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경원선]][[분류:경부본선]][[분류:경부선]][[분류:경인선]][[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293896>{{{#!wiki style="margin: 0px -5px"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서울교통공사|{{{#ffffff 서울교통공사}}}]]}}}|| ||<-2><)><bgcolor=#00ab84>{{{#!wiki style="margin: 0px -5px"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강원철도|{{{#ffffff 강원철도}}}]]}}}|| ||<-2><)><bgcolor=#0856a0>{{{#!wiki style="margin: 0px -5px"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남서울철도|{{{#ffffff 남서울철도}}}]]}}}|| ||<-2><tablebgcolor=#fff,#2d2f34>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d2f34><rowbgcolor=#fff,#2d2f34> [[파일:SM-1.svg|width=40]][[파일:DH-KK.png|width=40]][br][[파일:NS-GB.png|width=40]][[파일:NS-GI.png|width=40]]||{{{#0052a4 '''수도권 전철 {{{+1 1호선}}}'''[br]{{{-1 首都圈 電鐵}}} 1號線[br]{{{-1 Seoul Metropolitan Metro}}} Line 1}}} || }}} || ||<-2><bgcolor=#0052a4> {{{#white '''노선 정보'''}}} || ||<width=90px> '''분류''' ||운행계통([[경원본선]][* 운행계통 [[경원선]] 구간],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운행계통 [[경부선]] 구간], [[경인선]], [[경부본선/동탄 지선]])|| || '''기점''' ||[[동두천역]] || || '''종점''' ||[[인천역]], [[천안역]], [[동탄역]] || || '''역 수''' ||94개 || || '''구성 노선''' ||[[경원선]]{{{-3 ([[동두천역|동두천]]~[[청량리역|청량리]])}}}[br][[서울 지하철 1호선]]{{{-3 ([[청량리역|청량리]]~[[서울역]])}}}[br][[경인선]]{{{-3 ([[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br][[경부선]]{{{-3 ([[서울역]]~[[천안역|천안]])}}}[br][[병점기지선]]{{{-3 ([[병점역|병점]]~[[동탄역|동탄]])}}} || ||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52a4;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남색 {{{-2 (#0052A4)}}}}}}}}}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72BC;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남색 {{{-2 (#0072BC)}}}}}}}}}[* 강원철도 [[경원선]] 구간에서 사용한다.] || || '''개통일''' ||1974년 8월 15일^^([age(1974-08-15)]주년)^^ || ||<|3> '''소유자'''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br][[서울교통공사]][*구간1 [[서울 지하철 1호선]]([[청량리역]] ↔ [[서울역]])] ||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br][[강원철도]][*구간2 [[경원선]]([[동두천역]] ↔ [[청량리역]])] ||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남서울철도]][*구간3 [[경부선]]([[서울역]] ↔ [[천안역]]), [[경인선]]([[구로역]] ↔ [[인천역]])] || ||<|3> '''운영사'''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br][[서울교통공사]][*구간1] ||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br][[강원철도]][*구간2] ||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남서울철도]][*구간3] || || '''사용차량''' ||[[철도청 31x000호대 전동차]][br][[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br][[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br][[세이부 6000계 전동차]][*표준궤 남서울철도에서 수입하여 표준궤에 맞게 설비를 개조하였다.][br][[세이부 40000계 전동차]][*표준궤] || || '''차량기지''' ||[[구로차량사업소]][br][[병점차량사업소]][br][[이문차량사업소]][br][[군자차량사업소]] || ||<-2><bgcolor=#0052a4> {{{#white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78.2km[* 직선거리 상의 서울특별시청 - 무주군청 거리(183.5 Km)보다 약간 더 짧다.] || || '''궤간''' ||1,435mm || || '''선로구성''' ||복선{{{-3 ([[광운대역|광운대]]~[[서울역|서울]], [[동인천역|동인천]]~[[인천역|인천]], [[병점역|병점]]~[[동탄역|동탄]])}}}[br]복복선{{{-3 ([[동두천역|동두천]]~[[광운대역|광운대]], [[구로역|구로]]~[[천안역|천안]], [[구로역|구로]]~[[동인천역|동인천]])}}}[br]2복선+2단선{{{-3 ([[서울역]]~[[용산역|용산]])}}}[br][[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3복선|3복선]]{{{-3 ([[용산역|용산]]~[[구로역|구로]])}}} || || '''급전방식''' ||{{{#!wiki style="letter-spacing: -1px"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3 (카테너리가선)}}}[br]직류 1,500V [[가공강체가선]][br]{{{-3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강체가선)}}}}}} || || '''신호방식''' ||지상신호방식 || || '''폐색방식''' ||4현시 복선자동폐색방식 || || '''신호장비''' ||ATS-S2 || || '''최고속도''' ||{{{#!wiki style="letter-spacing: -1px" 경부선, 장항선, 경원선{{{-4 (의정부-동두천)}}}: 110km/h[br]경인선{{{-4 (구로-동인천)}}}: 100km/h[br]경원선{{{-4 (용산-의정부)}}}: 90km/h[br]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4 (동인천-인천)}}}: 80km/h}}} || || '''[[표정속도]]''' ||[[동두천역|동두천]] ↔ [[인천역|인천]] 38.4km/h[br][[광운대역|광운대]] ↔ [[동탄역|동탄]] 36.3km/h[br][[광운대역|광운대]] ↔ [[천안역|천안]] 44.5km/h[br][[용산역|용산]] ↔ [[동인천역|동인천]] '''{{{#01B3E6 쾌속}}}''' 42.4km/h[br][[용산역|용산]] ↔ [[동인천역|동인천]] '''{{{#F37B21 급행}}}''' 47.4km/h[br][[청량리역|청량리]] ↔ [[천안역|천안]] '''{{{#01B3E6 쾌속}}}''' 52.0km/h[br][[서울역]] ↔ [[천안역|천안]] '''{{{#fcb814 통근쾌속}}}''' 64.0km/h || || '''지하구간''' ||[[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나머지 구간인 동탄, 천안~구로, 구로~인천, 구로~남영, 회기~연천 구간은 지상구간이다.] || || '''통행 방향''' ||[[좌측통행]] || || '''개통 연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74. 08. 15. [[광운대역|성북]] ↔ [[인천역|인천]]/[[수원역|수원]][br]1979. 02. 01. [[성균관대역|율전]][br]1980. 01. 05. [[신이문역|신이문]][br]1980. 04. 01. [[회기역|회기]][br]1982. 08. 02. [[석수역|석수]][br]1984. 05. 22. [[신도림역|신도림]][br]1984. 11. 20. [[백운역|백운]][br]1985. 01. 14. [[석계역|석계]][br]1985. 08. 22. [[창동역|창동]] ↔ [[광운대역|성북]][br]1986. 09. 02. [[의정부역|의정부]] ↔ [[창동역|창동]][br]1987. 10. 05. [[가능역|의정부북부]] ↔ [[의정부역|의정부]][br]1987. 12. 31. [[중동역|중동]][br]1988. 01. 16. [[온수역|온수]][br]1988. 10. 25. [[금정역|금정]][br]1994. 07. 11. [[간석역|간석]], [[도원역|도원]][br]1995. 02. 16. [[구일역|구일]][br]1996. 03. 28. [[부개역|부개]][br]1997. 04. 30. [[신길역|신길]], [[소사역|소사]][br]1998. 01. 07. [[독산역|독산]][br]2001. 11. 30. [[도화역|도화]][br]2003. 04. 30.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br]2005. 01. 20.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br]2005. 12. 21. [[동묘앞역|동묘앞]][br]2005. 12. 27. [[세마역|세마]], [[오산대역|오산대]][br]2006. 06. 30. [[진위역|진위]], [[평택지제역|지제]][br]2006. 12. 15. [[소요산역|소요산]] ↔ [[가능역|의정부북부]], [[금천구청역|시흥]] ↔ [[광명역|광명]][* 2023년 1월 1일 폐지.][br]2007. 12. 28. [[덕계역|덕계]][br]2008. 12. 15.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2012년 [[장항선|장항선 전철]]로 편입.] [br]2010. 01. 21. [[당정역|당정]][br]2010. 02. 26. [[병점역|병점]] ↔ [[서동탄역|서동탄]][br]2021. 10. 30. [[탕정역|탕정]][br]2024. 08. 01. [[서동탄역|서동탄]] ↔ [[동탄역|동탄]][br]2025. 03. 15. [[양주봉양역|양주봉양]][br]2025. 09. 21. [[부성역|부성]][br]2027. 12. 16. [[회천역|회천]]}}}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4년 8월 15일에 [[서울 전차]]를 대체하여 개통된 [[대한민국]] 최초의 [[광역전철]]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도시철도다. 그리고 [[한반도]]에서 2번째이며 [[아시아]] 8번째 지하철이다.