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성수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지선]] {{{+1 '''聖水驛''' (올리브영)[br]'''Seongsu Station''' (Olive Young)}}}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성수역}}}[br](올리브영)}}}'''|| ||<width=120><:><-2>[[왕십리역|{{{-2 {{{#000,#fff 외선순환}}}}}}]][br][[뚝섬역|뚝 섬]][br]← 0.8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11}}}}}}]]||<-2><width=120><:>[[잠실역|{{{-2 {{{#000,#fff 내선순환}}}}}}]][br][[건대입구역|건대입구]][br]1.2 ㎞ →|| ||<width=120><:><-2>{{{#gray 시종착}}}||<-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지선|{{{-2 {{{#fff 2호선[br](성수지선)[br]211}}}}}}]]||<-2><width=120><:>[[신설동역|{{{-2 {{{#000,#fff 신설동 방면}}}}}}]][br][[용답역|용 답]][br]2.3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00 (성수2가3동 300-1)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1980년 10월 3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11번[* 개정 전 11번.],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00 ([[성수동|성수2가3동]] 300-1) 소재. == 역 정보 == 2호선의 열차번호 기준이 되는 역으로 을지로순환선 본선 열차는 이 역을 기준으로 한 바퀴를 돈 것으로 간주되어 열번이 바뀐다. 또한 [[신설동역]], [[군자차량기지]]로 향하는 [[성수지선]]이 분기하는 역이기 때문에 성수지선 열차의 종점이자 군자차량기지 입고 열차의 종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순환선 입고 열차의 경우 이 때는 순환이 아닌 성수행 행선지를 달고 성수역까지 온 뒤 기지로 입고한다. 순환열차인 줄 알고 탑승했다가 이 역에서 갑자기 불이 꺼지고 탑승했던 승객이 모두 내리는 광경을 보고 당황[* 물론 도착 전에 종착역이라는 안내방송이 로고송과 함께 송출되나, 이어폰 착용 등으로 듣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해 할 수 있는데, 이럴 때는 내려서 다음 열차를 이용하거나 드물긴 하지만 건너편 승강장에 출고된 열차[* 차량을 바꾸는 기교체에 해당된다.]에 탑승할 수도 있다. 기교체의 경우 외선순환은 4번 선로로 들어가 그대로 입고하므로 그전에 2번 선로에 1대가 출고해서 대기하고 있지만 내선순환의 경우 선로 구조상 성수역 종착 열차가 1번 선로에서 종착을 한 뒤 3번 선로로 회차해서 입고하므로 그런 경우가 매우 드물다. 2호선 [[신도림역]], [[시청역(서울)|시청역]]이 없던 시절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2호선을 넘나들 수 있는 유일한 역이었기 때문에 지금도 성수지선 환승 안내방송에는 1호선 구간이 언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구간도 같이 방송에서 언급한다. 외선순환 ↔ [[성수지선]]의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섬식 승강장 하나를 두 노선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내리면 바로 코 앞에 있고 하차 승강장에서 환승이 이뤄진다. 4~7번째 칸이 아니라면 약간 걸어가야 한다. 10량 기준 4~7번째 칸에 정차하도록 되어 있다. 반대쪽인 내선순환의 경우는 1-1 혹은 10-4으로 이동하여 계단을 통해 건너간다. 위치는 승강장 양 끝에 있어 내린 위치에 따라서는 멀게 느껴지는 편이다.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쌍섬식 승강장]]이라서 그런지 상당히 비좁은 편이다. 대합실로 내려가는 [[계단]]이 승강장 한가운데가 아닌 양 끝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데, 승강장 폭이 너무 좁아서 승강장 중간에 계단을 낼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성수역에 내린다면 열차 맨 앞 칸이나 맨 뒷 칸에 탑승해야 계단과 가장 가깝다. 