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하남선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추진 과정 === 하남선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후 노선에 대한 세부 검토를 거쳐 2013년 노선을 확정하였다. 고덕로와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 및 미사강변한강로와 덕풍서로를 거치는 노선이 검토1안, 강일역에서 강일1지구를 관통한 후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와 미사강변동로 및 덕풍로를 거치는 선형이 검토2안이었다. LH의 요구로 인해 1안에서 미사역 위치를 북쪽으로 이동시킨 최종노선안이 나오게 되었다. 또한 검토 과정에서 신설역이 6개에서 5개로 줄어들고 덕풍초교 교차로, 신장중학교입구 교차로,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앞에 역을 지으려던 것에서 신장초교사거리, 창우초교 앞에 역을 짓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http://www.ctnews.co.kr/16305|「지하철 하남연장 최종 선정(안) 나왔다」]], 시티뉴스, 2012-06-14] 모든 과정을 마치고 2014년에 착공하였다. 사업비 부담은 총 사업비 9,810억 원 중 국비 4,024억 원(41.0%), 경기도비 813억 원(8.3%), 하남시비 813억 원(8.3%), 서울특별시비 863억 원(8.8%), LH 3,297억 원(33.6%)이다. 서울특별시비 중 850억은 강일1지구(558억)와 강일2지구(292억)가 부담한 역사 건립 부담금이고[* [[https://n.news.naver.com/article/396/0000119622|「강일주민에 전철역사 비용 전가 논란」]], 스포츠월드, 2013-09-12], LH의 부담금은 미사강변도시 입주민들이 낸 교통분담금을 수탁한 것이다. 2014년 9월 29일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시각공원에서 하남선 기공식을 열었다. 공사는 전구간을 5공구로 나누어 1공구(상일동 시점~강일역~서울시계)는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나머지는 경기도 건설본부에서 주관하였다. 2018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공사가 지연되어 하남풍산역까지의 1단계 연장 구간은 2019년 6월로 연기되었다가 다시 2020년 4월 25일로, 하남검단산역까지의 2단계 연장 구간은 2020년 12월 27일로 연기되었다. 서울 상일동~미사(강일역 인근)가 난공사 구간이라서 연기를 결정했다고 한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30064|「하남, ‘하남선’ 1단계 개통시기 또 연장」]], 시티뉴스, 2018-05-24] 1단계 연장 구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시운전이 잠정 연기되어 2020년 8월 8일 개통하였다. 2020년 8월 7일 [[미사역]]에서 강일역을 제외한 [[상일동역]] ↔ [[하남풍산역]] 1단계 개통식을 했으며[* 하남풍산역에서 진행하려고 했지만 미사 지역의 주민과 정치인들의 요구로 장소 변경 [[http://www.k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9739|#]]], 다음 날인 8월 8일에 정식운행을 시작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920416|「지하철 5호선 연장 하남선 1단계 개통식…내일 첫 운행」]], SBS, 2020-08-07] 이 즈음 [[하남검단산역]] 이북으로 연장하여 [[팔당역]]까지 가자는 연장 논의가 제기됐는데, 남서울철도에서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연장 사업을 독단 추진하였다. 하지만 하남선 팔당역의 운영사를 누구로 할 것인가에서 [[강원철도]]와 마찰이 발생했지만, 팔당역을 공동사용역으로 선정함으로서 일단락되었다. 물론 현재 하남선 팔당역 구간의 관리는 강원철도에서 진행하며, 역명판 양식이 강원철도 양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2021년 1월 23일, 하남선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연장 구간을 기공하였다. 따로 기공식은 실시되지 않았다. 그 와중 2단계 구간은 2021년 3월 27일로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사가 나왔고, 결국 실제로 연기됐다.[* [[http://www.ctnews.co.kr/sub_read.html?uid=33279|「하남, 하남선 2단계 연말 개통 불투명」]], 시티뉴스, 2020-09-15] [[남서울철도]]에 의하면 하남선 2단계 구간 영업시운전을 2021년 1.30~2.19 동안 실시했었다. 1단계 구간에 속한 2단계 역이라서 개통되지 않고 선로만 운영 중인 [[강일역]]은 시운전 대상이 아니라서 무정차 통과하였다. 개통 전 일주일 간 사전운행을 하여 강일역도 시범정차하였다. 2021년 3월 27일에 [[강일역]]과 [[하남풍산역]] ↔ [[하남검단산역]]이 개통됐다.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서 하남선 2단계 개통식은 취소됐으며 개통 전날에는 이재명 당시 경기도지사와 직원 일부가 시승식을 하고 개통 당일에 하남검단산역에서 김상호 당시 하남시장과 최종윤 국회의원(하남시)이 시민들과 첫차를 함께 탑승하는 첫차 시승식으로 대체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809764?sid=102|「하남시, “지하철5호선 ‘하남선’ 전(全) 구간 27일 개통”」]], 헤럴드경제, 2021-03-22] 2023년 12월 23일, 하남선 [[하남검단산역]] - [[팔당역]] 구간이 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