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52 건 / 처리 시간 0.122초
남영역
…의 경부선 전철이 서는 선로 2개는 1호선 지하 서울역과의 직결운행을 위한 것이다. 지상과 지하의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결운행을 위한 선로는 절연구간이다. 인천/천안으로 가는 경부·경인선 열차들은 여기서부터 지상으로 올라와 경부선을 이용하여…
을지로4가역
…역 정보
[편집]
광복 후 일본식으로 된 도로명을 한국식으로 바꿀 때 을지문덕 장군에서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을지로4가에 있는 역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5호선의 4번 출구는 원래 에스컬레이터 위에 지붕이 없었다가 2016년에 지붕이 추가됐다.부역명 유상판매 정책…
영등포구청역
…위의 지하 1~3층에 환승역 지하주차장이 위치해 있다. 주차장을 이용한다면 역무실에 들러서 도장을 받아야 한다.또한 근처에 서울교통공사 영등포승무사업소가 위치하고 있어 5호선 일부 열차의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루어진다. 영등포구청역 내부가 아닌 역 근처 상가 건물에…
송추역
…유원지 행락객과 등산객이 이용객의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이용객들이 자동차를 타고 다니게 되어 교외선 이용객수가 줄어들기 시작했다.[1]승객이 줄어 열차 운행이 줄어들고, 열차 운행이 줄어들어 승객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 끝에 2004…
독립문역
獨立門驛Dongnimmun Station서울교통공사독립문역지축 방면무악재← 1.1 ㎞3호선326오금 방면경복궁1.6 km →◀ 일산선 직통송파하남선 직통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평로 지하247 (무악동 101)역 운영기관3호선개업일3호선1985년 7월 12…
학여울역
…행사나 전시회가 열리는 때를 제외하고는 이용객 수가 저조하다.대청역과 학여울역 사이의 양재천을 지하로 통과하기 위하여 지하 28m로 깊게 파 들어가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위치하게 되어 심도가 깊어지는 바람에 역 건설 후 남는 지하 2…
송탄역
…역할로 개업하였다. 역명은 적봉역(赤峯驛)이라는, 개업 당시 주소였던 서탄면 적봉리에서 유래되었다.1970년 3월 1일에 송탄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지만, 1984년 3월 1일에 다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그때부터 각…
대청역
…없다.대청역 밑으로 수인·분당선이 지나가지만,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으로 이미 바로 옆에 도곡역과 수서역이 있어서 강남리 마을 전철로 인한 표정 속도 감소를 우려하여 결국 이 역은 환승역이 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대청역까지 환승시켜버리면 수인·분당선은 수서역…
평택지제역
…남부역'이라는 이름으로 경부고속선 정차역을 만들고 KTX를 정차시키려고 지역주민 서명운동까지 벌였으나 실패했다.수서발 수도권 고속철도 노선인 수서평택고속선이 계획됐을 때 가까운 곳에 고덕국제신도시가 조성되면서 고속철도 정차가 확정되었다. 역 건설비는 삼성전자…
대천역
…던 곳이다. 대천이란 ‘한내’의 한자표기로, 서해바다로 큰물이 흐르는 곳이라 하여 붙여졌다. 이후 대천시와 보령군이 보령시로 통합되면서 대천이라는 지명이 없어지게 되자 대천지명살리기운동이 일어나 보령시 행정동 명칭이 대천동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서울대입구역
…서울시는 관악산역 개통 이후 시민들의 혼동이 심해지면 서울대입구역의 역명 변경을 고려해보겠다고 밝혔다.2023년 2월에는 청원24에 관악구청역으로 변경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왔었다.#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관악산역으로 연장되면 다시 역명 변경 주장이 제기…
마천역
…로 이상 되는 길이 없었기에[2] 골목 한가운데 짓는 것이 불가피했는데, 역을 공사할 만한 넓은 부지가 현재의 서울마천초등학교 운동장 밖에 없었다. 공사 당시 마천초등학교 운동장을 일부 점유하여 그 지하에 역사를 만들었는데 마천초등학교만으로는…
일영역
…일영역에서 관리하던 수많은 무인역과 임시승강장은 대곡역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또한 1명 근무지정역에서 해제되었다.다만 선로시설관리반 사무실이 옆에 있어 강원철도 직원은 상주하고 있다, 역무원만 없을 뿐 교외선의 다른 역에 비하면 관리는 어느…
오산대역
…그러나 그 뒤로도 강원철도[5]와 오산시가 역광장 및 진입도로 조성 공사비 부담 비율로 인해 갈등을 벌여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6]2005년 1월 병점~천안 구간 복복선 개통 때는 개업하지 않고 미개통 역으로 남아 있었다가 동년 12월에 개통…
강동역
…을 딴 성내역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나, 2호선 성내역(현 잠실나루역)과의 조율 문제 때문인지 건의안에 채택되지는 못했다.개통하고 시일이 지난 후에도 지역구 구의원과 시의원을 통해 강동역을 성내역으로 바꾸자는 건의가 이뤄지고 있다. 관련 기사 이와 관련해 2011…
불암산역
…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으며, 두 기관의 관계는 남양주시와 구리시에서 진접선, 별내선 기후동행카드 확대 적용 최대 걸림돌이기도 하다.[9] 이 경우 역무원과 사회복무요원이 직접 개찰구와 승강장에 나와서 안내하지만 진접 방면 이용객은 열차에 승차하기 전 행선지 확인을 해야 한다.
노원역
…의외로 출퇴근시간대에 환승역인 성신여대입구역과 동대문역에서 내리는 사람이 꽤 적다.반대로 퇴근시간 때 길음역부터 차츰 한산해지다가 창동역에서 1호선 환승객들로 인해 앉아 갈 수 있는 수준이 되며 노원역을 지나면 앉아 있는 사람들까지 90% 정도 하차한다…
연안역
…남한의 연백군을 점령한 북한이 남연백군으로 바꿨다. 1952년 연안군으로 복귀되었다. 승강장은 1면 4선으로 북쪽으로 선로를 건너 역사와 연결되는데, 직사각형 모양의 광장으로 되어 있다. 역 북쪽으로 시가지가 전개되어 있고 남쪽은 거의 논밭이다.2…
부발역
…승강장 및 대합실에 여객열차 전용 전광판 및 LCD 안내기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개찰구 역시 승차권의 QR 코드 리더기가 추가된 형태로 개조되었다.[1] 정확히는 중부내륙선이 부발기지선을 따라서 가다가 분기한다.[2] 물론 이렇게 되면 부정승차가 생길 위험이 있다.
영동본선
…1일소유자강원철도쌍도교통운영자운용차량강원철도 817계 전동차강원철도 683계 전동차4400호대 디젤기관차쌍도교통 전동차차량기지강릉차량관리단 제천차량소강릉차량관리단 동해차량소노선 제원노선연장147.6km궤간1,435mm선로 수단선급전방식비전화신호방식ATS-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