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태백본선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wiki style="margin: 0px -5px"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강원철도|{{{#ffffff 강원철도}}}]]}}}|| ||<-2><tablebgcolor=white,#2d2f34><:>{{{#75787A '''{{{+1 태백본선}}}'''[br]太白本線|Taebaek Main Line}}}|| ||<-2><bgcolor=#75787A> {{{#fff '''노선 정보'''}}} || ||<width=90px> '''분류''' ||간선 || || '''기점''' ||[[제천역]] || || '''종점''' ||[[백산역]][* 철도요람상. 현재 태백선의 모든 정기열차는 [[동백산역]]을 경유하여 [[동해역]]으로 간다.] || || '''역 수''' ||22 || || '''개업일''' ||1967년 1월 20일 || || '''소유자''' ||<|2>[[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br]{{{#262626,#ddd 강원철도}}}]] || || '''운영자''' || || '''운용차량''' ||[[강원철도 817계 전동차]][br][[7600호대 디젤기관차|강원철도 DF76계 디젤기관차]][br]강원철도 683계 전동차[br]강원철도 BEC819계 전동차 || || '''차량기지''' ||영동차량관리단 제천차량소[br]영동차량관리단 동해차량소|| ||<-2><bgcolor=#75787A>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04.1㎞ || || '''궤간''' ||1,435mm || || '''선로 수''' ||복선 ([[제천역]]~[[입석역]])[br]단선 ([[입석역]]~[[백산역]])|| || '''급전방식''' ||비전화 || || '''신호방식''' ||ATS-S1 || || '''최고속도''' ||제천~입석 150km/h[br]입석~백산·동백산 100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역]]과 [[강원도]] [[태백시]] [[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최초로 신설된 간선철도'''이다. 노선색은 {{{#75787A 회색}}}인데, 이는 석탄의 회색[* 석탄은 검은색에 가까우나, 역명판 디자인 자체가 검은색 기반이라 시인성을 위해 회색을 사용한다.]을 상징한다고 한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는 노선이다. [[함백선]]과 병주하는 구간을 제외하면 복선구간은 아예 없었으나 2013년 [[11월 14일]]에 제천 ~ 입석리(13.7km)간이 이설되면서 '''개통 64년''' 만에 신설되었다. 특징은 화물열차 비중이 매우 높고[* 여객열차 12편(상행 6편, 하행 6편)을 제외하면 전부 화물열차다.], 선로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험난하다는 것[* 해발 1,268m인 두문동재를 넘어야 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다. [[태백시]]내도 해발 1,100m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해발고도가 높은 구간을 지난다는 것이다. 부설 목적부터가 이미 [[석탄]], [[텅스텐]], [[시멘트]] 수송이다. 그 때문에 1974년에 일찍이 전철화했고 지금도 [[전기 기관차]] 위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youtube(HTIGKmnpIpY)] 예미역과 조동역 사이에는 30퍼밀짜리 구간이 있다. [[추전역]]은 해발 855m로 실효 지배중인 [[대한민국]] 영역에서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역이다. 실제로 지나갈 때 귀가 멍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다만 태백선 [[철도]] 자체는 이 일대에서 '''해발 고도가 가장 낮은 지역'''만 다닌다. 정선(민둥산)-태백을 잇는 '''두문동재는 해발 1,268m'''[* 두문동재 정상(구 [[38번 국도]]) 기준. 2022년 기준 현 38번 국도에 있는 두문동재터널의 높이는 1,048m.]에 달하는데 철도는 두문동재를 넘지 못해 [[터널]]을 뚫었기 때문이다. [[38번 국도]]를 [[자동차]]로 타고 다니다 보면 태백선 철도가 '''한참 아래에''' 보인다. 