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익산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전라북도의 철도역]][[분류:호남고속선]][[분류:호남본선]][[분류:전라본선]][[분류:장항선]] {{{+1 '''益山驛'''[br]'''Iksan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C9252B><tablebgcolor=#ffffff,#2d2f34> [[쌍도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50&align=left]]]][[쌍도교통|{{{#fff 쌍도교통}}}]][br]'''{{{#fff {{{+2 익산역}}}}}}'''|| ||<width=120px><-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공주역|공 주]][br]← 46.0 km||<|2><width=120px><bgcolor=#204080><-2> [[호남고속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호남고속선|{{{#fff {{{-2 호남고속선}}}}}}]] ||<|2><width=120px><-2> [[목포역|{{{-2 {{{#000000,#fff 목포 방면}}}}}}]][br][[정읍역|정 읍]][br]42.1 km → || ||<-2><bgcolor=#204080><:>[[서울역|{{{#ffffff {{{-3 ◀ 경의고속선 직통}}}}}}]][br][[천안아산역|{{{#ffffff {{{-3 ◀ 수서평택고속선 경유[br]경원고속선 직통}}}}}}]]|| ||<width=120px><-2> [[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논산역|논 산]][br]← 37.1 km ||<width=120px><bgcolor=#204080><-2> [[호남본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호남본선|{{{#fff {{{-2 호남본선}}}}}}]][br]{{{-2 {{{#fff (서대전·김제 경유)}}}}}}[br]{{{#fff {{{-3 (일부열차 시종착)}}}}}} ||<width=120px><-2> [[목포역|{{{-2 {{{#000000,#fff 목포 방면}}}}}}]][br][[김제역|김 제]][br]17.7 km → || ||<width=120px><-2> [[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공주역|공 주]][br]← 46.0 km ||<width=120px><bgcolor=#204080><-2> [[호남고속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전라본선|{{{#fff {{{-2 전라선 KTX}}}}}}]] ||<width=120px><|2><-2> [[여수역|{{{-2 {{{#000000,#fff 여수 방면}}}}}}]][br][[전주역|전 주]][br]25.5 km → || ||<width=120px><-2> [[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논산역|논 산]][br]← 37.1 km ||<width=120px><bgcolor=#204080><-2> [[호남고속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전라고속선|{{{#fff {{{-2 전라고속선}}}}}}]][br]{{{-2 {{{#fff (서대전 경유)}}}}}} || ||<width=120px><-2> [[대천역|{{{-2 {{{#000000,#fff 대천 방면}}}}}}]][br][[대야역|대 야]][br]← 11.7 km ||<width=120px><:><-2><bgcolor=#000000>[[장항선|[[파일:SD-1.png|height=20]][br]{{{#fff {{{-2 장항선[br]1}}}}}}]]||<width=120px><-2> {{{#gray 시종착}}} || ||<|2><-2> [[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함열역|함 열]][br]← 16.1 km ||<-2><width=120px><:><bgcolor=#000000>[[호남본선|[[파일:SD-1.png|height=20]][br]{{{#fff {{{-2 호남본선[br]1}}}}}}]]||<-2> [[목포역|{{{-2 {{{#000000,#fff 목포}}}}}}]]·[[광주역|{{{-2 {{{#000000,#fff 광주}}}}}}]] {{{-2 {{{#000000,#fff 방면}}}}}}[br][[김제역|김 제]][br]17.7 km → || ||<width=120px><:><-2><bgcolor=#000000> [[전라본선|[[파일:SD-1.png|height=20]]]][br][[전라본선|{{{#fff {{{-1 전라본선[br]1}}}}}}]][br]{{{#fff {{{-2 (일부열차 시종착)}}}}}}||<width=120px><-2> [[여수역|{{{-2 {{{#000000,#fff 여수 방면}}}}}}]][br][[삼례역|삼 례]][br]13.6 km → || ||<width=120px><-2> [[논산역|{{{-2 {{{#000000,#fff 논산 방면}}}}}}]][br][[황등역|황 등]][br]← 6.7 km ||<width=120px><-2><:><bgcolor=#000000>[[충청선|[[파일:SD-1.png|height=20]][br]{{{#fff {{{-2 충청선[br]1}}}}}}]]||<width=120px><-2> {{{#gray 시종착}}}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창인동2가)||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5AA53C> [[호남선|{{{#ffffff 호남선}}}]] ||<|6><-4> [[쌍도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width=180&theme=dark]]]] || ||<-2><bgcolor=#00AD6B> [[전라선|{{{#ffffff 전라선}}}]] || ||<-2><bgcolor=#0E634C> [[장항선|{{{#ffffff 장항선}}}]] || ||<-2><bgcolor=#003da5> [[호남고속선|{{{#ffffff 호남고속선}}}]] || ||<-2><bgcolor=#003da5> [[전라고속선|{{{#ffffff 전라고속선}}}]] || ||<-2><bgcolor=#003DA5> [[충청선|{{{#ffffff 충청선}}}]]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5AA53C> [[호남선|{{{#ffffff 호남선}}}]] ||<-4> 1912년 3월 6일 || ||<-2><bgcolor=#00AD6B> [[전라선|{{{#ffffff 전라선}}}]] ||<-4> 1936년 12월 16일 || ||<-2><bgcolor=#0E634C> [[장항선|{{{#ffffff 장항선}}}]] ||<-4> 2008년 1월 1일 || ||<-2><bgcolor=#003da5> [[호남고속선|{{{#ffffff 호남고속선}}}]] ||<|2><-4> 2015년 4월 2일 || ||<-2><bgcolor=#003da5> [[전라고속선|{{{#ffffff 전라고속선}}}]] || ||<-2><bgcolor=#003DA5> [[충청선|{{{#ffffff 충청선}}}]] ||<-4> 2022년 8월 16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 [[대전조차장역|{{{-2 {{{#000000,#fff 대전조차장 방면}}}}}}]][br][[황등역|황 등]][br]← 6.7 ㎞ ||<colbgcolor=#f5f5f5,#373a3c><-2><:>'''[[호남본선]]'''[br]익 산|| [[목포역|{{{-2 {{{#000000,#fff 목포 방면}}}}}}]][br][[부용역|부 용]][br]7.4 ㎞ → || ||<-2> [[천안역|{{{-2 {{{#000000,#fff 천안 방면}}}}}}]][br][[대야역|대 야]][br]← 11.7 km ||<colbgcolor=#f5f5f5,#373a3c><-2><:>'''[[장항선]]'''[br]익 산||<-2> {{{#gray 종점}}} || ||<-2> {{{#gray 기점}}} ||<colbgcolor=#f5f5f5,#373a3c><-2><:>'''[[전라본선]]'''[br]익 산|| [[여수역|{{{-2 {{{#000000,#fff 여수 방면}}}}}}]][br][[동익산역|동익산]][br]2.8 ㎞ → || ||<-2> [[천안아산역|{{{-2 {{{#000000,#fff 천안아산 방면}}}}}}]][br][[공주역|공 주]][br]← 46.0 km ||<colbgcolor=#f5f5f5,#373a3c><-2><:>'''[[호남고속선]]'''[br]익 산|| [[목포역|{{{-2 {{{#000000,#fff 목포 방면}}}}}}]][br][[정읍역|정 읍]][br]42.1 ㎞ → || ||<-6> {{{-3 한때 [[정읍역]]과 이 역 사이에 [[전북혁신역]]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 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7e6g-KhGlc)]}}} || >'''호남에서 가장 바쁜 역''' > 익산역은 과거 이리역으로 불리던 역으로 1912년 3월 6일 호남선 및 군산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만나는 곳으로 호남의 가장 바쁜 역이다.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 1년 후인 1978년 11월 10일 역사가 신축되었다. 