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03 건 / 처리 시간 0.053초

금리역

…정보 [편집] 본래 이 역의 역명은 남산역이었다. 그러나 남산리가 고산군에 있기는 하지만 이 역과는 떨어져 있었고 이 역의 소재지는 금리여서 금리역으로 개명하였다.역명의 금리는 비단을 뜻하는데, 맑은 강물이 아름답고 또 경치가 비친 것이 아름다워서 비단…

아우라지역

…떼돈 번다'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실제 이곳에 역이 들어선 것은 그 나무가 오래 묵혀 탄생한 석탄 때문이었다. 석탄수송을 위해 세워진 역이었지만 불과 20여 년 만에 석탄 합리화 정책으로 역원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그렇게 석탄수송의 시대는 막을…

백산역

…과 영동본선이 분기하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영동선 열차만 정차하며, 태백선 정기여객열차는 모두 동백산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정차하지 않는다.[3]현재 쓰는 역사는 1998년에 완공한 것으로서, 앞서 말했듯이 태백선 여객열차는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석왕사역

…여담1. 개요 [편집] 경원본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안변군 석왕사면 오산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의 유래인 석왕사는 이성계에게 꿈을 해몽해준데 대한 보답으로 창건한 사찰로 조선왕조의 보호를 받았다.행정구역 명칭이 '석왕사면'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삼방역

…변군 신고산면 삼방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삼방이라는 지명은 고려시대에도 수도권에서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가다가 나오는 중요한 교통의 요지인 이곳에 삼방관이라는 3개의 관문을 설치한데서 유래한다.원래 이곳이 삼방리 중심지였고 삼방역이었는데, 청학리…

삼산역(경기)

…로 이설된 이듬해 용문-서원주 간 복선전철이 개통되었다. 역사가 자리한 곳은 일제강점기 시절 원주군 지정면 판대리에서 삼산리로 개편되었던 곳이었지만 이미 장항선에 삼산역이 있었기 때문에 판대역으로 불렸다. 그러나 장항선 삼산역이 2006년 문을 닫으면서 지역실정과 대표…

추암역

…개요 [편집] 일출명소의 지붕없는 간이역추암역은 1999년 5월 '추암 해돋이 열차'가 운행되면서 영업을 시작한 역사(驛舍)도, 역무원도 없는 동해선의 간이역이다. 타는 곳과 철길이 전부인 역이지만 일출명소인 촛대바위와 추암해수욕장으로 가는 관문으로 2007년…

신고산역

…2. 역 정보 [편집] 신북청역이나 신의주역처럼 역명을 명명했으며, 경원본선 철도를 부설하면서 기존의 구읍리 지역을 고산이라 부르던 것과 철도로 인해 급성장한 신 중심지 지역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었다.역세권 개발 사업을 위해 주거지구와 공업단지가 신설되어, 식료품…

나전역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옛 모습 간직한 드라마 촬영 명소 나전역은 1969년 석탄산업의 발달과 함께 정선선 보통역으로 문을 열었다. 세월이 흐르고 1989년 대한석탄공사 나전광업소가 사라지면서 1993년에는 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이 되었다. 나전광업소가 있을…

남원주역

…되기까지 원주역 특급역사를 계승할 준비를 해오던 남원주역. 무실동에 들어선 남원주역사는 수도권에서 강원도로 들어가는 관문을 형상화한 독창적인 현대식 건축으로 새로운 미래로 도약하는 원주를 상징한다. 치악산 산봉우리들이 중첩되어 에워싼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원주를…

예미역

…편집] 산 이름도, 마을 이름도, 역 이름도 '예미'예미역이 위치한 예미마을은 그 이름처럼 예미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란 의미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여미산을 지금의 예미산으로 바꿔 부르는 과정에서 마을 이름이 되었다. 산과 마을, 역의 이름이…

하고사리역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마을주민들이 손수 지어서 운영했던 정식역사하고사리역은 1966년 건립되어 1967년 영동선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마을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건립하여 운영했던 정식역사이다. 등록된 간이역 중 팔당역…

세포역

…비슷한 크기, 이 덕성군이 멀리 북쪽의 함경남도에 있고 또 철도가 있기는 있으나 지선철도인데다가 상태가 심각하게 나쁜 수준인데, 그렇게 역 주변에 생긴 크기와 나름대로 신경 좀 써 준다는 간선 철도의 분기점임에도 읍으로 승격되지 못한데에는 그만한…

쌍용리역

…감소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86년 사무관(급)역으로 승격하였다. 옛 쌍용리역사는 135.71㎡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로 아담한 규모와 울타리가 인상적인 역사였으며, 1995년에 이르러 적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신기역(강원)

…면서 무궁화호 정차도 대량 감소했다. 근처에 환선굴이 있어 관광객들이 어느 정도 찾는 역이다. 문제는 버스 시간표와 연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3]환선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입구가 있긴 한데, 벽돌하고 아무래도 잘 어울리진 않는다. 그래선지는 몰라도 2014년 기준으로…

꽈배기굴/과천선

…가 과다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1안으로 확정하여 공사하게 되었다.문제는 통행 방향이었다. 서울지하철공사와 철도청은 서로 자기 쪽 통행 방향으로 운행을 해야 한다고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다투다가, 결국 교통부의 중재로 '서울시내 구간은 우측통행에…

죽령역

… 1942년 4월 1일 경경선의 제천~영주 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2길 31 (용부원리 411)에 위치한 역으로 개업하였다.이후 2020년 12월 4일 중앙선 직선화 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죽령터널 북측 출입구 인근으로 이설되었다.역이 현위치…

현동역

…같은 역사 모습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외씨버선길 봉화 8길 보부상길' 트래킹 코스로 사랑받게 된 것이다. 비록 무인역이지만 역사 내 시집과 아기자기한 소품들로 다양한 볼거리를 갖추고 있어, 2013년에는 '시와 음악이 흐르는 쉼터! 간이역 문화 콘서트'…

오빈역

…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말(馬) 대신 전철이 오가는 역오빈역은 중앙선 아신역과 양평역 사이에 위치한 역으로 2010년 12월 21일 영업을 시작했다. 오빈리는 과거 경기와 강원지방에서 한양으로 들어가는 마지막 역(역참)이 있었던 곳이다. 세월이…

김유정역

…2004년 12월 1일 한국 철도 최초로 인물명을 딴 김유정역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바로 역 앞에 위치한 실레마을이 소설 ‘봄봄’과 ‘동백꽃’으로 유명한 소설가 김유정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인 경춘선 개통으로 새 역사로 이전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