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금천구청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경부본선]][[분류:경부선]] {{{+1 '''衿川區廳驛'''[br]'''Geumcheon-gu Office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금천구청역}}}}}}'''|| ||<width=120px><-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km||<width=120px><|2><-2><:><bgcolor=#0052A4>[[경부선|[[파일:NS-GB.png|height=20]][br]{{{#fff {{{-2 경부선[br]GB44}}}}}}]]||<width=120px><-2><|2><:>[[천안역|{{{-2 {{{#000,#fff 천안}}}}}}]]·[[동탄역|{{{-2 {{{#000,#fff 동탄}}}}}}]] {{{-2 {{{#000,#fff 방면}}}}}}[br][[석수역|석 수]][br]2.3 km →|| ||<-2><bgcolor=#0052A4> [[서울역|{{{#ffffff {{{-3 ◀ 1호선 직통[br]경유 경원선 직통}}}}}}]]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63길 91 (시흥동 113-55)||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52A4> [[경부본선|{{{#ffffff 경부선}}}]] ||<|2><-4>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2><bgcolor=#003da5> [[경부고속선|{{{#ffffff 경부고속선}}}]]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52A4> [[경부본선|{{{#ffffff 경부선}}}]] ||<-4> 1908년 4월 1일 || ||<-2><bgcolor=#003da5> [[경부고속선|{{{#ffffff 경부고속선}}}]] ||<-4> 2000년 4월 1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km||<colbgcolor=#f5f5f5,#373a3c><-2><:>'''[[경부본선]]'''[br]금천구청||<-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석수역|석 수]][br]2.3 km →|| ||<-2><:>{{{#grey 기점}}}||<colbgcolor=#f5f5f5,#373a3c><-2><:>'''[[경부고속선]]'''[br]금천구청||<-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광명역|광 명]][br]4.3 km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선]] GB44번.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63길 91 (시흥동 113-55) 소재. == 역 정보 == 1974년에 [[경부선]] 서울 - 수원 구간 전철화로 [[경부선]] 전동차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까지 [[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완행열차도 일부 정차했다. 그러나 1999년 6월 1일에 [[군포역]], [[의왕역|부곡역]]과 함께 일반열차 취급이 중단되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서울 - 수원 쾌속열차(현재의 통근쾌속)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이 역부터 [[경부고속선]]이 시작됐다. 남쪽에 있는 시흥연결선의 연결선(경부선) 지점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이 나뉘어 총 3복선이 된 뒤에 중앙의 지하터널은 [[광명역]]으로 연결되고, 나머지는 [[석수역]]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현재는 [[광명역|광명]] - [[서울역|서울]]을 지하로 다니는 별선이 만들어져 비상시에 쓰이는 연결선으로 전락해버렸다. 엘리베이터 설치 전까지 계단 구조는 역안 [[타임아웃]]과 개찰구가 같은 층인데도 불구하고 중간에 계단 한 칸이 또 있었다. 엘리베이터 설치와 함께 타임아웃 쪽 계단을 올려서 출구마저 한 칸 더 올라오게 하였다. 카페 앞에 흔적이 남아 있다. 과거에는 계단 근처 작은 상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철거되고 자판기가 들어섰다. 그외에 1층 화장실 자리에도 작은 분식점이 있었지만 폐업 후 그 자리에 지속적으로 여러 상가가 들어왔다 폐업하다가 철거되고 화장실이 그 자리에 확장되었다. 2006년에 광명셔틀이 개통하면서 같은 노선 환승역이었다. [[경부고속선]]으로 진입하기 전 마지막 역이기 때문에, 광명행 셔틀열차는 금천구청역으로 진입하기 전, 또는 금천구청역에 도착해서 출입문을 열었을 때라도 기관사가 '''"이번 열차는 광명행 셔틀열차입니다. 수원·평택·천안 방면으로 가시는 승객께서는 이번 역에서 내려 다음 열차를 기다리시기 바랍니다."'''라고 육성으로 알리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2022년 9월 신안산선이 개통하며 광명셔틀은 2023년 1월 1일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2019년에 1층 화장실에 바로 이어서 승차장으로 가는 계단과 복도도 개수했다. 이 화장실은 승강장에서 개찰구로 나와 찾아도 안 보이고, 바깥으로 계단을 내려와 역 건물 입구에 화장실이 있다. 서울에서 자살사고가 많은 역으로 유명했다. 서울지역 전철역 대부분에 [[스크린도어]]가 있을 때에도 이 역은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49&aid=0000046458|「서울 금천구청역서 20대 男 전동차 투신」]], 채널A, 2015-01-2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1757676|「지하철 1호선 금천구청역서 中국적 50대男 선로에 투신 사망」]], 뉴스1, 2015-11-27] 2016년에 외선쪽에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서 가동했다. 