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송추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역명은 동네 이름이 아니라 [[북한산]][[국립공원]] 송추계곡에서 왔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21085&cid=40942&categoryId=33228|송추계곡]] 송추계곡에서 이름을 따 와서 송추역이 생겼고, 이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나들목]] 이름도 동네 이름이 아닌 [[송추IC]]로 정해진 것. 교외선의 역사 있는 역들이 으레 그렇듯 1961년 교외선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년 뒤인 1963년에 [[보통역]]으로 승격했으나 1984년에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당했고, 같은 해에 [[을종승차권대매소]]가 설치되어 2002년까지 영업했다. 주변에 송추유원지와 사패산, [[도봉산]] 등이 있어서 교외선 개통 초기에는 승객수가 많았다. 유원지 행락객과 등산객이 이용객의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이용객들이 자동차를 타고 다니게 되어 교외선 이용객수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게다가 버스 노선까지 확충되면서 하루에 몇 대가 겨우 다니는 교외선의 경쟁력은 크게 줄어들었다.] 승객이 줄어 열차 운행이 줄어들고, 열차 운행이 줄어들어 승객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 끝에 [[2004년]] [[4월 1일]]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교외선과 동시에 송추역은 영업을 중지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가을철에 가끔씩 관광열차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2006년]] [[6월 30일]]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구간이 개통되면서 [[송추IC]]를 이용하면 바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교외선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참고로 교외선이 [[의정부역]]과 연결되기 전에 임시로 종착역을 맡았던 [[가릉역]]이란 역이 이 역과 [[의정부역]] 사이에 있었다. [[1960년대]]에 폐역되어 현재는 거의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 위치는 현재 경민대학교 앞 교외선 건널목. 2022년에 역사 옆에 있던 광장대합실이 인근 아파트 개발로 철거되었고, 2024년 구 역사가 노후화로 철거되어 역사가 새로 건설되었다.[[https://m.blog.naver.com/tenzworks/223486329445|#]] 신 역사에는 대합실과 매표소가 없고 화장실, 기계실만 존재한다. 대합실이 없기에 승강장 울타리에 있는 쪽문[* 쪽문은 열차 운행 시간대에만 개방한다.]을 열면 역 외부가 승강장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이며, 승강장에 고객대기실이 있다. 승차권은 역 내에 예매 사이트로 안내하는 QR 코드가 있어 웹사이트나 코레일톡을 이용하거나 차내에서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송추-가능 구간은 지상 고가선로를 통해 군부대를 통과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