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794 건 / 처리 시간 0.071초
암사역
…었지만 X자 분기기가 회차선과 본선(또는 기지입출고선)의 합류부 앞에 있는가(모란역) 뒤에 있는가(암사역)의 소소한 차이가 존재한다.암사동 승객과 명일동 등지에서 오는 버스 환승객들의 영향으로 승하차 인원이 상당하다. 실제로 출근시간대 버스에서 내린 승객과 주변 주민…
고속터미널역
…을 연계하기 위해 건설된 역이다. 3호선, 7호선은 서울교통공사, 9호선은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 운영한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고속터미널은 서울 강남3구의 대표 상권중 하나이다. 고속터미널역은 지하철 3호선과 7호선, 9호선이 지나가며 하루 평균…
길음역
…各驛停車오이도 방면성신여대입구1.4 km →[1] 개정 전 17번[2] 미아리고개 지형 특정상 터널의 심도가 깊은 편이다.[3] 지하철6.7호선 역이름 확정(동아일보)[4] 서경대, 길음역 병기 반발(한겨레)[5] 청와대주변 安家 철거지 地下鐵역 7곳 이름확정
대야미역
…은 주변 대지에 비해 약 3미터나 높아서 위 사진에서 보듯 고가 역사처럼 보인다.당고개 방면으로 한 역만 더 가면 수리산역이 나오는데, 분위기가 확 다르다. 수리산 능선을 터널(산본터널)로 통과하면 바로 군포 산본 신도시 초입이다. 터널을 지나기 전까지는…
별어곡역
…결국 역무원조차 없는 쓸쓸한 간이역이 되었다. 마을 최초로 벽돌로 지어진 서양식 건물. 그러나 결국 그렇게 잊혀가던 역사는 2009년 정선아리랑 열차의 개통과 함께 억새전시관으로 새롭게 꾸며져 지역의 특성을 담은 상징으로 거듭났다. 정선아리랑 열차의 길이보다도 짧은 승강장…
삼척해변역
…4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역 및 승강장5. 인접 정차역6. 연계 버스1. 개요
[편집]
후진역이란 이름의 간이역으로 영업개시삼척해변역은 1944년 2월 11일 동해-삼척 간 연장개통으로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삼척, 동해, 강릉 간 버스…
삼산역(경기)
…로 개편되었던 곳이었지만 이미 장항선에 삼산역이 있었기 때문에 판대역으로 불렸다. 그러나 장항선 삼산역이 2006년 문을 닫으면서 지역실정과 대표성을 감안하여 2013년 판대역이 삼산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중앙 쾌속선 KC21번…
하고사리역
…과 달리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지역주민들이 직접 건설한 역의 다른 사례로는 같은 영동선의 양원역이 있다.3. 승강장
[편집]
고사리 ↑乘│마차리 ↓乘■ 영동선하행신기·동해 방면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도계역
…지금도 탄광촌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도계역 바로 뒤에 가행중인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도계역 뒷편 저탄장에는 폐석 운반용 강삭철도가 있다. 읍내 반대방향인 남쪽으로 가다 보면 도계전두시장 및 오십천변 까치발 건물들이 있고…
동백산역
…였으며, 여객열차는 통리역에서 동백산역으로 넘어오면서 주말 새벽 부산발 강릉행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는 점만 빼면 완전히 동일하다. 그리고 신역사로 수도권 전철역의 느낌이 나는 현대식 역사[3]로 탈바꿈했다. 따라서 통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도 승계받았다…
상천역
…이후 경춘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정감 있는 모습의 현대식 역사로 재탄생한 상천역은 비록 무인역이지만 옛 그 자리에서 이용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인근에 호명호수가 있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역 맞이방이 호명호수의 모습을 담은 타일 벽화로 꾸며지…
하남검단산역
…위치가 신창초교사거리와 창우초교 앞으로 재조정되어 각각 현재의 하남시청역과 하남검단산역이 되었다.5호선 하남시 구간인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은 경기도 지역에 있기 때문에 이 역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과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
안암역
…내발 6250항상 05:30 출발하는 응암순환행 6008 열차도 있는데 이는 신내차량기지에서 첫 번째로 출고한 것이 안암까지 공차회송한 것이다. 또한 주말 한정으로 안암까지 운행하는 응암순환발 6243도 있지만 주박 차량 도착에 앞서 먼저 신내차량기지로 공차회송.3…
양동역(경기)
…으로 임시역사를 거쳐 현재의 역사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다른 중앙선 역사들이 위치가 조금씩 바뀐 것과는 달리, 옛 역사 자리를 그대로 지키는 동시에 커튼월로 개방감이 뛰어난 3층 규모의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지역 중심에 자리한 역사답게 다양한…
가능역
…한다면 자사의 양식에 통일하라는 요구가 강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영역 철도청 역명판은 매우 이례적이라 평가받는다.[2] 초창기 서해선을 남서울철도(당시 강원철도 자회사)에서 포기하면서 홍성까지 동국철도가 운행했는데, 이를 빌미로 태안 등 충남의 다른 지역까지 사세…
도경리역
…무인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 그러나 과거 도경리역은 이웃 다른 마을보다 지세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뜻으로 ‘돈경’으로 부르던 지명에서 유래된 이름의 역사답게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던 곳이다. 현재에는 일반 열차도 멈추지 않고 여객…
신갈역
…고 있다.수려선이 있던 시절의 신갈역은 이 역과는 관계가 없고, 지금의 기흥역 위치에 있었다. 지금도 신갈의 중심인 신갈오거리는 기흥역 일대와 가깝다.공사중의 역명 가칭은 '신갈2역'[1]이다.역명대로 이 역은 행정구역 상으로는 신갈동에…
서강대역
…옛 역사의 문화재 등록을 희망했던 시민들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2012년 12월 서강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지하역사로 새롭게 돌아왔고, 2014년 3월 역명이 서강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서강대 학생들과 지역 주민은 물론 역사 위로 이어지는 경의선 숲길…
신례원역
…창← 10.3 km<:>준쾌속準快速대천 방면예 산5.0 km →장항선 준쾌속은 홍성역 이남부터 대천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1] 전신인 충남선 개업일은 1922년 6월 1일[2] 실제로 이 지역 일대는 예산읍사무소 예하 신례원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삽교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한때 인근 고찰 수덕사역으로 개명되기도2008년 한옥양식에서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삽교역은 1923년 11월 장항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46년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서 사철철도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국철로 편입하였으며 1973년 노천대합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