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신촌오거리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1 '''新村五거리驛'''[br]'''Sinchon 5(o)-geori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신촌오거리역}}}}}}'''|| ||<width=120><:><-2>[[홍대입구역|{{{-2 {{{#000,#fff 외선순환}}}}}}]][br][[홍대입구역|홍대입구]][br]← 1.3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40}}}}}}]]||<-2><width=120><:>[[시청역(서울)|{{{-2 {{{#000,#fff 내선순환}}}}}}]][br][[이대역|이 대]][br]0.8 ㎞ →|| ||<-6><:>[[서강대역|[[파일:DH-KJ.png|height=17]] 경의·중앙 완행선으로 갈아타기]]||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창전동 146)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1984년 5월 2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40번.[* 개정 전 40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서울)|신촌로]] 지하90 ([[창전동(서울)|창전동]] 146) 소재. 원래 노고산동 소속이었으나 행정구역 정리 과정에서 2018년 창전동에 편입되었다. 원래 노고산동이 신촌역 로타리 육각형 부분을 전부 다 차지하고 있어서 신촌역이 노고산동 소속이었는데, 행정구역 정리 차원에서 노고산동과 창전동의 경계를 신촌로 도로로 직선화하면서 노고산동이 관할하던 신촌역이 창전동으로 넘어갔다. == 역 정보 == [[서울특별시]]의 [[부도심]] 가운데 하나인 [[신촌]]의 중심부인 신촌로터리의 지하에 있다. 역 인근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의 대학가를 끼고 있기에 환승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며, 이 역 자체만으로도 랜드마크이다.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과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새로 단장되고 뉴타입의 폴사인이 설치되었다.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와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투시형 캐노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원래 2, 4번 출구를 통제하고 약 한 달간 공사를 완료한 후 개방하여 1, 3번 출구를 계속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2, 4번 출구는 [[선개통 후완공]]되었고, 1, 3번 출구는 착공을 먼저 한 후 폐쇄되었다. 이 역과 [[홍대입구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45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 === 서부선 환승 === 2031년 [[서울 경전철 서부선|서부선]]이 개통하면 인근에 정차하는 [[노고산역]]과 간접환승이 되거나 [[서강대역]]까지 연결시켜서 세 역을 하나로 합치면서 환승하게 된다. 게다가 서부선이 [[새절역|새절]] 방면으로는 신촌오거리역 인근 창천동에 추가로 [[연세대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적절하고 환승통로가 편리하게 건설된다면 연세대로 통학하기 편해질 것이다. 하지만 아직 착공 전이고, 다른 사업에 우선순위가 계속 밀리고 있어 언제 착공이 이루어질 지는 확언할 수 없다. 그래서 서강대역으로 통일할 가능성이 그나마 높아보이지만, 이미 이 역이 개통한 지가 오래되어 [[경의 쾌속선]] [[신촌역]]보다 이 역 주변이 신촌이라고 불리는 판이라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부산의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경성대·부경대역]]처럼 두 역명을 붙여서 '''신촌·서강대역''' 혹은 '''서강대·신촌역'''이 될 가능성도 있다.] == 역 주변 정보 == [[현대백화점 신촌점]](구. 그레이스백화점)과 연결된 지하도 부분을 제외한 지하철 역 자체의 구조는 서울 지하철 역 전체를 통틀어서 단순하다. 위아래로는 지하 1층 맞이방 지하 2층 플랫폼으로 끝 옆으로 보면 약간 휘어진 직사각형 네 모퉁이에 출구가 두 개씩 있다. 이같은 구조의 단순함은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서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촌역 위의 지상에 있는 신촌로터리는 5거리인데 8개의 출구만 있다 보니, 6번 출구와 7번 출구 사이에 [[하나은행]] 쪽(서강대 방향)의 블록에는 출구가 없어서 한 번 더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 [[연세대학교]] 학생 중 [[서울 버스 5713|5713번]]이나 [[서울 버스 163|163번]]의 이용객들은 보통 이쪽 정류장에서 내리기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서 신촌로를 건너고자 하여도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신호등이 바뀌기를 기다려서 길을 건너야 한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 이전 163번의 경우는 정문 앞까지 갔지만 이 역을 지난 이후 염리동 쪽으로 가서 [[서강대학교]] 주변을 한 바퀴 크게 도는 P턴을 한 후 다시 이 역을 지나 연세로로 들어갔었다. 현재는 163번의 경우 현대백화점 신촌점 정류장에서 내려서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 이 역 인근에 일명 '빨간거울' 또는 '빨잠'이라 불리는 '빨간 잠망경'이라는 이름의 조형물이 유명하다. 