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26 건 / 처리 시간 0.098초
백산역
…동백산1.8 km →[1] 1963년 5월 20일. 영동본선으로 편입.[2] 황지지선으로써의 개업일.[3] 애초에 태백선 부분으로는 승강장도 설치되어있지 않다.[4] 충분히 수요가 있을 수도 있음에도 태백시내에서 백산, 철암 방면 철도선을 운행하지 않는 이유는 1…
동백산역
…이라는 뜻으로 지었다는 말도 있는데, 한자가 다르다(栢/白). 실제로 전술한 이유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역명 개정을 요구하기도 했다.3. 특징
[편집]
이 역과 도계역을 잇는 솔안터널은 16.2km로 대한민국에서 철도 터널로는 네 번째로 긴 터널이다…
매곡역(경기)
…2005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되어오던 매곡역은 새로운 터전으로 이전하였지만, 여전히 무인역이다. 선로 아래 지어진 작은 선하역사. 하지만 때로는 더위를 피해 찾아오는 주민들의 사랑방으로, 때로는 양평을 여행하는 사람들이 쉬었다 가는 쉼터로 역할하고…
일원역
…1번씩 오는 삼성서울병원 셔틀버스가 일원역에서 내린 고객들로 가축수송 수준이 되기도 한다. 또한 3호선 연장으로 송파구에서 오는 이들 학교 학생 및 병원 이용자들이 대거 몰려들 예정이기 때문에 앞으로 이용객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일원역 부근 자체가 서울특별시의…
영태역
…월 롱← 1.8 km각역정차各驛停車용문 방면금 촌2.3 km →[1] 강원철도는 두 개 이상의 등급이 운행하는 노선의 경우 역 신설 및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지역주민의 역 신설 요구를 잘 들어주는 편이다…
강변역
…현 구의3동 또는 자양2동 지역 주민들이 간간이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용객이 드문 편이었고, 다른 근처 주민들에게는 오는 것 자체가 시간낭비였다. 현대아파트 6단지 자리에 영화배우 신영균의 별장이 있었고 그 뒤 강변까지는 풀밭뿐이었다…
예산역
…거리인데 멀다 하기에는 주차장 반대쪽으로 쭉 직진하다가 지하도 삼거리가 나오면 우측으로 꺾기만 하면 되는 쉬운 길이기는 하나 어쨌든 가깝다고는 볼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히 외지의 초행길인 경험이라면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가질 것을 권고한다…
제물포역
…고등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구 항도실고),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구 운산기계공고),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구 선화여상) 등이다. 동산중학교와 동산고등학교도 이 역에서 멀지 않다.원래 이 역은 용산/동인천 쾌속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통과역이었으나…
상계역
…별내별가람·오남·진접 방면하노원·창동·사당·오이도 방면상계역의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이 역은 노원방면으로 3퍼밀 하구배가 있다. 불암산역 방향으로 23퍼밀 상구배가 있다…
군포역
…2013년 개원한 곳으로, 부역명을 붙일 만큼 규모가 크거나 오래 되었거나 저명한 곳도 아니다. 이에 군포 시민 단체에서는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다. 인근 주민들도 어느 날 갑자기 아무 예고도 없이 역명판이 바뀐 데 대해 당황했다. 안내방송도 부역명을 포함…
태백역
…니 사시사철 수요가 많아서 무궁화호는 물론 레일크루즈 해랑까지 정차하는 역이다. 물론 해랑은 일반인이 절대 탈 수 없고 여행코스 자체에 이 역 정차 및 중식이 포함된 경우다. 한때는 중부내륙순환열차도 정차했으나 노선변경으로 인해 지금은 오지 않는다.버스…
직산역
…콘크리트 슬라브 2층 역사였으나 2001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며 2005년 수도권광역전철이 개통, 2009년 화물취급도 중지되었다. 현재는 서쪽 통로가 신설되었으며 이용객들의 편의 증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부선…
이매역
…당시 야탑역과 서현역 간 거리는 3.1㎞로, 성남시 내의 분당선 구간 중에서 제일 멀었다. 그래서 1994년 신도시 형성 당시부터 이매동 주민들이 중간 역을 설치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마침내 서현역과 철도청 등지에서 시위를 벌이는 노력 끝에 이매역 설치가 확정되었다.…
남영역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2013년 9월 중순 공사를 시작해 2014년에야 완공했다. 이 역 스크린도어 비상문이 상하행이 서로 다르다. 하행은 양문으로 되어있고 상행은 보통의 스크린도어와 같은 단문형이다.남영역에는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약수역
…섬식 승강장을 아래에 짓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3호선이 지하 2층에 먼저 지어지고(1985년 10월 18일), 그 다음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6호선이 지하 3층으로 나중에 지어진(2001년 3월 9일) 특이한 케이스…
공항화물청사역
…인접 정차역
[편집]
인천공항선풍양조 방면운 서← 4.3 km공항쾌속空港快速인천공항2터미널 방면인천공항1터미널2.6 km →서울 방면운 서← 4.3 km보통普通인천공항2터미널 방면인천공항1터미널2.6 km → 제2공항선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두만강철교
…도와 한반도를 철도로 오갈 땐 만주를 통과했다. 20세기 초반은 어차피 중국이 철도 통행 관련해서 러시아나 일본에 태클을 걸 수 없을 만큼 약해진 시절이었기 때문에 별 상관이 없었다.[4] 사실 높이가 높지 않아도 수심이 얕아서 큰 배는 못 다닌다.
건대입구역
…수 있는 이용객들에 비해 환승에 훨씬 큰 위험과 시간이 부담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미 고지가 되어 있는 방법으로 환승통로의 리프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이지만 환승방법이 너무 복잡하고, 횡단보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운정중앙역
…운정동탄라인 계획이 떠오르면서 운정동탄라인은 본래 킨텍스역까지만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파주시 운정신도시 주민과 파주시청 및 윤후덕 국회의원의 요구로 운정 연장이 별도로 논의되었는데, 강원철도에서 이를 수용하여 개성역까지 경의고속선 선로를 따라 운정동탄라인을…
고덕역
…본래는 현재의 2~5번 출입구만이 차례대로 1~4번 출입구로 존재하였으나 2003년경 지역 사회의 요구로 인해 고덕주공8단지 방면으로 1번 출입구가 신설되었고 출입구 번호도 지금과 같이 개정되었다.이 역과 명일역 사이에 급커브 구간이 존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