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범계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경기도의 철도역]][[분류:과천선]] {{{+1 '''범溪驛'''[br]'''Beomgye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범계역}}}}}}'''|| ||<width=120><:><-2>[[남태령역|{{{-2 {{{#000,#fff 남태령 방면}}}}}}]][br][[평촌역|평 촌]][br]← 1.3 ㎞ ||<|2><-2><width=120><bgcolor=#00A4E3><:>[[과천안산선|[[파일:NS-GA.png|height=20]][br]{{{-2 {{{#fff 과천안산선[br]GA43}}}}}}]]||<width=120><:><|2><-2>[[오이도역|{{{-2 {{{#000,#fff 오이도 방면}}}}}}]][br][[금정역|금 정]][br]2.6 ㎞ → || ||<-2><bgcolor=#00A4E3> [[남태령역|{{{#ffffff {{{-3 ◀ 4호선 직통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지하130 (호계동 1039-2)||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A4E3> [[과천선|{{{#ffffff 과천선}}}]] ||<-4>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A4E3> [[과천선|{{{#ffffff 과천선}}}]] ||<-4> 1993년 1월 15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남태령역|{{{-1 {{{#000,#fff 남태령 방면}}}}}}]][br][[평촌역|평 촌]][br]← 1.3 ㎞ ||<colbgcolor=#f5f5f5,#373a3c><-2><:>'''[[과천선]]'''[br]범 계||<-2><:>[[금정역|{{{-1 {{{#000,#fff 금정 방면}}}}}}]][br][[금정역|금 정]][br]2.6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계동의 '호(虎)'를 순우리말 '범'으로 바꾼 지명''' >범계역은 1993년 1월 15일 과천선이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7,283㎡ 규모로 과천선의 다른 역사들처럼 철근 콘크리트 지하 역사로 지어졌다. 인근에 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하여 과천선의 역들 가운데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으로 <한국철도요람집 1993>에 따르면 당시 연간수입이 430백만원으로 인근 다른 역들의 1.5~2배에 달했다. 역명이 유래한 범계동 지명은 호계동의 방죽말, 안말, 샛터말을 통칭해 일컫던 말로 과거 이곳 초목이 우거지고, 그 냇가에 범이 많이 살았다하여 범계라 불렸으며, 이 범계를 한자말로 표기한 것이 오늘날 호계동이다. 이런 배경으로 1992년 호계동에서 지역이 독립하고, 역이 들어서면서 순수 우리말 지명을 되살려 범계가 되었다고 한다. >----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과천안산선]] GA43번.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지하130 (호계동 1039-2) 소재. == 역 정보 == 역 이름은 역이 위치한 곳인 호계동(虎溪洞)에서 유래했다. [[동해선]] [[호계역|호계역(虎溪驛)]]과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한자어 지명 대신 순우리말 기반 지명인 '범계'(범溪)를 택했다.[* [[https://www.anyang.go.kr/dongan/contents.do?key=1212|범계동 유래]], [[https://www.data.go.kr/data/15064041/fileData.do|수도권 4호선 역명의 공식 한자 표기]].] 간체자 표기는 순우리말 '범'을 음차한 '凡溪'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법정동은 그대로 호계동이지만 행정동은 1992년에 범계동으로 명명되었다. 평촌신도시 전체가 안양시의 여타 지역과 달리 법정동과 행정동 명칭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인지 평촌신도시 주민들은 법정동 대신 행정동 명칭을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설 당시에는 8개 출구가 있었지만, 2008년에 범계역에서 뉴코아아울렛 평촌점 방향으로 4-1번 출구가 개설되었다. 2009년 초, 2번 출구와 4번 출구를 제외한 전 출구에 대형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 2011년 5월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현재 가동 중이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인덕원역]]과 같이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로 인하여 가동이 일시 중단된 적이 있다. 스크린도어 개량 전에는 1호선 [[대방역]], [[주안역]]처럼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 음성이었으나 개량 후에는 [[광주 1호선]] 대다수 역들, 경의중앙선 [[망우역]]~[[양정역(경기)|양정역]]과 똑같은 '승강장 안전문이 열립니다' 이 음성이 나온다. [[산본역|산본]], [[안산역|안산]], [[오이도역|오이도]]방면 기준으로 마지막 지하역이다. 반면 [[사당역|사당]], [[당고개역|당고개]], [[진접역|진접]]방면으로는 지하구간이 시작되는 기점이며 [[이수역|총신대입구역(이수)]]까지 쭉 이어진다. 평촌 방면 승강장 벽면에 지하철체로 된 구형 역명판 흔적이 있고 [[https://blog.naver.com/scott234/221405321970|사진]] 금정 방면 승강장 기둥에 구형 역명판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24149|사진]] 남서울철도 열차에만 평촌마리아병원 산부인과 광고가 있다.