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을지로입구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1 '''乙支路入口驛''' (하나銀行)[br]'''Euljiro 1(il)-ga Station''' (Hana Bank)}}}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을지로입구역}}}[br](하나은행)}}}'''|| ||<width=120><:><-2>[[시청역(서울)|{{{-2 {{{#000,#fff 외선순환}}}}}}]][br][[시청역(서울)|시 청]][*西 을지로 지하상가를 통해 [[시청역(서울)|시청역]]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br]← 0.7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02}}}}}}]]||<-2><width=120><:>[[왕십리역|{{{-2 {{{#000,#fff 내선순환}}}}}}]][br][[을지로3가역|을지로3가]][*東 을지로 지하상가를 통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br]0.8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을지로 지하42 (을지로1가 100-1)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1984년 5월 2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02번.[* 개정 전 2번.]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 지하42 ([[을지로|을지로1가]] 100-1) 소재. == 역 정보 == [[https://www.youtube.com/watch?v=jIC6qvZxK8E|1983년 당시 을지로 구간 주행 영상]] [[서울/영등포|영등포]] 구간을 남겨두었을 때(을지로입구-[[서울대입구역|서울대입구]] 사이)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다. [[을지로3가역]] 방면으로 건넘선이 존재하여 시종착역이었던 시절에는 이 역에서 [[회차]]를 하였지만 지금은 하지 않고, 그대신 지금은 이 역에서 시종착하 첫차와 막차만 양방향 모두 1대씩 존재한다. 본선 좌측에 주박선이 존재하는데 내선순환 혹은 외선순환 첫차는 이 주박선을 이용하고 남은 1대는 승강장에서 주박한다. 역명은 [[을지로]]에서 유래했으며 광복 후 [[일본]]식으로 된 도로명을 한국식으로 바꿀 때 [[을지문덕]] 장군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을지로1가]]에 세워졌기 때문에 '입구'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 역의 로마자 표기는 Euljiro 1(il)-ga이다. 그래서 안내방송을 듣다 보면 '이번역은 을지로입구역입니다. This stop is 을지로1가' 라고 방송한다. [[다원시스]] 제작 전동차의 통로문 위 전광판에도 "Euljiro"로 표기되고 있다. 다른 '입구'가 들어가는 역들의 로마자 표기 또한 'Entrance' 표현이 없는데, 단 한 곳 'Entrance'를 쓰는 역은 [[아차산역|아차산(어린이대공원 후문)역]](Rear Entrance to Seoul Children's Grand Park)이다. 이 역은 2호선 [[을지로]] 구간 상부를 그대로 따라가는 을지로지하상가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쪽으로는 [[시청역(서울)|시청역]], 동쪽으로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까지 지상으로 나가지 않고 오갈 수 있다. 2023년 이 역과 시청역을 잇는 비밀 통로가 공개되었다. [[1988년]]에는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과 함께 [[1988 서울 패럴림픽]]에 대비하여 [[서울 지하철]] 최초로 경사형 휠체어리프트가 4대 설치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8091600239121005|「地下鉄 휠체어 리프트 설치」]], 조선일보, 1988-09-16] 해당 시설은 [[2005년]]에 을지로입구역이 모든 동선에 [[엘리베이터]]를 갖춤에 따라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2017년에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역명 유상병기 사업]]으로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이 병기역명으로 추가됐다. 