최근의 공사로 승강장 중간에 엘리베이터가 2개 가량 설치되었지만 승강장이 좁은 관계로 휠체어가 들어가기 어려운 9인승으로 제작됐다. 이 역과 [[용답역]]은 [[장안철교]]로 연결되어 있다. 성수-용답 구간은 2.3km로 2호선 전 구간에서 최장 역간거리이며, 성수지선을 이용하면 4분 정도 걸리지만, 중랑천 통과로 인하여 버스 또는 차량을 이용하면 20분 정도가 걸린다. 이 역의 각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내려가는 계단에 적힌 '''뛰지맙시다''' 문구에 [[지하철체]]가 잘 보존되어 있다. 이 문구는 [[종로3가역]] 1호선 인천/신창 방면 ↔ 3호선 환승통로에도 있다. 2호선에서 유일하게 스크린도어 역명판의 글씨체가 지하철체로 유지되어 있었다. 그리고 1차 교체대상 중에 유일하게 PSD 서울남산체 역명판을 부착하지 못했다. 교체 전 스크린도어도 서울남산체를 부착한 [[김포공항역]], [[광화문역]], [[군자역]], [[왕십리역]], [[신림역]], [[을지로3가역]], [[방배역]]과는 대조적이다. 스크린도어 재설치 후에는 스크린도어 역명판 글씨체가 서울남산체가 되었다. 단, 3~4번 승강장 스크린도어 너머의 역명판은 현재도 양쪽 모두 지하철체 그대로이다. 2019년 1월 8일부터 4월 18일까지 [[스크린도어]] 교체가 시작되었다. 현재 모든 승강장이 스크린도어 재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4개의 출구 모두 [[에스컬레이터]]가 가동되고 있다. 2006년 6월 24일에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지하철 끼임 사고를 성수역에서 촬영했다. [[성수지선]]을 별개의 노선으로 간주한다면 이 역은 [[수도권 전철]] 유일의 고가-고가 환승역이 된다. 전국 범위로 확장한다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이 환승하는 [[대저역]]도 있다. 2024년 8월 9일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 결과 [[올리브영]]이 낙찰되었다. 낙찰가는 10억이다. 이에 따라 '''성수(올리브영)역'''으로 병기 표기된다. == 역 주변 정보 == 2010년대 이후 성수동 상권이 핫플레이스로 주목받으면서 젊은이 취향의 카페나 의류 가게들이 많이 들어섰다. 근처 [[건대거리]] 상권과 시너지를 주고 받는 점도 있다. 성수역 주변에는 주로 [[제조업]] [[공장]] 및 [[지식산업센터]]가 포진해 있다. 20세기만 해도 [[성수동]] 일대가 [[경공업]] 공단 지대로 유명했기 때문에 기계·의류 등의 생산에 종사하는 중·소규모 공장들이 지금도 꽤 있다. 다만 21세기 들어 폐공장들이 늘어나면서 카페들이 들어서 독특한 풍경을 선보였기에 인스타 감성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지식산업센터로 [[재개발]] 붐이 일면서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들이 많이 입주해 이런 폐공장 지대도 많이 사라졌다. 대부분의 공장들은 평단가 1억 원 이상에 거래되어 땅주인이 부동산에 내놓아 문을 닫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도 성수역 주변에서 공사하는 곳들은 대부분은 과거 공장부지이다. [youtube(-9PSpAn-nBc)] 성수동 상권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임대료도 높아지고 있다. 시구청에서 [[젠트리피케이션]] 대비한다고 프렌차이즈 입주 등을 막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임대료는 높아지다 보니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성수역 남쪽에 성수역 현대 테라스타워, 성수역 SK V1 타워가 [[2018년]]~[[2019년]] 입주해 이 지역 [[지식산업센터]]의 붐을 일으켰다. 그리고 SK V1타워 바로 옆에 [[https://factorial.co.kr/seongsu|팩토리얼 성수]]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서며 급격히 바뀌고 있는 중이다. [[큐브엔터테인먼트]]가 1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드림티엔터테인먼트]]도 2015년에 이 역 근처로 이전했으나, 이후 용산구로 재이전을 하였다. 한편, 성수역 주변에 또 많이 볼 수 있는 것이 [[카센터]]이다. [[현대자동차|현대]], [[기아]], [[한국GM]], [[르노삼성]], [[아우디]](고진모터스), [[재규어 랜드로버]](천일오토모빌), [[벤츠]](한성자동차), [[BMW]](도이치모터스), [[푸조]], [[혼다]], [[토요타]], [[렉서스]], [[크라이슬러]], [[볼보]] 등 브랜드 직영의 자동차정비소도 있고 종합자동차검사소, 드라이빙라운지도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차를 볼 수 있다. 