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낙성대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1 '''落星垈驛''' (姜邯贊)[br]'''Nakseongdae Station''' (Ganggamcha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낙성대역}}}[br](강감찬)}}}'''|| ||<width=120><:><-2>[[강남역|{{{-2 {{{#000,#fff 외선순환}}}}}}]][br][[사당역|사 당]][br]← 1.6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27}}}}}}]]||<-2><width=120><:>[[신도림역|{{{-2 {{{#000,#fff 내선순환}}}}}}]][br][[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br]1.0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822 ([[봉천동]] 979-2)||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1984년 5월 22일||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27번.[* 개정 전 27번.]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928 ([[봉천동]] 1693-39) 소재. == 역 정보 == '별이 떨어진 터'라는 뜻으로 고려 명장 [[강감찬]] 장군의 탄생설화에 나오는 [[낙성대]]가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생가터와 낙성대공원이 있으며 공원에는 동상과 기념관 장군을 모시는 사당인 안국사가 있다. 때문에 역사 내부에는 강감찬 장군 및 [[귀주대첩]] 기록 벽화가 있으며, 병기역명으로 '강감찬'을 넣는 안이 2019년 12월 서울시 지명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604878?sid=102|「관악구 "2호선 낙성대역, 강감찬역으로 함께 사용 가능"」]], 뉴시스, 2019-12-12], 2020년 3월 경에 역명판과 안내방송에 적용되었다. 2010년 11월에 역을 새하얗게 리모델링하면서 화장실이 게이트 밖에 위치하게 되었고, 반대편 승강장으로도 건너갈 수 없게 되었다. 다만 강감찬, 귀주대첩 벽화는 남겨두었다. 서울특별시는 2020년 3월 낙성대역 역내에 서울창업카페 낙성대점을 열었다. [[https://www.ehistory.go.kr/view/movie?mediasrcgbn=KV&mediaid=20146800&mediadtl=38778&mediagbn=DK|관련 영상 (지하철 2호선 보충(1983년))]]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은 준주거지역으로 상권과 오피스, [[오피스텔]], [[원룸]]이 혼재되어 있다. 4번 출구에는 서울대후문, 낙성대공원, [[샤로수길]], 낙성대벤처창업센터, 서울창업센터, [[스타벅스/대한민국|스타벅스]], [[써브웨이/대한민국|서브웨이]] 등이 있다. 서울대후문으로 가는 서울대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한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공과대학]],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사범대학]], [[기숙사]](관악사, 글로벌생활관), 교수아파트, 교직원아파트, 호암교수회관, 연구공원, 웨딩홀, 국제백신연구소 등으로 운행하는 [[서울 버스 관악02|관악02번 마을버스]]정류장이 있는데 휴일에는 서울대공대 부근의 등산로를 이용하려는 [[관악산]] 등산객들로도 붐빈다. 서브웨이 앞 사당방향 버스정류장에서는 [[광명시|광명]] 가는 [[광명 버스 8507|8507번 버스]]가 있어서 [[광명역]], [[코스트코 광명점]], [[이케아 광명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등을 갈 수 있다. 8507 노선은 서울시내에서는 [[관악산역]], 서울대정문, 서울대입구역, 이 곳 낙성대, 사당역만 편도로 정차한다. 반대편의 [[KFC/대한민국|KFC]], [[커피빈]], [[올리브영]]에 가면 버스는 오지 않는다. 1번 출구에는 [[서울 버스 관악04|관악04번]] 버스정류장, [[노브랜드]]버거, 인헌시장, 텐디본사, [[다이소]], 할리스커피, 스타벅스(앞의 스타벅스와는 다른 곳) 등이 있다. 5번 출구는 남부순환로와 만나는 솔밭로가 있는 곳으로 [[서울 버스 동작06|동작06번]], [[서울 버스 동작14|동작14번]], [[서울 버스 동작20|동작20번]] 마을버스를 이용해 사당자이, 흑석자이, 총신대, 숭실대, [[남성역]], [[이수역]]을 갈 수 있다. 