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하남선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하남선]][[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wiki style="margin: 0px -5px"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남서울철도|{{{#ffffff 남서울철도}}}]]}}}|| ||<height=100px><-2><tablebgcolor=white,#2d2f34>{{{#!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2d2f34><tablebgcolor=#fff,#2d2f34> [[파일:NS-H.png|width=50]]||{{{#996cac '''{{{+1 하남선}}}'''[br]河南線[br]Hanam Line}}} || }}} || ||<-2><nopad> [[파일:5호선_5077.png|width=100%]] || ||<-2><:>[[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996cac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2><bgcolor=#996cac> {{{#fff '''노선 정보'''}}} || ||<width=90px> '''분류''' ||[[도시철도]]|| || '''기점''' ||[[상일동역]]|| || '''종점''' ||[[팔당역]]|| || '''역 수''' ||7개|| || '''개통일''' ||2020년 8월 8일 || || '''노선기호''' ||'''{{{#996cac H}}}''' || || '''소유자'''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남서울철도}}}]] || || '''운영자'''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남서울철도}}}]] || || '''운용차량'''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 || '''차량기지''' ||[[고덕차량사업소]][br][[방화차량사업소]] || ||<-2><bgcolor=#996cac>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9.9㎞|| || '''궤간''' ||1,435mm || || '''선로구성''' ||[[복선]]||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US&S(현 히타치 레일 STS) [[열차자동제어장치|ATC]]/[[열차자동운전장치|ATO]]|| || '''선로최고속도''' ||80㎞/h|| || '''개통연혁''' ||2020. 08. 08. [[상일동역|상일동]] ↔ [[하남풍산역|하남풍산]],,([[강일역|강일]] 제외),,[br]2021. 03. 27. [[강일역|강일]], [[하남풍산역|하남풍산]]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br]2023. 12. 23. [[팔당역|팔당]]||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역]]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팔당역]]까지 가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직결하여 운행되는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한 구간이다. == 역사 == === 추진 배경 === [[하남시]]는 서울로 가는 철도가 없어서 서울로 갈 때 상당한 교통체증이 있어왔다. 기초자치단체로서 재정에 한계가 있는 하남시에선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992년부터 서울의 [[강동역]]과 하남을 잇는 고가 경전철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정부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고, 마침 민간투자사업이라는 개념이 생기면서 정부는 하남 경전철 사업을 1995년에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했으나, 당시에는 참여하려는 기업이 없었다. 한편 [[서울특별시]]와 [[강동구]]는 강동역 대신 [[상일동역]]을 경전철의 종점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하남시의 강동-하남 경전철 구상과 대립했다. 서울시와 강동구가 상일동역 노선안을 지지한 이유는 고가 경전철의 경관 훼손 및 소음 문제, 강동역이 위치한 천호대로의 혼잡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550929#home|「강동구 - 하남시 경전철 역사 선정 2년째 표류」]], 중앙일보, 1997-11-10] 결국 서울시의 주장이 관철되어 1999년에 계획상 종점이 상일동역으로 변경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90800099138001&editNo=16&printCount=1&publishDate=1999-09-08&officeId=00009&pageNo=38&printNo=10467&publishType=00010|「서울~하남 경전철 노선 확정」]], 매일경제, 1999-09-08] 당시의 노선은 상일동에서 상일IC와 하남대로 및 대청로를 거쳐 창우동을 종점으로 하고 차량기지는 현재의 스타필드 하남 인근에 두는 것으로 하였다. 현재의 하남선과의 큰 차이점은 미사강변도시를 경유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당시 이 지역은 개발제한구역이라서 시골동네였기 때문이다. 