[* 강희선 성우 안내방송이다.] 금정역 방향에 단선형 쌍굴 구간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남서울 구간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으며, 4호선 승하차객 수 전체 6위로 상위권 자리를 차지한다. 평촌신도시의 상업 중심지이자 [[안양시]]의 새로운 교통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어서 이미 주변 지역의 개발이 완료되었음에도 2014년까지 빠른 속도로 이용객이 늘어났다. 2005년에 하루 이용객 5만 명 돌파, 2012년에는 6만 명을 돌파하여 안양시 [[동안구]]와 의왕시 사람들이 범계역을 주로 이용했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으며 다시 이용객이 감소해 2017년에는 6년 만에 일일 이용객이 5만 명대로 돌아왔다. 범계역의 주된 이용객은 [[안양시]] [[동안구]] 신촌·귀인동에 넓게 펼쳐진 평촌학원가를 찾는 [[과천시]], [[수원시]], [[의왕시]], [[안산시]], [[군포시]] 일대의 학생과 학부모들이다. 범계역 번화가에서 먹고 놀거나 볼 일이 있는 사람들 또는 서울로 출퇴근하려는 비산동, 호계동 및 의왕시 고천동 일부 주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이 정도만 해도 배후 인구가 10만 명이 넘는 수준인데, 범계역의 이용객 수를 보면 과천시, 수원시, 동작구 등을 포함 곳곳에서 온 사람들 역시 이 역을 자주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양시 내에서도 경부선 특급, 쾌속급행과 [[경부선|경부선 전철]]이 정차하고 안양1번가라는 번화가가 있는 [[안양역]]을 제치고 안양시 내 지하철 수요 1위다. 출퇴근시간 범계역을 보면 엄청난 인파를 볼수 있으며 주로 서울로의 출퇴근이 많기에 출근에는 탑승객이 퇴근에는 하차객으로 붐빈다. 그렇다고 해서 출근시간에 하차객이, 퇴근시간에 승차객이 적은 편은 아닌지라 혼잡도가 굉장히 높은 편이다. == 승강장 ==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개찰구별로 승강장이 분리돼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다. 4호선의 남서울 구간에서는 선바위역과 함께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둘 뿐인 역이다. 승강장을 잘못 찾아 들어갔다면 개찰구 끝에 있는 비상문의 직원 호출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직원이 문을 열어준다. [[평촌역]] 방면으로 건너편 선로로 건너가는 [[건넘선]]이 존재한다. 따라서 [[금정역]] 이남에서 사고가 일어나면 [[당고개역]] 방면으로 비상 회차가 가능하지만, 다음 역인 금정역이 [[경부선]] 환승역이며 주박용 승강장도 갖추고 있어 사고 대처가 쉬운 관계로 이 건넘선은 실제로 이용된 적은 없고 금정역에서 사고가 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용될 지는 미지수였다. 하지만 2023년 9월 15일, [[https://naver.me/G2xKKy0J|범계역과 금정역 사이 선로에서 모터카가 탈선하는 사고]]가 일어나 하행선을 막아버리자, 사고 복구 전까지 열차 운행을 위해 이 건넘선을 활용하여 4호선 역사상 처음으로 '''범계행''' 열차가 운행 되었다. [* 지연 회복을 위해 [[https://rail.blue/railroad/logis/Default.aspx?train=S4515&date=20230915|일부 열차]]는 인덕원행으로 운행하며 과천선-4호선 직결 후 약 30년만에 '''인덕원행''' 역시 부활했었다. 4호선과 과천선이 직결될 때 기존 사용하던 X자 회차선을 철거하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일.] 사고 복구 후에는 오이도까지 열차가 다시 운행 되었으나 일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차량]]이 지연 회복을 위해 산본역에서 타절하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4> ↑ [[평촌역|평촌]] ||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2}}} || ||<-4> [[금정역|금정]] ↓ ||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1}}} ||<|2> [[파일:NS-GA.png|width=20]] [[과천안산선]] ||[[인덕원역|인덕원]]·[[대공원역(과천선)|대공원]]·[[이촌역|이촌]]·[[명동역|명동]]·[[당고개역|당고개]] 방면||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2}}} ||[[금정역|금정]]·[[산본역|산본]]·[[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 이 역부터 [[사당역]]까지 모든 역이 왼쪽 문만 열린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A.png|width=20]] [[과천안산선]] || ||<-2><width=34%> [[당고개역|{{{-2 {{{#000,#fff 당고개 방면}}}}}}]][br][[평촌역|평 촌]][br]← 1.3 ㎞ ||<-2><width=32%><bgcolor=#00A4E3><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2><width=34%> [[오이도역|{{{-2 {{{#000,#fff 오이도 방면}}}}}}]][br][[금정역|금 정]][br]2.6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범계역, version=64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