중소기업은행이 단독으로 입찰해 3억 8,000만 원에 수의계약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인근에 하나은행 신사옥이 준공되면서 두 은행 간 마찰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하나은행 신사옥이 기업은행 본점보다 역에서 훨씬 가까운 데다가 1, 2번 출구가 하나은행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이 1, 2번 출구 부지를 소유하지만, 지하철 건설로 인해 구분[[지상권]]이 달려서 소유권을 행사하지는 못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스크린도어]]를 자행 광고로 도배하고 열차 내 광고 안내방송까지 송출하고 있어 병기역명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해 입찰하지 않았다. 하나은행 측은 [[을지로3가역]]과 더 가까운 기업은행이 을지로입구역 병기역명에 입찰할 줄은 상상하지 못했다. 하나은행은 IBK기업은행 병기역명 폐기를 요구했으나 적법한 절차에 의해 병기된 병기역명을 지우는 것은 불가능했고, [[중소기업은행]]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병기역명을 지울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지지부진한 협상 끝에 하나은행 소유인 1, 2번 출구에서만 IBK기업은행을 지우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538534?sid=101|「KEB하나·기업은행 '격전지' 을지로입구 역명 갈등 봉합」]], 연합뉴스, 2017-09-12] 2022년 계약 만료로 새 병기역명을 모집하였는데, 절치부심한 하나은행은 8억 원을 써내 역명을 가져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01326?sid=102|「“이번에 내릴 역이 하나은행역이라고?”…8억이 부른 변화」]], 조선일보, 2022-07-03] 2022년 9월부터 병기역명이 하나은행으로 변경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에는 금융업체가 매우 많다. 대부분 [[한국은행]] 근처라는 점을 활용해 본점 영업부가 있는 편이다. 역 주변에 있는 금융업체는 다음과 같다. * 금융공기업: [[예금보험공사]](본사) - [[종각역]]에 더 가깝지만 [[청계천]] 남쪽이라 을지로입구역 금융가로 본다. * [[금융지주회사]]: [[DGB금융지주]](서울본부) * [[은행]]: [[하나은행]](본점), [[하나금융그룹]] 명동사옥(舊 [[KEB외환은행]] 본점), [[우리은행]](본점 영업부), [[수협은행]](본점 영업부), [[광주은행]](서울영업부), [[iM뱅크]](서울영업부), [[BNK부산은행]](서울영업부), [[KB국민은행]](명동점), KB국민은행(명동영업부), [[신한은행]](광교영업부)(舊 [[조흥은행]] 사옥 터, [[재건축]]), [[신한은행]](서울롯데지점)(롯데백화점 본점 입주), 신한은행 서울광장출장소, [[IBK기업은행]](본점 영업부) * [[증권사]]: [[하나금융투자]](영업1부), 하나금융투자(명동금융센터), [[DB금융투자]](을지로금융센터), [[KB증권]](명동스타PB센터)(舊 [[현대증권]] 영업부), [[SK증권]](명동PIB센터), [[미래에셋대우]](본사 센터원빌딩), [[iM증권]](명동지점), [[신한금융투자]](TFC서울금융센터), [[유안타증권]](본사), [[교보증권]](명동지점), [[대신증권]](본사) * 단, 대신증권 본사는 [[을지로3가역]]에 더 가깝다. * 외국계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서울지점) * 상호금융: [[신협]](한국외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 하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하나은행 본사 사옥 입주; 舊 외환, 舊 하나 직원들만 사용 가능), 신협(국민은행신용협동조합)(KB국민은행 명동영업부 내부 위치; 국민은행 직원만 이용 가능), [[유안타증권#역사|유안타저축은행]](을지로지점), [[DB저축은행]](본점), [[신한저축은행]](본점 영업부), [[SBI저축은행]](을지로지점), [[웰컴저축은행]](을지로입구역지점) * [[보험사]]: [[iM라이프]]생명보험, [[SGI서울보증]] 을지로지점, [[메리츠화재]]보험 인터넷플라자, [[KB생명]] 프리미엄, [[삼성화재]](전략TM6지점), 삼성화재(중앙고객지원센터), [[한화손해보험]] * 보험판매법인(GA): GA코리아, 윌리스타워스왓슨코리아손해보험중개 서울 최대 번화가 중 한 곳으로 유명한 [[명동]]이 근처에 있다. 명동 상권으로 들어가는 입구 중 하나이며, 청계천(광교)을 넘으면 [[종각역]]이 나오며 조금 더 [[조계사]] 방향으로 올라가면 [[안국역]]까지도 이동이 가능하다. 지도상으로도 종각역과 [[명동역]]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통해 종각이나 명동으로 이동할 경우 [[서울역]]에서 1, 4호선으로 환승해서 갈 수 있으나, 배차 간격이 1시간이라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하여 을지로입구역으로 가는 것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6번 출구에는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가 있다. 