노선 변경 후 하남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이 재고시되어, 2000년에 현대컨소시엄이 우선협상자의 자격을 획득했다. 현대컨소시엄은 부대사업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한 택지개발을 요구했으나, 그 개발제한구역에 해당하는 곳이 풍산지구로 지정되면서, 민자사업자는 이를 대체할 부지를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예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한 결과, 땅값이 크게 상승하는 바람에 부대사업(택지개발)으로도 민자사업자가 이익을 낼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와[* 한국개발연구원(2003), 하남 경전철 민자사업 타당성 재검증] 2005년에 민자 경전철 계획이 최종 무산되었다.[* [[http://www.k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383|「'하남 경전철 건설사업' 백지화 초읽기」]], 교차로저널, 2005-03-02] 이 와중에 하남시 정계 인사들은 경전철보다는 5호선 하남 연장을 희망했는데,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좋지 않게 나와 진척이 지지부진했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1933|「하남 경전철 추진 사실상 백지화」]], 시티뉴스, 2003-01-24] 그 동안 하남시의 교통을 개선하기 위해서 하남 [[BRT]] 사업 등이 추진되었다. 2009년에 하남시 망월동, 풍산동, 선동, 덕풍동 일원이 미사강변도시라는 이름의 보금자리주택 조성 부지로 선정되자, 미사강변도시의 교통 대책으로 하남시에서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연장을 제안하였다. 국토해양부도 이를 반영해서 미사강변도시까지 5호선을 연장하는 계획을 확정했다. 그 후 국토해양부와 경기도 및 하남시가 추가로 협의해서, 2010년에 미사강변도시를 거쳐서 하남시 원도심까지 5호선을 연장하는데 합의했다. 당시 하남시가 구상하던 노선은 상일동~강일지구~미사지구~풍산지구~덕풍동~하남시청~검단산~하산곡동이었다. 하남시는 주한미군 반환기지인 하산곡동 소재 캠프 콜번을 종점으로 계획하고 있었는데, 중앙대학교 하남캠퍼스 유치를 추진 중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노선안은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할 것이 우려되었고, 이에 검단산~하산곡동 구간을 제외한 대안 노선을 입안했다.[* [[https://www.ehanam.net/news/articleView.html?idxno=3300|「지하철 5호선 연장노선 감축 추진」]], 하남신문, 2010-07-14] 이 대안 노선이 2011년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B/C 1.02, AHP 0.508로 통과되었다. 본래 이 사업은 '5호선 연장' 등의 이름으로 거론되었으나, 사업을 추진하는 경기도에서 2010년에 경기도와 연계된 서울지하철 연장 사업에 대해 도내 지명을 사용하기로 함에 따라 '하남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0053072248|「수도권 지하철 연장노선 해당 지명 사용」]], 한국경제, 2010-05-30] 하남선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중전철로 계획해도 경전철로 축소되는 최근의 도시철도 트렌드에서, 원래 경전철이었던 계획이 중전철 직결로 업그레이드된 드문 사례이다. === 추진 과정 === 하남선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후 노선에 대한 세부 검토를 거쳐 2013년 노선을 확정하였다. 고덕로와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 및 미사강변한강로와 덕풍서로를 거치는 노선이 검토1안, 강일역에서 강일1지구를 관통한 후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와 미사강변동로 및 덕풍로를 거치는 선형이 검토2안이었다. LH의 요구로 인해 1안에서 미사역 위치를 북쪽으로 이동시킨 최종노선안이 나오게 되었다. 또한 검토 과정에서 신설역이 6개에서 5개로 줄어들고 덕풍초교 교차로, 신장중학교입구 교차로,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앞에 역을 지으려던 것에서 신장초교사거리, 창우초교 앞에 역을 짓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ctnews.co.kr/16305|「지하철 하남연장 최종 선정(안) 나왔다」]], 시티뉴스, 2012-06-14] 모든 과정을 마치고 2014년에 착공하였다. 사업비 부담은 총 사업비 9,810억 원 중 국비 4,024억 원(41.0%), 경기도비 813억 원(8.3%), 하남시비 813억 원(8.3%), 서울특별시비 863억 원(8.8%), LH 3,297억 원(33.6%)이다. 서울특별시비 중 850억은 강일1지구(558억)와 강일2지구(292억)가 부담한 역사 건립 부담금이고[* [[https://n.news.naver.com/article/396/0000119622|「강일주민에 전철역사 비용 전가 논란」]], 스포츠월드, 2013-09-12], LH의 부담금은 미사강변도시 입주민들이 낸 교통분담금을 수탁한 것이다. 2014년 9월 29일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시각공원에서 하남선 기공식을 열었다. 공사는 전구간을 5공구로 나누어 1공구(상일동 시점~강일역~서울시계)는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나머지는 경기도 건설본부에서 주관하였다. 