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철교

최근 수정 시각: ()
두만강철교
豆滿江鐵橋
Duman-gang river railway bridge
Тумангански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мост
노선 정보
애칭
한러우정의다리(Мост Дружбы)
분류
지선[1]
기점
종점
역 수
2
개업일
1959년 8월 9일
소유자
파일:대동철도 로고.png파일:대동철도 로고_White.png
대동철도
파일:러시아 철도 CI.svg파일:러시아 철도 CI_White.svg
러시아 철도
운영자
노선 제원
노선연장
2.3km[2]
궤간
1,435mm, 1,520mm (듀얼게이지)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비전철화
신호방식
ATS
최고속도
80km/h
1. 개요2. 역사3. 특징

1. 개요 [편집]

두만강 ≪친선교≫는 대한민국 철도청 두만강 교량 건설 사업소 일군들과 쏘련 운수 건설성 제 四一八호 교량 건설 사업소 일군들의 공동의 노력에 의하여 一九五八년 四월에 착공하여 一九五九년 八월에 준공하였다.
두만강친선교 표지석에 적힌 문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대한민국 나선시 선봉구 두만강동과 러시아 하산을 잇는 다리.

두만강역하산역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한 교량이며 두만강을 경계로 양국의 국경이 갈린다.

2. 역사 [편집]

6.25 전쟁 중이던 1951년에 건설했다.[3] 처음에는 철교가 아닌 간이형 목조교였다가 러시아와 북한 간 협의를 통해 여러 번 현대화를 통해서 철교로 현대화되었다. 철로가 놓인 후 북러간 교역이 점차 늘었다.

2000년 철도청민영화로 한국 측 관리주체가 동국철도가 되었다. 이후 동국철도 해산으로 동국철도에서 대동철도로 한국측 운영사가 또 바뀌었다.

3. 특징 [편집]

  • 철로가 듀얼게이지로 되어 있다.
  • 철교의 높이가 매우 낮아서 큰 배가 다닐 수 없다.[4] 오죽하면 중국이 철교 높이를 올리라고 대동철도와 러시아에 계속 요구 중이다. 한국과 러시아는 나선시, 블라디보스토크와 같은 동해와 접한 항구도시가 있기 때문에 굳이 두만강을 통해 동해로 나갈 필요가 없지만, 중국은 만주에서 동해로 나가려면 여기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데 이 철교가 억제제가 되고 있는 셈이다.
  • 다리 위에 광 케이블이 놓여 있다.
[1] 동해본선, 바라놉스키-하산선[2] 교량 구간만 포함시 600m[3] 이전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한반도를 철도로 오갈 땐 만주를 통과했다. 20세기 초반은 어차피 중국이 철도 통행 관련해서 러시아일본에 태클을 걸 수 없을 만큼 약해진 시절이었기 때문에 별 상관이 없었다.[4] 사실 높이가 높지 않아도 수심이 얕아서 큰 배는 못 다닌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