도보 1분 거리에는 [[하이드파크]]와 [[Apple 명동|Apple Store 명동점]]이 있다. 7, 8번 출구 쪽에는 [[롯데]]타운이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에비뉴엘, 영플라자, [[롯데호텔 서울]] 그리고 롯데빌딩이라고도 불리는 한국 [[롯데]] 건물이 있다. 7, 8번 출구 중간에 [[롯데백화점 본점]]으로 직통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 또 [[서울특별시청|시청]] 방향 출구를 통해 [[무교동]]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금융 덕후의 성지인 [[남대문로]]상에 있는 역이라 은행 및 증권사 순례의 출발점으로도 많이 쓰인다. 연결되어 있는 종각역에 밀리지만 청계천을 통해 [[종로구]] 관철동 및 [[광교(청계천)|광교]] 쪽으로 건너가면 이 역에서도 [[영풍문고]] 본점이 가깝다. 3, 4번 출구와 연계된 [[구몬|교원]]내외빌딩 지하 1층에는 [[북스리브로]] 을지점(구 을지서적)이 있었으나 2000년대 들어 이미 쇠퇴한 상태였으며, 2012년 9월 14일을 끝으로 폐점했다. 1, 2번 출구 바로 앞에 [[하나은행(합병 이전)|하나은행]] 본점(영업1부)이 있었으나 2013년 개축으로 인해 [[종로구]] [[공평동(종로구)|공평동]]의 그랑서울 빌딩으로 임시 이전했고, 2015년에 [[KEB외환은행]]과의 [[역합병]]으로 구 외환은행 본점이 하나은행의 본점이 되면서 하나은행 본점을 가려면 5번 출구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했다. 명동과 근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들을 비롯한 외국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회용 [[교통카드]]를 사야 한다면 줄을 서느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 2호선 이용객들에게는 [[시청역(서울)|시청역]]이나 이 역이나 [[서울도서관]]과의 거리가 비슷하다. 2호선 시청역이 서쪽으로 상당히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시청역에서 환승 통로와 1호선 승강장을 전부 지나와야 서울도서관으로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도서관을 올때 외선순환에서 1-1 쪽에 탑승하였을 경우 이 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것이 더 낫다. 서울의 중심부이고 근처에 은행 본점이나 주요지점이 많아서 역 구내에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의 ATM이 동시에 설치돼 있다. 모두 공동망 제휴기기가 아닌 입금까지 가능한 은행 자체기기로 은행들이 이 역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AN사 제휴까지 포함하면 도보 5분 거리인 [[종각역]] 앞에 본점이 있는 [[SC제일은행]]도 NICE와의 제휴로 들어와 있다. 신한은행은 9호선의 ATM이 [[KB국민은행]]으로 바뀌면서 수도권 전철 중 신한은행 ATM이 설치된 곳은 이곳을 포함해 그렇게 많지 않다. 역 근처에 구 조흥은행 본점인 광교영업부가 있다. [[인천 지하철 2호선]]에도 이 은행의 ATM이 설치된 역이 있다. 하나은행은 이 역 외에는 주로 [[신분당선]] 역에 설치되어 있다. 역 바로 앞에 본점이 있다. 우리은행은 전철역에 ATM이 설치된 경우가 별로 없는데,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과 [[시청역(서울)|1, 2호선 시청역]]에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 옛 상업은행 본점인 종로지점이 있다. == 승강장 == ||<-4> [[시청역(서울)|시청]]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서울)|시청]]·[[신촌오거리역|신촌오거리]]·[[홍대입구역|홍대입구]]·[[신도림역|신도림]] 방면||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신당역|신당]]·[[성수역|성수]]·[[잠실역|잠실]] 방면|| 이 역부터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까지 모든 역이 오른쪽 문만 열린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시청역(서울)|{{{-2 {{{#000,#fff 시청}}}}}}]]{{{-2 {{{#000,#fff ·}}}}}}[[홍대입구역|{{{-2 {{{#000,#fff 홍대입구}}}}}}]] {{{-2 {{{#000,#fff 방면}}}}}}[br][[시청역(서울)|시 청]][br]← 0.7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왕십리역|{{{-2 {{{#000,#fff 왕십리}}}}}}]]{{{-2 {{{#000,#fff ·}}}}}}[[잠실역|{{{-2 {{{#000,#fff 잠실}}}}}}]] {{{-2 {{{#000,#fff 방면}}}}}}[br][[을지로3가역|을지로3가]][br]0.8 ㎞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