2018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공사가 지연되어 하남풍산역까지의 1단계 연장 구간은 2019년 6월로 연기되었다가 다시 2020년 4월 25일로, 하남검단산역까지의 2단계 연장 구간은 2020년 12월 27일로 연기되었다. 서울 상일동~미사(강일역 인근)가 난공사 구간이라서 연기를 결정했다고 한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30064|「하남, ‘하남선’ 1단계 개통시기 또 연장」]], 시티뉴스, 2018-05-24] 1단계 연장 구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시운전이 잠정 연기되어 2020년 8월 8일 개통하였다. 2020년 8월 7일 [[미사역]]에서 강일역을 제외한 [[상일동역]] ↔ [[하남풍산역]] 1단계 개통식을 했으며[* 하남풍산역에서 진행하려고 했지만 미사 지역의 주민과 정치인들의 요구로 장소 변경 [[http://www.k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9739|#]]], 다음 날인 8월 8일에 정식운행을 시작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920416|「지하철 5호선 연장 하남선 1단계 개통식…내일 첫 운행」]], SBS, 2020-08-07] 이 즈음 [[하남검단산역]] 이북으로 연장하여 [[팔당역]]까지 가자는 연장 논의가 제기됐는데, 남서울철도에서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연장 사업을 독단 추진하였다. 하지만 하남선 팔당역의 운영사를 누구로 할 것인가에서 [[강원철도]]와 마찰이 발생했지만, 팔당역을 공동사용역으로 선정함으로서 일단락되었다. 물론 현재 하남선 팔당역 구간의 관리는 강원철도에서 진행하며, 역명판 양식이 강원철도 양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2021년 1월 23일, 하남선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연장 구간을 기공하였다. 따로 기공식은 실시되지 않았다. 그 와중 2단계 구간은 2021년 3월 27일로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사가 나왔고, 결국 실제로 연기됐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33279|「하남, 하남선 2단계 연말 개통 불투명」]], 시티뉴스, 2020-09-15] [[남서울철도]]에 의하면 하남선 2단계 구간 영업시운전을 2021년 1.30~2.19 동안 실시했었다. 1단계 구간에 속한 2단계 역이라서 개통되지 않고 선로만 운영 중인 [[강일역]]은 시운전 대상이 아니라서 무정차 통과하였다. 개통 전 일주일 간 사전운행을 하여 강일역도 시범정차하였다. 2021년 3월 27일에 [[강일역]]과 [[하남풍산역]] ↔ [[하남검단산역]]이 개통됐다.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서 하남선 2단계 개통식은 취소됐으며 개통 전날에는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와 직원 일부가 시승식을 하고 개통 당일에 하남검단산역에서 김상호 당시 하남시장과 최종윤 국회의원(하남시)이 시민들과 첫차를 함께 탑승하는 첫차 시승식으로 대체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809764?sid=102|「하남시, “지하철5호선 ‘하남선’ 전(全) 구간 27일 개통”」]], 헤럴드경제, 2021-03-22] 2023년 12월 23일, 하남선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구간이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역명 제정 === * 2019년 1월 28일부터 2월 12일까지 하남시민을 대상으로 하남시내 신설 역명을 공모하였다.[* [[https://www.hanam.go.kr/news/selectBbsNttView.do?key=4220&bbsNo=1164&nttNo=158623|하남시 뉴스포털 > 보도자료]]] 그 결과, H2(가칭 미사역)에 미사역, 미사강변역, 하남종합운동장역 등이, H3(가칭 풍산역)에 하남풍산역, 나룰역, 덕풍역 등이, H4(가칭 덕풍역)에 하남시청역, 덕풍역, 신장역, 석바대역 등이, H5(가칭 검단산역)에 검단산역, 창우역, 하남역 등이 접수됐다. 시는 백년도시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제안된 명칭 중 최종 3개안을 선정한 뒤 3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시민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고, 2019년 5월 29일에 최종 선정했다. H2, H3, H4, H5의 역명은 각각 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으로 결정되었다. * 2019년 5월 8일부터 5월 21일까지 강일동주민센터에서 구의원, 통장, 반장, 주민자치위원회 등을 통해 H1역의 역명을 공모하였다. 그 결과로 선정된 후보 역명 1~3순위를 바탕으로, 5월 27일부터 6월 7일까지 강동구 모든 동의 주민센터에서 구민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2019년 7월 3일 제1회 강동구 지명위원회에서 역명을 심의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8179376|서울특별시 > 원문정보 > 결재문서]]] 이를 통해 H1역의 역명은 강일역으로 결정되었다. == 차량 == 하남선 개통을 대비해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 도입분인 577~580편성이 신규 도입되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를 기반으로 소소한 변경이 이루어졌다.