고급 자동차도 제법 볼 수 있다. 전국에서 가장 큰 [[가죽]] 도매상도 이곳에 있다. 4번 출구에서 남서쪽(연무장7길)으로 100m 정도만 가면 많은 가죽 상점들을 볼 수 있다. 성수역은 '수제화 거리'로 조성되어 성수역 고가 아래로 수제화 전문점들이 다양하게 들어서 있다. '성수역 수제화 거리'는 국내 수제화 제조업체의 70%가 밀집되어 있는 국내 최대의 수제화 생산지로, 이곳 장점은 스스로 수제화 [[구두]]를 맞춤주문해서 제작이 가능한 공방들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후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수제화 공방들은 사라지는 추세고, 그 자리에 [[인스타]] 감성용 [[카페]], [[음식점]]들이 늘어나고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꺾으면 성락성결교회가 있는데, 매달 넷째 주 토요일 그곳에서 CCM 사역 단체 [[제이어스(미니스트리)|제이어스]]의 집회가 있다. 그날 오후에는 역 주변이 평소와는 다름없지만 그날 저녁 집회가 끝나면 한꺼번에 많은 신도들이 교회에서 빠져나가 주변 교통이 매우 혼잡해지고 이 역도 미어 터진다. 3번 출구 근방 성수AK밸리 2차에 2021년 6월 10일 [[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동부지청]] 성동광진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생겼다. 성동구, 광진구의 취업 알선 및 실업급여 등을 관할한다. === 혼잡 문제와 대책 === 최근 [[팝업 스토어]]가 주변에 많아 유동인구가 많이 늘었다. 2024년 7월 보도에선 안전요원을 배치한 상태고, 구청이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출구 앞 거리가게를 이전하겠다고 해 변화가 예상된다. 시청, 서교공에 출구 증설을 요구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거절당했다고 한다.[[https://youtu.be/SrlwUD0cHa0?si=vC3GjIGdG7F-TnuT|#]] 설상가상으로 성수역은 쌍섬식 승강장이라 확장도 불가능하다. 결국 서울교통공사는 2025년 10월 이전까지 성수역 2,3번 출입구 계단 신설 공사를 완료하기로 하였다.[[https://www.ytn.co.kr/_ln/0103_202408081330026485|#]] 서울특별시 성동구는 2024년 8월 4일 성수역 3번 출구 주변의 인파 밀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도상영업시설물과 거리가게 이전을 완료했다.[[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807_0002841707|#]] 한편 동년 9월 보도에 따르면 주변 보도를 확장하고 토요일 낮에 [[연무장길]] 내로 차량 진입을 막고 혼잡이 심각하면 행사를 강제 취소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https://youtu.be/fLyDVL8ZHLc?si=EmoXU5xZY-IZDnXi|※]] === 출구 정보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84d><tablebgcolor=#fff,#1f2023> {{{#000,#fff [[파일:SM-2.svg|width=20]] 성수역 출구 정보}}} || ||<-2> {{{#000,#fff 1,4번 출구}}} ||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1}}}||성수2가3동주민센터[br]성수롯데캐슬파크아파트[br]성수아이파크아파트||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4}}}||[[서울경동초등학교]][br][[근로복지공단]] 서울성동지사[br]서울숲힐스테이트[br]성수금호베스트빌3차아파트[br]서울경찰기마대|| ||<-2> {{{#000,#fff 2,3번 출구}}} ||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2}}}||성수동수제화거리[br][[서울성수초등학교]][br]성수사거리|| ||<width=10px><bgcolor=#00a84d>{{{#ffffff 3}}}||성수2가1동주민센터[br][[한국전기안전공사]] 서울동부지사[br]서울동부고용노동지청[br]성동광진 고용복지플러스센터[br]성동50플러스센터[br][[성원중학교]][br][[경수중학교(서울)|경수중학교]]·[[서울경수초등학교|경수초등학교]]|| == 이용동향 == 성동구 내 도시철도역 중 가장 이용객이 많다. 2022년까지는 [[왕십리역]]이 가장 많았지만, 2023년 성수역이 왕십리역을 넘어선 것이 확인됐다. 