단 20번은 원래 농어촌버스급으로 배차 간격이 길었다고 해도 다른 둘도 코로나 사태 이후로 배차 간격이 길어져서 3개를 합쳐서 보아도 평일 RH가 아닐 때에는 자주 오지 않는다. (사실 농어촌은버스들은 하루 몇 회 운행이라 그정돈 아니고 20~25분 배차간격이다) 관악파크푸르지오아파트 자체셔틀버스는 5번 출구 앞 170미터 부근에서 탈 수 있다. 이곳 상권에는 [[배스킨라빈스]], [[이디야커피|이디야]], 본죽, [[한솥도시락]], 메가커피, 각종 편의점들, 헬스장, 개인PT, 필라테스, 스시초밥, 돈까스, 공차, 샌드위치, 고기집 등이 거리에 밀집되어 있다. 현재 빌딩재건축 공사로 KFC, 올리브영, 커피빈이 사라진 상태지만 완공되면 더 많은 가게들이 생길 것 같다. 3번 출구에는 경동제약빌딩이 있다. 건물에는 경동제약(본사)은 물론 국민연금공단관악지사, [[투썸플레이스]], 헬스장 등이 있다. 2번 출구에는 [[버거킹/대한민국|버거킹]] 낙성대점이 있다. 낙성대역 주변에 원룸이 매우 많고 학생, 사회초년생들이 많기 때문에 카페 수요도 그만큼 많다. 같은 맥락에서 혼자 먹을 수 있는 식당도 꽤 있다. [[파리바게뜨]], [[버거킹/대한민국|버거킹]], [[KFC/대한민국|KFC]], 노브랜드버거, [[맘스터치]], [[배스킨라빈스 31|배스킨라빈스]] 등 여러 프랜차이즈 가게들이 골고루 많다. 인헌시장도 가까워서 재래상점들도 많다. [[이마트]] 같은 대형 쇼핑센터는 없다. [[관악구]]에는 남현동에 있는 [[홈플러스 서울남현점]]이 유일한 대형마트이다. 낙성대역에서 이용할 만한 마트는 4번 출구 GS더프레쉬 중형급마트가 있으며 10시~24시까지 영업한다. 관악구에서는 매년 강감찬 축제를 하는 등 꽤나 강감찬 장군 알리기에 열중하고 있다. 축제는 출병식 및 전승 기념 퍼레이드, 전투장면재현, 고려마을 테마 체험부스, 강감찬 장군 추모제향, 축하공연, 불꽃놀이 등으로 구성된다. 수천 명이 [[고려군]] 복장을 하고 관악구청에서 강감찬대로(남부순환로)를 지나 낙성대공원으로 행진한다. 2019년 축제에서는 15만여 명이 방문했다고 한다. == 승강장 == ||<-4> [[사당역|사당]]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사당]]·[[교대역(서울)|교대]]·[[잠실역|잠실]]·[[성수역|성수]]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신림역|신림]]·[[신도림역|신도림]]·[[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이 역부터 [[선릉역]]까지 모든 역이 오른쪽 문만 열린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강남역|{{{-2 {{{#000,#fff 강남}}}}}}]]{{{-2 {{{#000,#fff ·}}}}}}[[잠실역|{{{-2 {{{#000,#fff 잠실}}}}}}]] {{{-2 {{{#000,#fff 방면}}}}}}[br][[사당역|사 당]][br]← 1.6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신도림역|{{{-2 {{{#000,#fff 신도림}}}}}}]]{{{-2 {{{#000,#fff ·}}}}}}[[홍대입구역|{{{-2 {{{#000,#fff 홍대입구}}}}}}]] {{{-2 {{{#000,#fff 방면}}}}}}[br][[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br]1.0 ㎞ →|| == 기타 == * [[낙성대]]가 대학교 이름처럼 ~대로 끝난다는 점을 이용한 패러디도 나왔다. 지하철 2호선을 상징하는 전동차와(강감찬 장군을 상징하는 칼로 보이기도 한다), 허구를 뜻하는 낚싯대, 그리고 'ㄱㄴㄷ(국립낙성대학교)'이라는 자모가 조합되어 있다.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패러디한 것으로, 이 야구잠바는 실물도 존재하여 캠퍼스 내에서 만우절 등에 종종 목격된다. * 서울대생들은 [[서울대입구역]]을 '설입'이라 줄여 부르듯이 낙성대역과 그 주변은 '낙대'라고 줄여 부른다. * 2호선의 초창기 계획에는 서울대입구역이 [[한양대역]]과 같은 반지하 구조의 역으로 지어질 계획이었으나, 지하화로 최종 변경되면서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다. * 낙성대~[[사당역|사당]] 구간은 주행 소음이 심하다. 곡선 구간이 두 군데가 있기 때문이다. * [[이수역]]보다 직선거리 기준으로도, 도보거리 기준으로도 이 역이 [[총신대학교]]에 더 가깝다. 그러나 길이 험해 대학생들에게는 여의치 않다. * 승강장에 전동차운행소요시간 노선도가 아직도 붙어 있다. [[구로디지털단지역]](2004년에 개명됨)과 [[용두역]](2005년에 개통됨)에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것을 보아 2004년 이전에 최초로 붙은 것으로 보인다. * 근처에 기절초풍왕순대가 있다. [[쯔양]]도 방문한 적 있는 식당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