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뚝섬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include(틀:다른 뜻, other1=서울 지하철 7호선의 구 '뚝섬유원지역', rd1=자양역)] {{{+1 '''뚝섬驛'''[br]'''Ttukseom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뚝섬역}}}}}}'''|| ||<width=120><:><-2>[[왕십리역|{{{-2 {{{#000,#fff 외선순환}}}}}}]][br][[한양대역|한양대]][br]← 1.1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10}}}}}}]]||<-2><width=120><:>[[잠실역|{{{-2 {{{#000,#fff 내선순환}}}}}}]][br][[성수역|성 수]][br]0.8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8 ([[성수동|성수1가1동]] 656-745)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1983년 9월 16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10번,[* 개정 전 10번.]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8 ([[성수동|성수1가1동]] 656-745) 소재. == 역 정보 == 공사 당시 역명은 "경마장역"이었으며, 이는 과거 지금의 서울숲 자리에 경마장(현 [[렛츠런파크 서울]])이 있던 것에서 유래한다. [[서울역]]을 제외하고 최초로 한자를 병기하지 않은 순우리말로 적은 역명이다. 비슷한 시기에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두실역]]이나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수인선]] [[고잔역]] 등도 순우리말이지만 모두 한자 표기가 있는 지명이다. 간체자 표기는 과거 뚝섬의 한자 표기를 살려 纛島(독도)라고 쓰는데 纛은 '둑 독'이다. 여기서 둑은 '임금이 타고 가던 가마 앞이나 진중에서 대장 앞에 세우던 기'라는 뜻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막거나 물을 저장하려고 돌이나 흙 따위로 막아 쌓은 언덕'이라는 뜻이 아니다. 한강변에 있어서 뜻도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堤(방죽 제)를 써서 堤島라고 오역한 표기도 보인다. 성수1가1동과 성수1가2동에 역세권을 형성한다. [[분당선]]의 [[서울숲역]]과도 환승이 되게 하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500m가 넘는 환승 거리 등 여러 이유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 실제로 두 역은 연결할 수 없는 먼 거리로, 만일 환승역으로 만들었다면 [[디지털미디어시티역]](경의·중앙선/공항철도) 못지 않은 [[막장환승]]역이 되었을 것이다. 게다가 뚝섬역은 건물 4층 높이 정도 공중에 떠 있고 서울숲역은 지하로 한참 들어가기 때문에 연결하기 어렵다. 뚝섬역 승강장에는 [[자양역|뚝섬유원지역]]의 역명과 노선 색상이 뚝섬역과 겹치기 때문에 뚝섬유원지역과 착각하지 말 것과, [[건대입구역]]으로 가서 7호선으로 갈아타서 뚝섬유원지역으로 가는 경로를 소개하는 안내문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 내용 역시 혼동된다면 [[서울 버스 2014]]를 이용할 수 있다. 뚝섬역과 뚝섬유원지역은 모두 고가역이고 비환승역이다. 결국 뚝섬유원지역은 2024년에 [[자양역]]으로 이름을 바꿨다. 4번 출구로 통하는 계단 설계가 다소 특이하다. 계단부 중간에 육교와 같이 도보가 있고, 그 아래로 차도가 나 있다. 승강장까지 꽤 오래 걸어야 한다. 더욱이 이 역과 [[성수역]] 사이에서 2호선 본선과 [[성수지선]]이 입체교차하는 데다 이 두 역 사이의 거리가 그리 멀지 않아 성수역보다 늦게 개통된 뚝섬역 승강장이 성수역 승강장보다 더 높다. == 역 주변 정보 == 출구가 무려 8개이다. 이는 [[대림역]]과 더불어 전국 도시철도 고가역사 중 가장 많은 출구 개수이다.[* 실제로는 [[노원역]]과 [[당산역]]의 출구 개수가 더 많지만 이는 각각 7호선, 9호선 출구까지 포함된 것이며 순수 고가역사 출구로는 뚝섬역, 대림역보다 적다.] 역 주변에는 [[성수역]]과 마찬가지로 음식점들과 카페, 아파트형 공장, 지식산업센터 빌딩들이 즐비하다. 8번 출구로 나가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지역대학이 출구 코앞에 있으며, 걸어서 [[서울숲]]이나 성동구민 체육센터로도 갈 수 있다. 1번 출구로 나가면 [[KB국민은행]] 자동화 코너가 있다. [[블루보틀]]의 국내 1호점인 [[블루보틀 성수 카페]]가 1번 출구 바로 앞에 있다. 역 내부의 3번 출구 방향에 펜싱훈련장이 있다. [[원우영]]이 서울교통공사(구 서울메트로) 펜싱단에서 가장 잘 알려진 선수였다. 역 내부에 [[닭둘기]]가 돌아다니는데, 흔한 탓에 지역 주민들도 별 신경을 쓰지 않는다. 이 역 뿐만이 아니라 상당수 지상역들은 승강장으로 비둘기가 들어오는 게 그리 낯선 일이 아니고, 이 역보다 한강변에 있는 [[당산역]]과 [[강변역]]이 더 심하다. === 출구 정보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84d><tablebgcolor=#fff,#2d2f34> {{{#000,#fff [[파일:SM-2.svg|width=20]] 뚝섬역 출구 정보}}} || ||<-2> {{{#000,#fff 1,2,7,8번 출구}}} ||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1}}}||[[성동교]]||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2}}}||성수우방1차아파트[br]성수쌍용아파트||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7}}}||[[아차산로]]||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8}}}||성수1가2동주민센터(복합청사)·성동구치매안심센터[br]성동구민체육센터[br][[서울숲]] [br]뚝도아리수정수센터·수도박물관[br]한강사업본부[br][[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동부지사[br][[성수중학교(서울)|성수중]]·[[성수고등학교(서울)|고등학교]][br]동아맨션아파트·성수현대아파트[br][[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1지역대학|| ||<-2> {{{#000,#fff 