성수동 상권이 점점 핫플로 떠오르며 성수역 외에도 [[뚝섬역]], [[서울숲역]]의 이용객도 증가 추세에 있다. 2023년 11월 통계에서는 7만 정도가 아니라 거의 8만 명을 넘는 이용객을 일평균 값으로 기록했는데, 이정도면 [[영등포역]]이나 [[용산역]]보다 이용객이 많은 것이다. 4호선 [[혜화역]]보다 많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과도 맞먹는다. 현재 성수역 이용객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RH시간대와 주말에는 [[신도림역]], [[강남역]] 못지 않은 최고의 혼잡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결국 성수역 출구를 극비리에 추가하는 것으로 바로 확정짓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https://www.news1.kr/local/seoul/5502814|성수역 혼잡으로 인한 출구 신설]] == 승강장 == ||<-2> ↓ [[군자차량사업소|차량기지]] ||<-4> [[뚝섬역|뚝섬]] ↑ ||<-2> [[용답역|용답]] ↑ ||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3}}}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2}}}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4}}} ||<width=10px> ㅣ || ||<-8> ↓ [[건대입구역|건대입구]]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1}}} ||<|5>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 [[건대입구역|건대입구]]·[[잠실역|잠실]]·[[교대역(서울)|교대]]·[[사당역|사당]] 방면 [br] 당역 종착 ([[뚝섬역|뚝섬]]에서 온 열차)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2}}} || [[왕십리역|왕십리]]·[[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시청역(서울)|시청]]·[[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br] 당역 출발 ([[뚝섬역|뚝섬]] 방면 출고 열차)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3}}} || 당역 출발 ([[건대입구역|건대입구]] 방면 출고 열차)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4}}} || [[용답역|용답]]·[[신답역|신답]]·[[용두역|용두]]·[[신설동역|신설동]] 방면[* 성수지선 열차는 이 승강장에서 시·종착한다.] [br] 당역 종착 ([[건대입구역|건대입구]]에서 온 열차) ||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승강장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지 않고 본선을 1·2번 홈, 측선을 3·4번 홈으로 부여했다. 외선순환에서 성수지선으로 환승할 때 어느 문에서 내려도 무방하지만 성수지선이 4량 열차이므로 4-1~7-4에서만 탈 수 있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왕십리역|{{{-2 {{{#000,#fff 왕십리}}}}}}]]{{{-2 {{{#000,#fff ·}}}}}}[[시청역(서울)|{{{-2 {{{#000,#fff 시청}}}}}}]] {{{-2 {{{#000,#fff 방면}}}}}}[br][[뚝섬역|뚝 섬]][br]← 0.8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잠실역|{{{-2 {{{#000,#fff 잠실}}}}}}]]{{{-2 {{{#000,#fff ·}}}}}}[[강남역|{{{-2 {{{#000,#fff 강남}}}}}}]] {{{-2 {{{#000,#fff 방면}}}}}}[br][[건대입구역|건대입구]][br]1.2 ㎞ →|| ||<-6><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지선|2호선 성수지선]] || ||<width=34%><-2><:>{{{#gray 시종착}}}||<-2><width=32%><bgcolor=#00a84d><color=#fff> {{{-2 각역정차[br]各驛停車}}} ||<width=34%><-2><:>[[신설동역|{{{-2 {{{#000,#fff 신설동 방면}}}}}}]][br][[용답역|용 답]][br]2.3 ㎞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