역|불광]]·[[연신내역|연신내]]·[[구파발역|구파발]]·[[지축역|지축]] 방면|| ||<width=10px><bgcolor=#ef7c1c> {{{#ffffff 하}}} ||[[종로3가역|종로3가]]·[[충무로역|충무로]]·[[수서역|수서]]·[[오금역|오금]] 방면||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3.svg|width=20]] [[서울 지하철 3호선]] || ||<width=34%><-2><:>[[대화역|{{{-2 {{{#000,#fff 대화 방면}}}}}}]][br][[독립문역|독립문]][br]← 1.6 ㎞||<width=32%><-2><bgcolor=#ef7c1c><:><color=#fff><:>{{{-1 각역정차[br]各驛停車}}}||<width=34%><:><-2>[[하남시청역|{{{-2 {{{#000000,#fff 하남시청 방면}}}}}}]][br][[안국역|안 국]][br]1.1 km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