이쪽으로 나오면 바로 보이던 스무디킹이 없어졌는데, 액체괴물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로 바뀌었다. 정확히는 2016년 11월쯤 다른 곳으로 이전했었고, 2019년 2월경에 새로운 가게가 들어섰다. 그외에도 [[CGV 신촌아트레온]]이 있다. === 출구 정보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84d><tablebgcolor=#fff,#1f2023> {{{#000,#fff [[파일:SM-2.svg|width=20]] 신촌역 출구 정보}}} ||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1}}}||동교동삼거리[br][[서울창서초등학교]][br][[현대백화점 신촌점]][br]취업사관학교 서대문캠퍼스||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2}}}||[[연세대학교]][br]스타광장[br]현대백화점 신촌점·현대백화점 신촌점 U-Plex||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3}}}||연세대학교[br][[세브란스병원]][br]문학의거리·명물거리[br]헌혈의집 신촌 연대앞센터||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4}}}||창천동[br]신촌동주민센터·신촌치안센터[br]신촌우체국[br][[신촌역(경의선)|경의선 신촌역]][br][[CGV 신촌아트레온]][br]헌혈의집 신촌센터[br]이대역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5}}}||대흥동주민센터[br][[창천중학교]][br][[서울창천초등학교]][br]이대역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6}}}||[[서강대학교]][br][[근로복지공단]][br][[한국전기안전공사]] 서울지역본부[br][[대흥역]]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7}}}||[[서강대교]] 방면[br]신촌삼익아파트||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8}}}||동교동삼거리 방면|| == 일평균 이용객 == 본래 신촌역은 1996년에 [[잠실역]]과 [[강남역]]에 이어서 전국 지하철 역 승하차 이용객 수 3위(140,324명)였다. 그러나 기존 신촌과 서울시청 방향 다음 역인 [[이대역]] 주변의 상권의 몰락과 더불어 [[홍대거리|홍대]] 상권의 성장과 함께 이 역에서 영등포, 강남 방향 다음 역인 [[홍대입구역]]으로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환승연계로 인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승객들이 해당 역으로 유입되면서 2010년[* 이때부터 [[인천국제공항철도]]가 홍대입구역에 들어섰다.]에는 승하차량(112,799명)이 신촌역과 홍대입구역(120,293명)이 역전되었다. 2010년대 이후로는 상황이 더 안 좋아져서 주변 상권은 공실이 더 늘어남과 동시에 뒤이어 2011년 연세대학교가 [[송도국제도시]]에 국제캠퍼스를 열었고, 2012년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개통되면서 홍대입구역과 [[서강대역]]을 지나게 되면서 이용객의 감소 및 분산이 일어났다. 그래도 2011년 다시 승하차량이 반등되었고, 이후 홍대 상권의 쏠림이 진정되면서 부활 조짐이 있는 듯 했지만, 이후 승객 승하차량이 다시 줄어들면서 2018년 이후로는 10만 명 이하[*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보면, 강남역, 잠실역, 홍대입구역, 신림역, 삼성역, 신도림역, 서울대입구역, 선릉역, 을지로입구역 다음이며, 강북권으로 보면 홍대입구역, 을지로입구역 다음이다. 무엇보다 2016년 강변역, 2017년 을지로입구역이 일평군 승하차량이 10만 명 밑으로 떨어진 데 이어서 이 역마저 2018년 10만명으로 줄어들면서 2024년 현재 강북 지역에서 일평균 10만 명을 기록하고 있는 역은 홍대입구역이 유일하다. 모든 노선으로 확대해도 1호선 서울역과 함께 둘 뿐이다.]로 줄어들었다. 이후 2020년 [[코로나 19]]가 시작된 이후로는 이전에 비해 절반 가량 줄어들었는데, 이는 주변 대학들(연세대, 서강대)에서 대면 수업을 자제하고 비대면 수업을 치렀고, 주변 [[신촌]] 상권도 더 몰락하면서 2021년 5만 4천 명까지 내려갔다. 그나마 이후 다시 조금씩 회복되면서 7만 명 대로 접어들었고, 아직 계획 중이지만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된다면 고양시 방면의 수요[* 2024년 기준 고양시에서 전철을 이용해 서울 도심으로 가는 경우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나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이 있지만, '경의·중앙선'은 용산 쪽으로 내려가는 쪽은 배차 간격이 최장 30분, 서울역 쪽은 4량에 배차가 최장 1시간 정도로 극악이며, '3호선'은 직접 도심으로 가지 않고 은평구 북동부와 홍제동, 독립문 쪽으로 우회해서 가는 노선이라 오래 걸린다. 때문에 고양시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경우는 자가용 아니면 버스를 이용하는데, 연선 도로마다 혼잡하고 이용이 많아 출퇴근 시간 대에는 빈 좌석을 찾기 어렵다.]를 이 역을 경유해 [[여의도역|여의도]]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무엇보다 3기 신도시인 [[창릉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고양선]] 구간의 예타면제까지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건설 추진 전망은 밝다.] 