현재 제천 ~ 태백은 무궁화호 기준 1시간 50분이 걸리며, 청량리 - 원주 - 제천 - 태백 - [[동해역|동해]]까지 운행하는 무궁화호 및 [[ITX-마음]]이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는 [[제천역|제천시]] - [[영월역|영월군]] - [[민둥산역|민둥산]] - [[고한역|고한읍]] - [[태백역|태백시]](구 황지역)이며, 제천역에서 [[중앙선]] 및 [[충북선]]과, 태백시 [[백산역]]에서 [[영동선]]과, 그리고 정선군 민둥산역에서 [[정선선]]과 접속한다. 중앙선과 영동선을 빠르게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이며, [[충북선]]과 비슷하다. [[38번 국도]] [[강원도]] 구간[* 제천 ~ 동해]과 선형이 비슷하며, 철도판 38번 국도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다만, 선형은 도로가 더 한 수 위라 철도가 뒤쳐지기도 한다. 4,505m로 한때 한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던 정암터널[* 전라선 슬치터널 관통 후 콩라인으로 밀렸고 금정터널, 솔안터널, 대관령터널, 율현터널이 개통한 뒤 순위에서 밀려났다.]이 고한역과 [[추전역]] 사이에 있다. 태백선에서 두 번째로 길다. 복선화 구간의 송학터널([[제천역]] ~ [[입석역]])이 '''5,985m'''로 제일 길기 때문. 험지를 지나가다보니 [[영동본선|영동선]]과 마찬가지로 BT급전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 때문에 변압기 용량이 작고 급전구간이 4km 내외로 짧다. 그래서 EF80계가 대거 운용되던 과거에는 열차간 교행 시 정거장에 먼저 도착한 열차가 MCB를 차단하고 대기하였다고 하며, 이는 EF80계가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고조파(高調波), 전압강하 등에 의해 같은 섹션내 전기차량의 전기·전자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 역사 == 의외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23739|[태백선, 산업선에서 관광선으로] 1. 태백선의 유래]]] 본래 1949년부터 1971년 사이에 여러 단계에 걸쳐 지하자원 수송을 위해 건설한 지선들이 기원이며, 1973년에 이 지선들 중 고한선과 황지지선을 연결한 후 주요 구간을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의 노선이 되었다. 1967년에 신설된 [[정선선]]도 역사에 포함하였다. * 1937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충북선]] 연장으로 충주 ~ 제천 ~ 영월 간 허가를 받았으나 실행되지 못함. * [[1949년]] [[11월 16일]]: 제천 ~ 송학 간 임시개통[*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올라가면 당해 4월에 해당 노선 착공 논의가 나온다. 적어도 공사에 7개월이 소요됨을 알 수 있으며, 개통 기사에서도 급속도로 지어졌음을 언급한다.]을 시작으로 영월선 착공. * [[1953년]] 1월: 영월선 공사 재개 * 1953년 9월 21일: 입석리역, 쌍용리역 개업 * 1955년 [[9월 10일]]: 연당역 개업 * 1956년 1월 17일: 영월선(제천 ~ 영월) 개통 * 1957년 3월 10일: 함백선(영월 ~ 함백) 개통 * 1962년 12월 10일: 황지지선[* 황지 본선은 통리 ~ 심포리 구간으로, 인클라인 대체 목적으로 1963년에 개통된 뒤 [[영동선]]으로 통합되었다.](백산 ~ 황지) 개통 * 1964년 [[4월 1일]]: 정양선(영월화력선) 개통 * 1966년 1월 15일: 고한선(자미원 ~ 사북) 개통 * [[1966년]] 1월 19일: 고한역 개업 * 1967년 1월 20일: 정선선(증산 ~ 별어곡) 개통으로 예미 ~ 함백 구간은 [[함백선]]으로 분리 및 개명 * [[1967년]] 6월 1일: 장락역 개업 * 1967년 12월 30일: 정선선 별어곡 ~ 정선 구간 연장 개통 * 1969년 10월 15일: 정선선 [[나전역]] 연장 개통 * [[1971년]] 1월 4일: 제천 ~ 고한 구간 전철화 착공 * 1971년 5월 21일: 정선선 [[아우라지역]] 연장 개통 * [[1973년]] 2월 28일: 정암터널 준공 * 1973년 11월 10일: 고한 ~ 황지 구간 개통을 끝으로 모든 노선을 통합하여 '''태백선'''으로 최종 개명. * 1974년 6월 20일: 제천 ~ 고한 구간 전철화 완료로 [[8000호대 전기기관차|EF80계 전기기관차]] 운행개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379265|태백 준영도 단숨에 「고속철마」전철…제천-고한 간 개통]]] * 1975년 12월 5일: 고한 ~ 백산 구간 전철화 완료 * [[1977년]] 3월 1일: 두평역 개업 * 1977년 [[8월 13일]]: ATS 완공 * 1978년 [[1월 1일]]: 청령포신호장 개업 * 1980년 11월 1일: [[EEC 전동차|우등열차]] 운행개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49256|철도청, 11월부터 영동·태백선에 전동차운행]]] * [[1984년]] 4월 10일: CTC 완공 * 1984년 12월 1일: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명 * 1990년 3월 15일: [[새마을호]] 운행개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447500?sid=101|15일부터 태백선에도 새마을호 운행]]] * 1994년 11월 9일: 청령포 ~ 영월 구간을 직선화 및 이설 완료[* 1990년 9월 11일 대홍수로 '''철교가 붕괴'''되어 영월 이북 구간이 임시 휴업에 들어간 지 4년만에 복구되었다.] * 1995년 2월 16일: 두평역이 탄부역으로 개명 * 2007년: 정양선 폐선 * 2008년 3월 10일: 탄부역, 연하역 여객취급 중지와 동시에 신호장으로 완전 격하[* 탄부역은 편의상 역으로 불릴 뿐 '''단 한번도 무배치간이역으로조차 승격된 적이 없다.'''] * [[2009년]] 9월 1일: 증산역이 민둥산역으로 개명 * [[2013년]] 11월 14일: 제천 ~ 입석리 간 복선전철화 공사 완료와 동시에 장락역, 송학역 폐역 * 2017년 12월 18일: 추전역 화물취급 중지 * 2020년 12월 31일: 석항역 화물취급 중지 == 수요 == 구간 수요(제천 ~ 영월, 영월 ~ 태백)는 제법 높다. 병행하는 [[38번 국도]]가 4차로로 개량되었지만, [[영암고속]]과 [[화성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요금이 3만원 가량으로 무궁화호(청량리-태백)요금의 2배 이상이고, 시간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에 절반은 채우고 다닌다. 하지만 경강선(강릉선 KTX) 개통으로 이용객이 적은 청량리 ~ 동해 간 열차 승객 중 이 구간 하차객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더군다나 성수기나 연말연시(12월 31일)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나마 인근 [[제천시]], [[원주시]] 통근수요와 자체 관광수요가 있는 [[영월역]], [[강원랜드]]가 있는 [[사북역]], [[고한역]], 가장 많은 인원이 승하차하는 [[태백역]]이 기대를 걸 만하다. [[태백역]]부터 [[동해역]]까지는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이다. 단 휴가철과 겨울 시즌 제외.[* 여름에는 사람이 매우매우 많으며 겨울에는 임시열차까지(!) 편성되니 말 다했다.] [[대한민국]]에서 20세기에 마지막으로 건설된 간선 철도 노선이다. 이후 2004년에 [[경부고속선]]이 개통할 때까지 없었다. 이후 [[경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그리고 '''[[영동고속도로]]'''가 등장하여 앙크 축(♀)[* 정확히 말하면 이걸 거꾸로 돌린 古.] 간선 고속도로망이 건설된다. 한국 [[철도]]는 [[경부선]]만 빼고 끝이 안 보이는 나락의 구멍으로 빨려 들어간다. 특히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이설은 태백선 여객 수요에 치명타를 때려 버렸다. [[현실은 시궁창]]이었으나 2013년 4월 [[중부내륙순환열차]] 개통 후 관광수요를 잡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2015년 6월 1일부터는 경부선→충북선→중앙선[* 영주에서 방향 전환.]→영동선 순으로 운행한다. [[정선아리랑열차]]와 대부분 구간이 겹치기 때문. 결국 아예 없어지고 말았다. 2018년 12월 28일부터 중앙선·태백선 무궁화호가 4량으로 감차된다. 자세한 사항은 [[무궁화호#s-10|여기]] 참고. 하여튼, 망한 노선으로 떠오르지만 적어도 서부[[경전선]], [[정선선]], [[영동선]], [[경북선]][* 경북선도 수요가 더럽게 안 나온다고 하기는 뭐한 게, 선로가 아무리 불량이어도 김천, 상주, 점촌, 영주 수요가 많다. 모두 일 이용객 300명 이상, 연 이용객 10만명은 나온다. 더군다나 김천 ~ 점촌 구간은 [[문경선]]과 더불어 차후 중부내륙선과 남부내륙선을 직결하기 위해 개량이 필수이기에, 적어도 미래는 안 어둡다. 다만 [[함창역]], [[용궁역]] 등은 전부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보단 낫다는 것. 그래도 과거엔 잘 나가던 노선이었다. 