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강동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1 '''江東驛'''[br]'''Gangdong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강동역}}}[br](강동성심병원)}}}'''|| ||<width=120px><-2><|3><:>[[방화역|{{{-2 {{{#000000,#fff 방화 방면}}}}}}]][br][[천호역|천 호]][br]← 0.8 km||<-2><|3><width=120px><bgcolor=#996cac><:>[[서울 지하철 5호선|[[파일:SM-5.svg|width=20]][br]{{{-2 {{{#fff 5호선[br]548}}}}}}]]||<width=120px><-2><:>[[상일동역|{{{-2 {{{#000000,#fff 상일동 방면}}}}}}]][br][[길동역|길 동]][br]0.9 km →|| ||<-2><bgcolor=#996cac> [[상일동역|{{{#ffffff {{{-3 하남선 직통 ▶}}}}}}]] || ||<width=120px><-2><:>[[마천역|{{{-2 {{{#000000,#fff 마천 방면}}}}}}]][br][[둔촌동역|둔촌동]][br]1.2 km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천호동 447)||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bgcolor=#996cac><:><-2>[[서울 지하철 5호선|{{{#fff 5호선}}}]]||<-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bgcolor=#996cac><:><-2>[[서울 지하철 5호선|{{{#fff 5호선}}}]]||<-4> 1995년 11월 15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5호선]] 548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지하1097 (천호동 447) 소재. == 역 정보 == === 역명 === 5호선 계획 당시 임시역명은 '''천호역'''이었다. 지금의 [[천호역]]은 계획역명 '천호사거리역'이었다. 그리고 1991년 8월에 서울시에서 결정한 정식 역명도 천호역이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80200329113014&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08-02&officeId=00032&pageNo=13&printNo=14129&publishType=00010|市內 지하철驛 百여곳 改·作名(경향신문)]]] 현재의 천호역은 풍납토성역이었다. 그러나 천호동의 중심지는 강동역 주변이 아닌 천호사거리 주변이라 혼란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지역 주민과 [[강동구의회]]에서 역명 개정을 건의했다.[* 1992년 9월 7일 제13회 강동구의회(정기회) 본회의 회의록] 건의에 따라 1993년 5월에 풍납토성역은 천호역으로 바꾸고 천호역은 강동역으로 바꾸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52100239129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3-05-21&officeId=00023&pageNo=29&printNo=22351&publishType=00010|5호선 천호驛등 개명(조선일보)]]] 강동역으로 결정된 건 역이 강동구 중앙에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1992년 9월 2일 제13회 강동구의회(정기회) 도시보건위원회 회의록] 당시 강동구의회의 일부 의원은 행정구역 이름([[성내동(강동구)|성내동]])을 딴 성내역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나, 2호선 성내역(현 [[잠실나루역]])과의 조율 문제 때문인지 건의안에 채택되지는 못했다. 