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32 건 / 처리 시간 0.051초

희방사역

…1 km →1. 개요2. 역 정보3. 역사4. 승강장5.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중앙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창락리 149-18 소재.2. 역 정보 [편집] 경상북도의 마지막 또는 첫 중앙선 역이다. 역사는 지상에 있지만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위치해 있으며, 역전에 소백산풍기온천이…

돌곶이역

…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상월곡 ↑하ㅣㅣ상↓ 석계상 서울 지하철 6호선상월곡·고려대·동묘앞·응암 방면하석계·태릉입구·봉화산·신내·동구릉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응암순환상월곡← 0.8 km<:…

양원·중랑숲역

…을 개시하였다. 역 건설 당시 인근 학교 이름을 딴 송곡역으로 불렸으나 서울에서 몇 안 되는 오래된 집성촌이었던 지역적 특색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양원역이 되었다. 정식철도역으로 등록되지 않은 영동선 양원역과 동명이역이었으나, 강원철도 측…

대성리역

…춘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북한강 기슭에 성곽처럼 이어진 언덕, 푸른 호반과 맑은 강물을 담은 역사대성리역은 1939년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관광객 증가와 함께 역사 및 광장을 넓히면서 성장해왔다. 역명은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는데, 대성이란…

봉천역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인접 정차역6. 사건 사고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29번.[1]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721 (봉천동 979-7) 소재.2. 역 정보 [편집] 서울대입구역부터 이 역을 지나 신림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다.역명 유래는 이 역이 소재한 법정동의…

명학역

…건물로 1974년 서울-수원 간 전철개통과 동시에 역사가 건설되었고, 1976년 명학국교, 중앙병원 등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1983년 승격하였다가 199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격하되었다. 인근에 부역명인 성결대를 비롯한 여러 학교가 위치하…

전동역

…도로교통망 발달로 인근 조치원역에 여객 및 화물수요가 흡수당하는 바람에 1983년 8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화물취급도 중지되었다.이어 1997년에는 신호장으로 다시 한 번 격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옆 동네 내판역처럼 여객취급은 한동안 유지되…

동빙고역

…역 정보1. 개요 [편집] 신분당선 D03.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빙고동 318 소재.역 명칭은 조선시대에 얼음의 채취·보존·출납을 맡아보던 관아인 동빙고(東氷庫)에서 유래된 동명의 동에서 유래했다.2. 역 정보 [편집] 인근에 한강중학교, 서울서빙고초등학교가 있으며,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하…

진위역

…게 '동'도 '읍'도 아닌 '면'에 소재한 유일한 역이다. 진위면은 경부선 철도뿐만 아니라 경부국도와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역 앞은 진위면의 중심 지역인 하북삼거리로, 진위면과 서탄면 주민, 인근 학교 통학생, 진위산업단지 근로자들이 주로…

동점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영동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태백시 태백로 2382 (동점동) 소재.2. 역 정보 [편집] 이 역이 속한 지명은 원래 통점이었는데 '구리를 캐는 곳(店)'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구리는 구리 동(銅)자이기에 통점에서 서서히 동점으로 정착해 버려 현재의 동점이…

학여울역

…직전 계단을 올라와서 왼쪽을 보면 자그마한 계단이 하나 있는데 빙빙 돌아가는 출구 계단 대신 이걸 이용하면 동선이 15초 정도 짧아진다.큰 도로인 영동대로와 남부순환로의 사거리 인근에 있으나 역사는 사거리에서 SETEC 방면으로 비껴난 곳에 있으며 출구는 SETEC 방면 하나뿐이다…

전의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부본선 GM20번, 충청선 CC14번.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만세길 10 (읍내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1903년 4월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의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941년 지금의 역사…

옥수역

…서울 지하철 3호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85년 곡선 선로 위 간이역으로 출발한강의 남북을 잇는 분주한 환승역옥수역은 1985년 10월 18일 경원선의 배치간이역으로 3호선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으로 동시 개통되었다. 처음 역사 설립 당시에는 곡선…

이촌역

…1.9 km경의·중앙 완행선KJ40용문 방면서빙고1.7 km →서울교통공사이촌역(국립중앙박물관)당고개 방면용 산← 1.3 km4호선430남태령 방면동 작동작대교 통과 →2.7 ㎞ →◀ 진접선 직통과천·안산선 직통 ▶ 신분당선으로 갈아타기주소강원철도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마차리역

…는 교행열차가 없을 경우 1번 승강장으로 통과한다.↑ 신기 ││43│21│하고사리 ↓1■ 영동선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2하행신기·동해 방면3미사용 승강장4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철암·제천 방면하고사리← 3…

금호역(서울)

…로 연결됩니다. @other1@에 대한 내용은 신금호역 문서를의 번 문단을의 부분을, @other2@에 대한 내용은 금호역(대구) 문서를의 번 문단을의 번 문단을의 부분을의 부분을, @other3@에 대한 내용은 문서를의 번 문단을의 번 문단을의 부분을의 부분을, @other4…

금리역

…은 동서방향으로 역이 놓여 있다는 점이다. 경원축으로부터 안변군은 동쪽에, 석왕사는 서쪽에 있기 때문에 꺾이는 지점이 된 것이다.3. 승강장 [편집] 3.1. 경원본선 [편집] ↑ 석왕사ㅣㅣ12ㅣㅣ안변 ↓1■ 경원본선세포·평강·철원 방면2안변·원산 방면4. 인접 정…

문곡역

…사용 중이다.3. 승강장 [편집] ↑ 태백乘││││동백산 ↓乘■ 태백선상행태백·영월·제천 방면하행동백산·도계·동해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태 백← 3.0 ㎞보통普通동해 방면동백산5.3 km →[1] 황지지선으로서의 개업일. 1973년 10월…

동가리역

…편집] ↑ 삼방1ㅣㅣ2신고산 ↓1■ 경원본선세포·평강·철원 방면2안변·원산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 경원본선철원 방면삼 방← 5.1 ㎞보통普通원산 방면신고산9.3 km →[1] 일제강점기 때 지도에는 '동가동(銅歌洞)'으로 나온다.

백산역

…해 있다.[5]3. 승강장 [편집] ↑ 철암││││21│││↓ 동백산문곡 ↓1■ 영동선하행동백산·도계·동해 방면2상행철암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철암 방면철 암← 4.3 km보통普通동해 방면동백산1.8 km →[1] 1963년 5월 20일. 영동본선으로 편입.[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