[* 동아시아에서 대한민국 서울보다 먼저 지하철이 들어선 도시는 완공 순으로 일본 [[도쿄메트로|도쿄]](1927), [[오사카메트로|오사카]](1933), [[나고야 시영 지하철|나고야]](1957), 중국 [[베이징 지하철|베이징]](1969), 일본 [[삿포로 시영 지하철|삿포로]](1971),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요코하마]](1972), 북한 [[평양지하철도|평양]](1973)의 7곳이다.] [[경인선]], [[경부선]] 등 [[간선철도]] 노선들과 직결되어 [[경기도]] [[동두천시]]에 있는 [[동두천역]]부터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에 있는 [[인천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천안역]]까지 연결한다. 총 길이 178.2km로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긴 거리를 운행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은 과거 [[서울특별시]]에서 비공식적으로 종로선이라 한 바 있다. 열차 통행 방향은 전 구간 [[좌측통행]]이다. 다른 노선의 지하 구간은 도시철도건설규칙의 적용을 받아 우측통행이 원칙이지만,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은 도시철도건설규칙이 제정되기 전 개통하였고 일반철도와 직통하므로 좌측통행으로 건설됐다.[* 도시철도건설규칙은 1호선이 개통된 이후에 제정됐으므로 오히려 1호선만을 위해 예외조항을 둔 것에 가깝다.] [[동두천시|동두천]], [[의정부시|의정부]], [[서울특별시|서울]], [[양주시|양주]], [[부천시|부천]], [[인천광역시|인천]], [[화성시|화성]], [[수원시|수원]], [[광명시|광명]], [[평택시|평택]] 등 [[경기도]] 주요 거점 지역은 물론, [[천안시|천안]] 등 [[충청남도|충남]]까지 연결하는 등 대한민국 최대 광역 도시철도이다. == 건설 목적 == * '''[[서울 전차|전차]] 폐지 후 과포화 상태가 된 [[사대문 안|서울 도심]]의 도로 교통 분산''' [[1기 지하철 계획|1기 지하철]] 및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의 건설 목적.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서울 도심의 주된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서울 전차가 1968년 차량 노후화와 누적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폐지되자 자연스레 버스를 비롯한 시내 도로교통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내 교통 혼잡을 해결하고자 계획된 것이 서울 지하철 1호선이다. 실제로 1호선은 종로에서 동대문을 거쳐 청량리로 가는 서울 전차 본선의 선형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사실상 전차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서울 도심과 외곽 지역 연결 및 비효율적인 단거리 일반열차 대체'''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장항선]]의 전철화 목적.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존 철도와 직결시키면서 서울시 외곽 베드타운과 인천시, 경기도, 충청남도 거주자들이 전철을 이용해 서울 도심으로 편리하게 통근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경인선의 경우 일반열차를 100% 광역전철로 대체함으로써 운영 비용과 소요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고, 경부선과 경원선의 경우 단거리 운행을 하던 [[비둘기호]]와 [[통일호]] 등 최하위 등급 열차들을 대체했다고 볼 수 있다. * '''[[광명역]], [[동탄신도시]]의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 광명셔틀과 [[병점기지선]] 지선들의 신설 목적. 광명셔틀은 개통 초기 대중교통 접근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던 KTX 광명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06년 신설되었고, 병점기지선 [[서동탄역]]은 [[수서평택고속선]] [[동탄역]] 개통 전까지 근처를 지나는 철도가 하나도 없었던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신도시 서부 외곽에 2010년 건설되었다. 이후 [[동탄인덕원선]] 인입선을 활용해 병점기지선이 동탄역까지 연장되면서 신도시 중심부와의 연계도 강화되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광명역]]의 접근은 [[신안산선]] 및 [[경강선]]의 개통으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된 상태이며, 2023년 1월 1일을 끝으로 광명셔틀 열차는 폐지되었다. == 기능 == 수도권 전철 1호선은 [[경기도]] [[동두천시]]부터 최서단인 [[인천광역시]] 및 최남단이라 할 수 있는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의 중심이자 핵심이며 수도권 대중교통의 중추이다. 1호선의 승하차 승객 수는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이은 전국 도시철도 노선 2위이며, 일평균 약 220만 명 이상이 1호선을 이용하고 있다.[* 2호선은 약 260만명이 이용하며, 전국 도시철도 노선 중 일평균 이용객 200만명 이상인 노선은 1호선과 2호선 밖에 없다.] 3위 그룹 4호선, 5호선, 7호선이 100만명대 초반 정도라는 것을 고려하면 승하차량 측면에서는 1호선이 2호선과 함께 쌍벽을 이루고 있다는 뜻이 된다. 2호선이 [[서울특별시]] 내의 각 중심지 및 지역을 잇는다면, 1호선은 수도권의 수많은 도시들과 서울을 연결한다. 