3,4,5,6번 출구}}} ||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3}}}||중앙하이츠빌아파트[br]뚝섬미술관||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4}}}||뚝섬현대아파트[br]성수우방2차아파트[br]서울숲해오름아파트[br]성수대우2차아파트||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5}}}||경일초등학교[br][[서울경동초등학교]][br][[경일중학교(서울)|경일중]]·[[경일고등학교(서울)|고등학교]][br][[근로복지공단]] 서울성동지사[br]SK테크노빌딩||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6}}}||성동구립성수도서관|| == 일평균 이용객 == 2012년에 [[분당선]]이 개통되어 불과 500m 거리에 [[서울숲역]]이 생겨 상당수의 수요 감소가 예측되었으나, 10% 정도의 감소폭을 보였을 뿐 큰 타격을 입지 않았다. 오히려 2013년에 일시적으로 승객이 감소한 이래 꾸준히 승객이 늘어나 2016년에는 분당선 개통 직전의 수요를 다시 회복했다. 2019년에는 성수동 일대가 핫 플레이스로 부상함에 따라 역세권이 활성화되어 이용객이 전년 대비 약 3,400명 증가했고, 2022년에는 코로나가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2019년의 이용객을 뛰어넘어 4만 명을 돌파했다. 2호선에서 2022년 이용객이 2019년 이용객보다 많은 역은 뚝섬역과 성수역 둘뿐이다. 2023년에는 단숨에 5,000명이 더 늘었다. 성수동 상권이 커짐에 따라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 승강장 == ||<-4> [[한양대역|한양대]]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성수역|성수]]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왕십리역|왕십리]]·[[신당역|신당]]·[[을지로입구역|을지로입구]]·[[시청역(서울)|시청]]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성수역|성수]]·[[잠실역|잠실]]·[[교대역(서울)|교대]]·[[사당역|사당]] 방면|| 2호선 지상역사들 중 승강장이 매우 넓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왕십리역|{{{-2 {{{#000,#fff 왕십리}}}}}}]]{{{-2 {{{#000,#fff ·}}}}}}[[시청역(서울)|{{{-2 {{{#000,#fff 시청}}}}}}]] {{{-2 {{{#000,#fff 방면}}}}}}[br][[한양대역|한양대]][br]← 1.1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잠실역|{{{-2 {{{#000,#fff 잠실}}}}}}]]{{{-2 {{{#000,#fff ·}}}}}}[[강남역|{{{-2 {{{#000,#fff 강남}}}}}}]] {{{-2 {{{#000,#fff 방면}}}}}}[br][[성수역|성 수]][br]0.8 ㎞ →|| == 연계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1 {{{#373a3c,#c3c6c8 '''뚝섬역8번출구(04236), [br]뚝섬역5번출구(04238)'''}}}}}} || ||<width=25%><bgcolor=#5bb025>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6|{{{#ffffff 2016(중랑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24|{{{#ffffff 2224(강변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13|{{{#ffffff 2413(개포동)}}}]]}}} || ||<width=25%><bgcolor=#3d5bab>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면목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복정역환승센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1 {{{#373a3c,#c3c6c8 '''뚝섬역2번출구(04237), [br]뚝섬역4번출구(04239)'''}}}}}} || ||<width=25%><bgcolor=#5bb025>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016|{{{#ffffff 2016(이촌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224|{{{#ffffff 2224(성수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413|{{{#ffffff 2413(성수동)}}}]]}}} || ||<width=25%><bgcolor=#3d5bab>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양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73|{{{#ffc600 N73(구산동)}}}]]}}} ||}}} == 기타 == [[SKY 프로리그 2004 3Round]] 오프닝의 일부를 이곳에서 촬영했다. 2022년 5월 13일 오전 9시 8분경 뚝섬역과 [[성수역]] 인근 터널 내 선로 주변에 화재가 발생해 10여 분간 [[서울 지하철 2호선]] 내선/외선 전 열차가 운행을 중지했다. 오전 9시 29분 조치를 완료해 운행이 재개됐으나 오전 10시가 지나서도 다소 지연이 발생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5YCU85NB|「[속보] 성수~뚝섬역 2호선 구간 화재로 지하철 운행 지연」]], 서울경제, 2022-05-13][*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51328807|「성수·뚝섬역 2호선 화재 추정 연기 발생…'운행 지연 중'」]], 한국경제, 2022-05-13] 영화 [[내 사랑(2007)|내 사랑]] 뮤직비디오 앞 부분을 여기서 찍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pCXKdp_XEg|해당 영상]]]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