당연하지만, 아무리 신촌 상권이 죽고 신촌역 이용객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하더라도 서대문구 관내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관내의 나머지 역을 다 합쳐도 신촌역에 미치지 못하던 시절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관내 2,3위 철도역인 서대문역과 홍제역을 합한 것보단 신촌역의 이용객이 많다. == 승강장 == ||<-4> [[홍대입구역|홍대입구]]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이대역|이대]]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홍대입구]]·[[합정역|합정]]·[[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신도림역|신도림]]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시청역(서울)|시청]]·[[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신당역|신당]]·[[성수역|성수]] 방면|| 이 역은 홍대입구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으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10월 8일부터 노후화 된 안전문 제어설비 교체공사로 인하여 안전문 가동을 하지 않는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width=34%><-2><:>[[홍대입구역|{{{-2 {{{#000,#fff 홍대입구}}}}}}]]{{{-2 {{{#000,#fff ·}}}}}}[[신도림역|{{{-2 {{{#000,#fff 신도림}}}}}}]] {{{-2 {{{#000,#fff 방면}}}}}}[br][[홍대입구역|홍대입구]][br]← 1.3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시청역(서울)|{{{-2 {{{#000,#fff 시청}}}}}}]]{{{-2 {{{#000,#fff ·}}}}}}[[왕십리역|{{{-2 {{{#000,#fff 왕십리}}}}}}]] {{{-2 {{{#000,#fff 방면}}}}}}[br][[이대역|이 대]][br]0.8 ㎞ →|| == 주변 교통 == [[고양시]]에서 이 역을 종점으로 하는 일반좌석버스들이 많았었으며, 고양시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웬만한 버스 정류장에서 [[수색로]]를 거쳐 신촌역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벽제(관산동, 내유동) 지역에서도 [[고양 버스 82|82번 버스]]를 이용하여 신촌역으로 갈 수 있다. 경의선 연선 역 주변에서는 경의·중앙선 본선을 타고 [[서강대역]]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다. 경의선 개통 이후 파주시에서는 신촌을 종점으로 하는 버스들이 큰 타격을 받고 현재는 대다수 폐선된 상태이다. 그나마 운정신도시에서는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나 M버스를 타고 연세대 정류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신촌역행 일반좌석버스 대부분이 배차 간격이 크게 나빠졌다. [[안양시]]와 이곳을 잇는 [[서울 버스 5713]]번 버스도 있다. 이 역에서 나와서 [[연세로]]를 걸어서 [[연세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은 연세대학교 정문 기준 동쪽에만 횡단보도가 있던 관계로 대다수가 길 건너는 시간을 아끼기 위해 3번 출구를 통해서 역에서 나오기 때문에 등교시간이나 매시 수업시간이 임박해질 때면 3번 출구 주변과 3번 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가 매우 혼잡하였다. 하지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으로 정문 기준 서쪽에도 횡단보도가 생겨서 2번 출구 이용도 상당히 늘었다. 또한 3번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는 획기적으로 넓어졌다. 이 역 위의 신촌로터리는 전국 교통사고 최다 발생 지역으로 [[강남구]] 논현동의 교보타워사거리, 영등포로터리 등과 함께 악명이 높다. 왜냐하면 지나는 차량 자체가 매우 많고, 도로 구조까지 5지형으로 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교차로 구간이 길기 때문이다. 게다가 빠른 차량 소통을 위하여 5거리에서 각 방향에 8시 방향 좌회전을 금지하고 11시 방향 좌회전과 1시 방향 직진 그리고 4시 방향 우회전만을 허용하며, 나머지는 이면도로를 통해 P턴하는 구조라 교통체계마저 복잡하다. 서강대교 방면에서 오는 차량은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11시 방향)의 좌회전마저 금지되어서 [[이대역]] 방향(1시 방향)으로 직진만 가능했었다가 동교동 방향으로도 좌회전이 가능해졌다. [[서울특별시]]에서는 1990년대 [[고가도로]] 설치나 신호체계를 4지형으로 바꾸거나, 이 역→연대정문 간 연세로를 일방통행으로 하는 등의 논의는 해보았으나 실현된 것은 없었고, 2010년에는 전국 사고 발생 1위를 기록하였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1092609490554010|「전국 최다 교통사고 발생 지역은 이곳」]], 머니투데이, 2011-09-26]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가 개통함과 동시에 버스만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서강대학교 정문에서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의 직진이 금지되었다. 연희동 셔틀버스인 [[서울 버스 서대문03]], [[서울 버스 서대문04]]이 이 역 3, 4번 출구 사이 우회전 구간을 [[회차지점]]으로 삼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신촌역(도시철도), version=58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