개통하고 시일이 지난 후에도 [[강동구의회|지역구 구의원]]과 [[서울특별시의회|시의원]]을 통해 강동역을 성내역으로 바꾸자는 건의가 이뤄지고 있다. [[https://m.go.seoul.co.kr/news/newsView.php?cp=go&id=20221118500101|관련 기사]] 이와 관련해 2011년과 2014년 11월 경 강동구에서는 역명을 변경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다. [[https://www.gangdong.go.kr/web/mayor/mayorwant/6468?cp=2344&pageSize=15|관련 민원]] [[http://www.gangdong.go.kr/web/ko_1/survey/uiEdit.do?seq=914&target=2&test=1|설문조사 페이지]] 그러나 강동역 근처의 주민들은 정작 아무도 설문실시 내용을 몰랐다고 하며, 역명 변경에 대해서 무관심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8월부터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의 일환으로 이 역의 병기역명으로 '[[강동성심병원]]'이 추가됐었다. 병기역명이 모든 역에 표기되는 것은 아니고 5~8호선에서만 표기되었으며, 계약 기간 만료로 2019년 8월 말에 삭제되었다. 안내방송도 재녹음하였지만 영어 안내방송은 부역명 추가 전에 사용한 것을 재활용하지 않고 새로 녹음했다. 이 병기역명은 2022년 8월에 재지정되었다. 2023년 5월에 열린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강동역을 '성내동역'으로 바꾸는 안[* 이 이슈를 공론화시킨 사람은 김영철 서울시의회 의원으로, 강동구의회 의원이었던 2014년에 강동역 역명 개정을 가장 먼저 제안했던 인물이다.]이 통과되었다. 그러나 뒤늦게 소식을 접하게 된 주민들은 충분한 설명이나 의견 수렴 절차 없이 8년 전 실시한 여론조사를 근거로 졸속 추진했다는 점에서 강하게 반발했고,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306200254|구의회에서도 여야 불문 반대 발언]]이 쏟아졌다. 과거 역명 개정을 추진했던 강동구는 예산 부담과 시행 조치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615/119784773/1|이번엔 반대]]하고 있다. 결국 역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9342545|역명 선호도 조사 결과 강동역이 압도적인 격차로 1위]]를 함에 따라 지명위원회에 역명을 '강동역'으로 재상정하였고, 2023년 12월에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9957510|현행 유지]]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 역무시설 === 5호선 방화-강동 구간에서 팔당 방면과 마천 방면 열차를 갈아탈 수 있는 마지막 역이다. 강동역을 마지막으로 팔당 방향은 [[길동역]]으로, 마천 방향은 [[둔촌동역]]으로 갈라지므로 이 역에서도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해질 수 있다.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직접 방송하며, 역명판에도 방향을 강조하는 안내가 있다. 과거에는 상일동/팔당 및 마천행 열차가 정차하는 하행선 승강장의 경우 역명판이 아예 아무런 방향 설명도 없이 '길동·둔촌동 < 강동 < 천호' 식으로 써 있었다. 분기역으로 승강장이 3개다. 정확히 말해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s-3.2.3|1상대, 1섬식 승강장]]이다. 한쪽 벽에 [[상일동역|상일동행]]/[[팔당역|팔당행]]과 [[마천역|마천행]]이 번갈아 정차하고, 가운데 섬식 승강장에는 [[방화역|방화행]]이 정차한다. 팔당 방면에서 온 열차와 마천 방면에서 온 열차가 이 역에 진입하면서 [[입체교차]]를 한다. 팔당 방면에서 오는 열차는 위쪽으로 와서 방화 방면 승강장 안쪽에 정차하며, 마천 방면에서 오는 열차는 아래쪽으로 와서 방화 방면 승강장 바깥에 정차한다. 출구는 5개로 1~4번과 2-1번 출구가 있다. 개통 당시에는 1, 3, 4번 출구만 있었다가 1999년 현대코아아파트 완공으로 아파트 안에 2번 출구를 두었고, 2015년 인근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의 부담으로 2-1번 출구를 두었다. 1번 출구는 인근에 이스트센트럴타워가 만들어져 2018년에 출구를 빌딩 쪽으로 옮겨 빌딩 지하층과 통합하는 식으로 다시 만들어졌다. 길동역과 둔촌동역 사이에 본선(팔당역 방면)과 마천지선(마천역 방면) 사이를 잇는 단선 선로가 있는데, [[길동삼각선]]이라고 한다. 주로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열차가 정비를 위해 [[고덕차량사업소]]로 갈 때 쓴다.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해 이 역까지 온 후 이 역에서 처음 출발하는 팔당·마천행 열차가 있다. 방화 방면으로 Y자 유치선이 1개 있어 열차 주박이 가능하다. 