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개통 3일 후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 5호선 차량은 기존 76개 편성에서 80개 편성으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고덕차량사업소]]가 일부 확장되었다. == 역 목록 == ||<|2><tablebordercolor=#996cac><rowbgcolor=#996cac><rowcolor=#ffffff> 역번 ||<|2> ㎞ ||<|2><-2> 역명 ||<-2> 승강장 ||<|2> 환승노선 ||<-2><|2> 소재지 || ||<rowbgcolor=#996cac><rowcolor=#ffffff> 형태 || 횡단 || ||H53 || 0.0 ||[[상일동역|상일동]] ||上一洞 || │■│■│ || ○ || ||<|2><bgcolor=#c0c0c0,#555> [[서울특별시]] ||<|2> [[강동구]] || ||H54 || 0.8 ||[[강일역|강 일]] ||江 一 || ■││■ || ○ || || ||H55 || 2.6 ||[[미사역|미 사]] ||渼 沙 || ■││■ || ○ || ||<|5> [[경기도]] ||<|4><bgcolor=#c0c0c0,#555> [[하남시]] || ||H56 || 4.7 ||[[하남풍산역|하남풍산]] ||河南豊山 || ■││■ || ○ || || ||H57 || 6.0 ||[[하남시청역|하남시청(덕풍·신장)]] ||河南市廳(德豊·新長) || ■││■ || ○ || [[파일:NS-SH.png|width=20]] [[송파하남선]] || ||H58 || 7.7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河南黔丹山 || ■││■ || ○ || || ||H59 || 9.9 ||[[팔당역|팔당]] ||八堂 || ■││■ || ○ || [[파일:DH-KC.png|width=20]] [[중앙 쾌속선]][br][[파일:DH-KJ.png|width=20]] [[경의·중앙 완행선]] ||<bgcolor=#c0c0c0,#555> [[남양주시]] || == 운영 == === 운영사와 운영비용 === 하남선은 서울시와 하남시가 운영사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구 철도청에서 민영화된 사철인 [[남서울철도]]가 하남선의 운영사로 선정되었고, [[서울교통공사|서울메트로]]는 이에 대해 크게 반발했으나[* 소수의 서울메트로 직원들이 남서울철도 본사인 [[대전역]]까지 가서 시위할 정도였다.] [[서울특별시]]와 [[하남시]]가 중재에 나서 서울메트로가 하남선의 서울구간인 [[상일동역]]과 [[강일역]]에서 발생하는 영업이익의 전부를 가져간다는 조건으로 합의하였다. 하남선의 운영사가 [[서울 지하철 5호선]]과 달라 하남선 구간을 오가는 모든 열차는 [[상일동역]]에서 승무교대를 진행한다. 개통 후에도 하남선의 모든 역에 부대시설이 들어오지 않고 있다. 기존 부대시설은 운영사가 직접 임대하고, 광고를 따로따로 발주하지만, 하남선(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은 하남시가 직접 임대하며 광고시설을 한번에 발주를 넣고 있다. 이는 남서울철도와 하남시의 수수료 관련 협상이 결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계속해서 사업이 유찰되어 부대시설이 들어오지 않았으며 결국 6차례나 유찰된 끝에 공공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꿨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34828|「하남, ‘하남선’ 역사 시민이용 공간 활용」]], 시티뉴스, 2021-11-25] 이후 공공 목적으로 활용하는 부대시설을 제외한 9개 상가에 대해서는 2024년에 완판되었고[* [[https://m.ctnews.co.kr/38110|「하남, 5호선 역사 내 상가(9개) 임대완료」]], 시티뉴스, 2024-05-16], 이로써 하남시 관내 모든 역에 편의점이 들어왔다. === 열차 운행과 배차간격 === 하남선을 운행하는 열차 중 하남선 구간만을 단독운행하는 열차는 없으며, 모든 열차가 상일동역 이서의 [[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시내구간]]으로 직통운행한다. 이 중 일부시간대[* 평일 각 2회, 주말 각 1회에 한하여 오전시간대 강동 → 팔당 및 심야시간대 팔당 → 강동 열차가 편성되어 있다.]를 제외한 대부분의 열차가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의 최서단역인 [[방화역]]까지 운행한다. 하남선 개통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의 열차운행 비중이 마천행:팔당행:상일동행이 5:4:1 정도였다. [[고덕차량사업소|고덕기지]]에서 팔당역 방향으로 가는 기지입고선이 준공된 2022년 8월 이후 시간표 개선이 이뤄져서 상일동발 열차는 평일기준 10회 내외(상일동 ↔ 강동 4회 제외)로 줄어들고 줄어든만큼을 팔당행으로 증차 운행하였다. 이로써 첫차시간대를 제외하고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으로 크게 벌어지는 현상은 없어졌다. [[2023년]] 기준으로 출퇴근시간대 소수의 [[상일동역]] 종착 [[고덕차량사업소|고덕기지]] 입고 열차와 막차를 제외하면 본선 운행열차는 모두 팔당행으로 운행하게 됐다.[* 일부 상일동역에서 입고하는 열차를 제외하면 대부분 팔당역에서 종착 후 고덕기지까지 공차회송한다.] 2023년 출근시간 상일동발 열차가 2회 증차되면서 상일동발 열차는 평일기준 12회 내외(상일동 ↔ 강동 2회 제외)로 늘어났다. 하남선의 경우 팔당발 강동행 열차가 2회 증차됐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