1995년 [[익산군]]과의 통합으로 지역명이 [[익산시]]로 바뀌면서 역명도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11월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의 일환으로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갖춘 현대식 선상역사로 다시 태어난 역사는 익산의 상징의 보석을 품은 유리 궁전으로 불린다. >---- >[[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 [[호남고속선]]의 중간 정차역이자, [[전라선]]의 기점이자, [[장항 쾌속선]]의 종점역이자 [[충청선]] 호남본선 논·익 선구의 종점역이다.[* 본래 군산선의 시점역이었으나, 장항 - 군산선 통합 이후 장항선의 종점역이 되었다.]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 (창인동2가 1) 소재. [[호남고속선|호남고속]], [[호남선|호남]], [[전라선|전라]], [[장항선]] 운행 계통의 '''[[KTX]], [[SRT]], 일반열차가 이 역에 필수정차'''하기 때문에. [[남해철도]] 전북지사가 위치하며, 익산에 육군부사관학교 제7공수특전여단과 군산에 공군 제38전투비행전대가 소재함에 따라 [[TMO]]도 설치되어있다. 즉 [[전북특별자치도]] 철도교통의 관문이자 중심이라 할만 하다. [[경부선]]에 [[동대구역]]이 있다면 [[호남선]]에는 익산역이 있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두 역의 역할은 판박이다.[* [[동대구역]]은 [[경부고속선]], [[경부선]], [[동해선]](동해선은 [[대구선]] 경유, [[가천역]]에서 대구선으로 분기한다. 심지어 두 역은 차량 주박시설까지 똑같이 갖추고 있다.), [[경전선]]([[미전신호소]] 분기)으로 가는 열차가 갈라지는 곳이고, 익산역은 [[호남고속선]]과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가 갈라지는 곳이다.] 이 때문에 '''이 역에는 호남, 전라, 장항선에서 운행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전부 정차한다.''' [[군산선]]이 [[장항선]]으로 통합된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용산역|용산]]에서 출발하는 [[KTX]]를 포함한 모든 여객열차는 반드시 익산역에 정차하게 된 적이 있었다. [[ITX-청춘]]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지금은 아니다.[* 몇 편성이 빠질 뿐 거의 필수정차나 마찬가지이므로 전라도의 1일 열차 정차횟수 당연히 1위이다. [[용산역]]에서 출발한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3선이 접속되는 역이기 때문. 그런 특성으로 서울까지의 철도접근성이 '''전라도 전체에서''' 가장 우수하다. 이용 인원을 놓고 보면 [[광주송정역]]보다는 밀리지만 [[서대전역]]보다 많다. 한동안 [[호남선]]에서 가장 큰 역이라고 볼 수 있었는데, 일단 호남선이 지나가는 도시 중 익산보다 큰 도시는 [[대전광역시|대전]]과 [[광주광역시|광주]]밖에 없다(게다가 광산군/송정시가 존재하던 시절에는 호남선은 광주시 관내를 아예 지나가지도 않았다). 익산의 도시 규모는 [[대전광역시|대전]], [[광주광역시|광주]]에 비하면 한참 밀리지만 대전과 광주의 호남선 주요역인 [[서대전역]]과 [[광주송정역]]은 각각 [[대전역]](경부선)과 [[광주역]](광주선, [[광주광역시]] 관내 고속철도 정차역을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하기 전에 한정해서)에 밀리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는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의 위상은 완전히 역전되었다.] 기타로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ITX-청춘]]을 포함한 모든 열차(관광열차 제외)를 운행해 본 역은 [[대전역]]이다.[* [[ITX-청춘]]은 폐지되었으며 [[누리로]]는 [[충북선]]에서 운행했으나 태백선 차출로 폐지되었으며, 나머지는 [[경부선]]을 운행한다.][* 하지만 [[KTX]]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대전역도 모든 열차를 운행해 본 타이틀은 잃게 되었다.] == 역 정보 == === 승강장 === == 인접 정차역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