팔당발 방화행 승강장을 벗어나 마천지선과 합류하기 전에 있어 팔당역 방면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방화 방면으로 하나 있다.[* 막차는 팔당발 열차(5220/00:40 도착, 주말 5174/00:02 도착)이고, 주박 후 첫차는 마천행 5501열차이다. 이 역에서 출발하는 방화행 열차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 1002로 출고하고 5902로 회송하며, 강동역에서 5010으로 발차한다.][* 평일 팔당발 5216열차는 주박하지 않고 고덕기지로 회송한다.] 5호선 개통 초기인 1995년 11월 15일부터 1996년 3월 29일까지는 [[왕십리역]]에서 출발해 이 역까지만 운행하고 다시 왕십리 방면으로 회차하는 열차가 [[상일동역|상일동행]]과 1:1로 배차되었다. 다만 강동역 내의 회차는 상일동역 방면 승강장 → [[천호역]] 방면 Y선 → 왕십리 방면 승강장 → 천호역 방면 본선 이렇게 총 3번의 역행이 필요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당시 미개통 상태였던 둔촌동역 방면에 설치된 [[오리카에시|건넘선을 활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돌아오는 방식]]이었다.[* 즉 강동역의 모든 승강장은 개통 초기부터 정상 운행했다.] 1996년 3월 30일 [[마천지선]]이 개통되면서 기존의 왕십리~강동 반복 열차가 모두 [[마천역]] 방면으로 연장되었다. 이 역은 지하 2층이 없다. 지하 2층에 천호역 공영주차장이 있기 때문이다. 이 주차장은 5호선 공사에 맞춰 1997년에 개장했고, 이름은 천호역이나 주차장은 천호역에서 시작해 강동역 동쪽 끝까지 뻗어 있으며 강동역에서도 지하 1층과 지하 3층을 연결하는 계단 중간 문으로 들어갈 수 있다. 2023년 12월 22일에 방화 방면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면서 개찰구를 엘리베이터가 나란히 위치한 곳으로 이설하여 운임구역 안으로 들어옴에 따라 팔당, 마천 방면 엘리베이터의 간이개찰구는 철거되었고 출구 방향 엘리베이터 입구에 개찰구를 설치하였다. == 승강장 == 2면 3선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 [[천호역|천호]] ↑ || ||<bgcolor=#996cac> {{{#ffffff 하}}} || ㅣ || ㅣ ||<bgcolor=#996cac> {{{#ffffff 상1}}} ||<bgcolor=#996cac> {{{#ffffff 상2}}} || ㅣ || ||<-6> ↓ 마천행: [[둔촌동역|둔촌동]], 팔당행: [[길동역|길동]] || ||<bgcolor=#996cac> {{{#ffffff 상1}}} ||<|4> [[파일:SM-5.svg|width=20]] [[서울 지하철 5호선]] ||[[왕십리역|왕십리]]·[[광화문역|광화문]]·[[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상일동역|상일동]]·[[팔당역|팔당]] 출발 열차)|| ||<bgcolor=#996cac> {{{#ffffff 상2}}} ||[[왕십리역|왕십리]]·[[광화문역|광화문]]·[[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마천역|마천]] 출발 열차)|| ||<|2><bgcolor=#996cac> {{{#ffffff 하}}} ||[[명일역|명일]]·[[상일동역|상일동]]·[[미사역|미사]]·[[팔당역|팔당]] 방면(본선)|| ||[[올림픽공원역|올림픽공원]]·[[오금역|오금]]·[[마천역|마천]] 방면(마천지선)|| 이 역에서 마천발 방화행 열차(상2 승강장)를 타면 자신이 탄 문(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4정거장 차이가 나는 [[군자역]]이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5.svg|width=17]] [[서울 지하철 5호선]] || ||<width=34%><|2><-2><:>[[방화역|{{{-1 {{{#000,#fff 방화 방면}}}}}}]][br][[천호역|천 호]][br]← 0.8 km||<width=32%><|2><-2><bgcolor=#996CAC><:><color=#fff><:>{{{-1 각역정차[br]各驛停車}}}||<width=34%><:><-2> [[팔당역|{{{-1 {{{#000,#fff 팔당 방면}}}}}}]][br][[길동역|길 동]][br]0.9 km →|| ||<width=34%><:><-2> [[마천역|{{{-1 {{{#000,#fff 마천 방면}}}}}}]][br][[둔촌동역|둔촌동]][br]1.2 km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