정작 많은 열차들이 통과하는 내선 쪽에는 2020년 4월 전까지 쇠사슬만 쳐놓았었다. 4월에 설치를 시작했고 2020년 12월에 완료되어서 가동했다. 선로 기준으로 해발고도는 12.99m이다. 1908년에 개업했을 때에는 여기가 시흥군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시흥역'이 되었는데, 정작 개통 3년 만에 군청을 [[영등포구|영등포]]로 옮겨서 중심지 또한 영등포로 옮겨졌다. 경성부가 1936년에 편입한 [[영등포]]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하게 팽창하면서 시흥군 영역이 점차 줄어들었었다. 1962년 12월에 서울대확장으로 인해서 시흥역이 자리한 시흥동까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고, 결과로 시흥군에 없는 시흥역이 되었다. 시흥군은 [[안양시]], [[광명시]], [[과천시]], [[안산시]], [[의왕시]], [[군포시]]가 분리되고 남은 지역을 모아서 1989년에 [[시흥시]]로 승격된다. 남은 지역들은 원래의 시흥군과는 관련이 없는 지역이다. 남부 지역(구 수암면, 군자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통합된 안산군의 일부이고, 북부 지역(구 소래읍)은 1973년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인접한 시흥군으로 넘어간 지역이다. 결국 [[금천구]] 시흥동으로 행정구역이 바뀌었다. 물론 '''시흥동'''에 있는 역이므로 '''시흥역'''은 틀린 게 아니었지만, [[시흥시]]에 있는 줄 아는 사람이 간혹 잘못 오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시흥역 때에는 역에 "여기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입니다. [[경기도]] [[시흥시]]를 찾아가실 분은 목적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신 뒤에 [[소사역]], [[안양역]] 등에서 버스를 이용하시거나, [[과천안산선]] [[오이도역]], [[정왕역]] 등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팻말을 붙인 적이 있다. 이 역에서 오이도역, 정왕역까지는 전철만으로도 1시간 가까이 걸린다. 결국 역명변경 설문조사를 실시해서 주민들의 압도적인 찬성을 얻었다. 때마침 [[금천구청]]이 인근의 거대한 신청사로 이전하면서 2008년 12월 29일에 금천구청역으로 역명이 바뀌었다. == 승강장 == ||<-3> ↑ [[독산역|독산]] ||<-4> ↑ [[영등포역|영등포]] ||<-3> [[독산역|독산]] ↓ || || ㅣ || ㅣ ||<bgcolor=#0052a4> {{{#fff 4}}} ||<bgcolor=#0052a4> {{{#fff 3}}} || ㅣ || ㅣ ||<bgcolor=#0052a4> {{{#fff 2}}} ||<bgcolor=#0052a4> {{{#fff 1}}} || ㅣ || ㅣ || ||<-3> ↑ [[석수역|석수]] ||<-4> [[안양역|안양]] ↓ ||<-3> [[석수역|석수]] ↓ || ||<width=10px><bgcolor=#0052a4> {{{#fff 1}}} ||<|4> [[파일:NS-GB.png|width=17]] [[경부선]] || 각역정차 ||[[광명역|광명]]·[[동탄역|동탄]]·[[천안역|천안]] 방면 || ||<width=10px><bgcolor=#0052a4> {{{#fff 2}}} ||<|2> {{{#fcb814 통근쾌속}}} ||[[수원역|수원]]·[[평택역|평택]]·[[천안역|천안]] 방면 || ||<width=10px><bgcolor=#0052a4> {{{#fff 3}}} ||[[영등포역|영등포]]·[[서울역|서울]] 방면 || ||<width=10px><bgcolor=#0052a4> {{{#fff 4}}} || 각역정차 ||[[구로역|구로]]·[[용산역|용산]]·[[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2면 6선 쌍섬식 승강장이다. 가장 바깥쪽 선로는 쾌속열차가 지연되는 경우 완행열차를 추월하기 위해서 쓴다. 선로분기 문제로 인해서 약 45km/h로 통과하며, 선행열차가 없으면 본선으로 고속통과한다. 이 역에서 급행열차가 완행열차를 추월할 경우 [[군포역]]에서는 본선으로 고속통과한다. 북쪽으로 (독산역 방면) 저상 승강장이 붙어 있었지만 일반열차 취급이 중지된 뒤로 쓰지 않아 풀밭이 되었다. 2면 쌍섬식에 고저상 승강장이 한줄로 붙어있는 형태인데, [[안양역]]과 [[군포역]], [[의왕역]] 모두 이런 구조를 띄고 있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B.png|width=20]] [[경부선]] || ||<width=34%><-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영등포역|영등포]][br]← 8.2 km||<width=32%><-2><bgcolor=#fcb814><:><color=#000><:>{{{-1 통근쾌속[br]通勤快速}}}||<width=34%><:><-2>[[천안역|{{{-2 {{{#000,#fff 천안 방면}}}}}}]][br][[안양역|안 양]][br]6.6 km → || ||<width=34%><-2><:>[[광운대역|{{{-2 {{{#000,#fff 광운대 방면}}}}}}]][br][[독산역|독 산]][br]← 1.2 km||<width=32%><-2><bgcolor=#0052A4><:><color=#fff><:>{{{-1 각역정차[br]各驛停車}}}||<width=34%><:><-2>[[천안역|{{{-2 {{{#000,#fff 천안}}}}}}]]·[[동탄역|{{{-2 {{{#000,#fff 동탄}}}}}}]] {{{-2 {{{#000,#fff 방면}}}}}}[br][[석수역|석 수]][br]2.3 km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