또한 1호선이 지나는 [[기초자치단체]]는 28개이며, [[경기도]] 전체 31개 시군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11개 시군을 지나가고 있다. 둘 모두 수도권 전철, 더 나아가 대한민국 도시철도 노선 중 압도적인 1위라는 점에서 1호선의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지나가는 지역들의 양뿐만 아니라 질도 중요하다. 1호선이 지나는 도시 중 인구 50만이 넘는 대도시는 [[서울특별시]](930만), [[인천광역시]](300만), [[수원시]](119만), [[화성시]](93만), [[부천시]](77만), [[천안시]](66만), [[평택시]](58만), [[안양시]](55만)로 8개이다. 여기에 [[의정부시]](46만), [[아산시]](33만),[[양주시]](29만),[[광명시]](27만),[[군포시]](25만),[[오산시]](23만) 등도 인구 20만명 이상의 결코 작지 않은 도시들이다. 서울 내에서도 1호선은 주요 철도역인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영등포역]]을 모두 경유하며, 여기에 종로와 서울시청, 남대문, 동대문, 영등포, 노량진, 가산디지털단지 등 최중요 지역들을 여럿 거쳐가며 [[신설동역]]과 [[광운대역]] 사이 구간처럼 대학교 밀집 지역도 지나간다. 이 지역에 있는 대학교들은 서쪽부터 시작해서 |고려대, 동덕여대, KAIST 서울캠퍼스, 경희대, 한예종, 서울시립대, 한국외대, 광운대 등이 있다. 신촌-홍대거리 지역과 함께 한국 내의 투탑급 대학교 밀집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1호선은 수도권 전철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충청도]]에 진입하며, 1호선의 천안 연장은 천안이 수도권과 연계 및 교류를 더욱 강화시켰다. == 운행 환경 == === 안내방송 ===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 [[서울교통공사]] || [[강원철도]] || [[남서울철도]] || || 한국어 || [[강희선]] ||<-2> [[보이스웨어]] 혜련 || || 영어 || [[제니퍼 클라이드]] ||<-2> [[보이스웨어]] Julie || || 중국어 || 조홍매 ||<|2> 없음[* 강원철도는 일반형 전동차 운행계통에 중국어, 일본어 안내를 제공하지 않는다.] || TTS(미상) || || 일본어 || 도이 미호 || TTS(미상) || || 출발 BGM ||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3> 없음 ||<|3> 비프음[* 삐- 삐- 거리는 2옥타브 도의 음높이로 송출한다.] || || 환승 BGM || 풍년 || || 종착 BGM ||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 한국어 안내방송 담당 성우는 2010년부터 2018년 중순까지 [[서울교통공사]]와 [[강원철도]], [[남서울철도]] 모두 [[강희선]]이었고, 영어 안내방송 담당은 [[제니퍼 클라이드]]였다. 그 후 강원철도와 남서울철도는 안내방송을 TTS로 교체했다.[* 남서울철도는 1호선을 제외한 서울교통공사와 직통하는 노선([[하남선]], [[송파하남선]], [[과천안산선]] 등)에는 은영선 성우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서울교통공사는 계속 강희선-제니퍼 클라이드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서울교통공사 열차에서만 레드벨벳의 계도 안내방송이 2021년 4월까지 송출됐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에서는 차내 안내방송에서 외부 상업 건물("~로 가실 분은 □□역 ☆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안내방송을 송출하지 않는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e.g., [[종로5가역]])에서는 부역명 안내방송이 나온다. [[동묘앞역]], [[청량리역]], [[인천역]] 종착은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이 하이라이트 버전으로 송출된다. == 차량 운용 == 철도청 시절에는 경부선 계통은 서울지하철공사가 경인선 계통은 철도청이 운행했다. 2000년 철도청이 민영화 되고 얼마 안 가 경부선 계통에도 강원철도 및 남서울철도 차량이 같이 운행하였으나, 남서울철도가 강원철도로부터 계열 분리된 이후 강원철도는 동두천·양주·의정부-인천 계통에만 차량을 투입했으나, 현재는 강원철도와 남서울철도의 운용유동화 협약으로 1호선 계통의 차량 운용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이는 강원철도가 이 계통에 철도청 시절 차량을 폐차 없이 지금까지 운용 중에 있으며 같은 형식의 전동차를 남서울철도에서도 운용 중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강원철도는 해당 차량이 대폐차 되더라도 남서울철도와 차량 사양을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드물지만 남서울철도 차량이 동두천-광운대 구간을 운행할 때도 있고 강원철도 차량이 경인선 쾌속을 운행하는 경우 역시 있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양주 이북, 병점 이남 경부선 구간은 운행하지 않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