태백선 연선은 광산이 많아 산업화의 영향을 빨리 받았고, 덕분에 전철화가 빨리 되어 [[8000호대 전기기관차]]나 [[EEC 전동차]] 같은 게 돌아다녔다. 거기에 광부들이 떼돈을 벌면서 이 일대에 부촌이 형성되었고, 여객수요도 그만큼 많았다. 초창기 무궁화호는 지금과는 달리 중산층이 주로 탔고 어느 정도 큰 데나 서는 열차였는데[* 1984년 무궁화호는 경부선 대전 이북 기준으로 서울-영등포-수원-천안-조치원-대전'''만''' 정차했다.], 이 노선이 지나는 영월, 정선에는 매우 이례적으로 관내 3~4개나 되는 역에 무궁화호가 정차했다.[* 영월군 3개(쌍룡역, 영월역, 석항역), 정선군 4개(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태백시도 무궁화호 정차역이 2개나 있었다(태백역, 통리역).] 그 정도로 수익이 나오던 노선이 석탄산업 합리화정책 때문에 사람들이 빠져나가며 이렇게까지 된 것. 2020년 3월 2일부터 무궁화호 대다수가 누리로로 대체된다.[* 무궁화호는 왕복 1회만 운행한다.] 그리고 KTX 운행에 따른 강릉역 선로용량 확보, 회차의 어려움등을 이유로 동해역으로 단축하였고 영동선 단거리 누리로 열차가 신설되어 강릉역과 동해역을 잇는다.[* 정차역도 단순하게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가 끝이다.]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로 인한 집중호우로 토사가 유입되는 바람에 지나가는 모든 열차가 운행 중지되었다. 근데 한반도 동쪽을 훑고 지나간 태풍 제 9호 [[마이삭(2020년 태풍)|마이삭]]의 영향으로 다시 유입되어 전 구간 운행이 '''또''' 중단되었다. 2021년 1월 5일 시간표 개정으로 모든 누리로 열차가 다시 무궁화호로 환원되며 동시에 청량리 ~ 동해 열차 1왕복이 제천으로 단축된다.[* 하필 없어진 열차가 정동진 일출을 보려면 꼭 타야 하는 #1641이었다. 개편에 따라 더 이상 경유하는 심야열차는 없으며 대신 기존 #1637, #1639 열차 시간이 늦춰졌다.] 따라서 청량리 ~ 동해 열차는 5왕복, 제천 ~ 동해 열차는 1왕복 운행한다.[* 이 과정에서 #1641, #1642는 4량에서 3량으로 조정되었고, 카페객차가 연결된다. 2년만에 태백선 카페객차가 부활했었으나 내구연한으로 빠졌다.] 2022년 7월 3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시간표 개정에 따라 주말에 한해 청량리 - 동해 1왕복이 감편되고, 제천 - 동해 1왕복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이조치는 단순히 셔틀화가 아닌 강릉선 무정차 KTX-이음 신설로 인한 선로용량 포화로 어쩔수 없이 단축시킨것을 감안해야한다.] 시간표 구성을 보면 KTX 이음으로 제천역에서 환승시키도록 시간표를 구성했었는데, 장기적으로 제천착발로 변경될것으로 보인다. 입석리역부터는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1|단선]]구간이기 때문에 마주오는 열차랑 교행도 하기 때문에 지연되는 경우가 잦다. 반면 쌍룡역을 지나 청량리까지는 빨리 달리기 때문에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원래 청량리역에서 제천역까지 복선이었으나 2013년 시멘트 및 무연탄 등의 원활한 철도 수송을 목적으로 입석리역 구간까지만 복선화했기 때문이다.] 2023년 9월 1일부터 [[ITX-새마을]]과 동급인 [[ITX-마음]]이 태백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복선전철화 == === 제천-입석리 복선전철화 === [[쌍룡역]] 일대의 [[시멘트]] 수송을 위해 [[2003년]] 복선전철화 사업을 착공, [[2013년]] 11월 [[장락역]], [[송학역(태백선)|송학역]]을 폐역하고 입석리역까지 복선전철화를 완료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131112048200064|7년 걸린 태백선 제천~쌍용 복선전철 완공]]] == [[/역 목록|역 목록]] == 자세한 내용은 [[태백선/역 목록]] 문서로. == 지선 == ||<tablebgcolor=#fff,#1f2023> 노선번호 || 노선명 || 기종점 || 거리 || 역수 || || 31501 || [[함백선]] || [[예미역]]↔[[조동역]] || 9.6㎞ || 3 || || 31503 || [[태백삼각선]] || [[문곡역]](태백선)↔[[동백산역]](영동선) || 0.8㎞ || 2 || 태백선에는 총 2개 지선이 있다.[* [[정양선]]이라는 화물 노선도 있었으나 발전소 가동 중지로 폐선되었고, 정선선은 민영화 이후 태백선 지선에서 해제되었다.] [[분류:태백본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