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64 건 / 처리 시간 0.064초

손하역

…방면개 성3.9 km →1. 개요2. 승강장2.1. 경의·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 KJ06번. 경기도 개성시 손하동 소재.2. 승강장 [편집] 2.1.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개성ㅣ43ㅣㅣ21ㅣ봉동 ↓1 경의·중앙 완행선금촌·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도라산역

…거리가 길어 장단군 측에서 요청하여 신설한 역이다. 장단군 측에선 이 역 일대에 역세권개발을 하고 있다.2. 승강장 [편집] ↑ 장단ㅣㅣㅣ43ㅣㅣ21ㅣㅣㅣ임진강 ↓1 경의·중앙 완행선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경의…

금릉역

…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작은 임시승강장으로 시작했지만, 주요 관공서 및 주거지역, 상업지역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인근 주요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장, 오늘날에는 파주시의 대표 역사로 자리하게 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의·중앙 완행선 KJ18번…

영태역

…ㅣ21ㅣ금촌 ↓1 경의·중앙 완행선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경의 쾌속선통과열차 전용34 경의·중앙 완행선문산·도라산·개성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개성 방면월 롱← 1.8 km각역정차各驛停車용문 방면금 촌2.3 km →[1…

신례원역

…당진 쪽으로 가는 버스는 대부분 여기를 경유하고 있다.2007년 12월 21일에 일단 선로와 승강장만 이전했고 한동안 구 역사를 계속 사용했다. 이후 구 승강장과 선로를 철거한 뒤 역사를 지어 2008년 10월 17일 부로 현 위치로 이전했다…

강매역

…문구경의·중앙 완행선 KJ29번.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랑로 53 (화전동 183-10).2. 승강장 [편집] 2.1.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행신ㅣ43ㅣㅣ21ㅣ한국항공대 ↓1 경의·중앙 완행선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경의 쾌속선통과열차 전용34 경의·중앙 완행선행신·고양·일산·개성 방면3…

장단역

…방면판 문5.3 ㎞ →1. 개요2.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 KJ09번, 경의 쾌속선 KO14번. 경기도 장단군 장단읍 동장리 198 소재.장단군 중심지에 소재한 역이다.2. 승강장 [편집] ↑ 판문 ㅣ43ㅣㅣ21 ㅣ도라산 ↓1 경의·중앙 완행선금촌·홍대입…

양수역

…방면운길산← 1.9 km중앙본선양 수모량 방면신 원4.7 km →1. 개요2. 승강장2.1. 중앙 쾌속선·경의·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39년 개업, 한때 화재로 역사 소실되기도양수역은 구불구불한 철길 위로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월롱역

…은 편임에도 의약분업 예외지역일 정도로 시골이어서 수도권임에도 무인역으로 운영되고 있다.[1]2. 승강장 [편집] 2.1.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파주ㅣㅣㅣㅣ43ㅣㅣ21ㅣ영태 ↓1 경의·중앙 완행선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경의…

남춘천역

…방면춘 천2.7 km →1. 개요2. 승강장2.1. 경춘 쾌속선·경춘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춘천역 대신 5년간 경춘선 시종착역 맡아남춘천역은 1939년 성산역이라는 이름의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뒤 1940년 4월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

삽교역

…을 재변경하였다. 1992년 역사 개보수를 통해 재탄생했던 옛 삽교역은 오늘날과는 다른 전통한옥양식의 역사로 221.25㎡ 규모에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단층 기와지붕 역사였다. 그러나 2008년 장항선의 선로개량사업의 완공으로 약 2km 떨어진 현재의 위치…

웅천역

…준비한다. 이후 웅천역은 2020년 옛 역에서 약 450m 동쪽에 웅천의 산과 강, 바다와 갯벌 등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담은 현대식 역사로 다시 태어났다. 역사는 독특한 색채 구성이 인상적인데, 웅천의 바닷길과 부서지는 파도를 표현한 연결통로와 검게 빛나…

대광리역

…0 ㎞경원본선대광리안변 방면신탄리4.4 km →1. 개요2. 승강장2.1. 의정부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는 따뜻한 역사대광리역은 1912년 10월 21일 경원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연천군 신서면에 위치한 대광리역은 한때…

전곡역

…선 이북지역의 최남단 역사이다. 현재의 역사는 1958년 10월에 지어진 역으로 삼각지붕이 소담스런 모습이다. 역사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전곡읍은 연천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땅이 몹시 질어 '진골'이라 불렸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야탑역

…역 정보 [편집] 분당구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역으로, 이 역부터 오리역까지 분당신도시 구간이다.태평역처럼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하였다.이 역과 이매역 사이에 경강선 연결선로가 존재한다.출구는 총 4개로, 2005년 1·4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으며…

정동진역

…구매해야 한다. 또한 규정상 도중하차가되지 않는 승차권[1]으로도 역 주변 관광을 할 수 있도록 예외적으로 도중하차를 허용해주고 있다.2. 역 및 승강장 [편집] ↑ 옥계3ㅣㅣ21ㅣ안인 ↓1■ 동해선하행대피열차 전용2안인·강릉 방면3상행묵호·동해…

동화역

…1. 개요 [편집] 시대의 부름에 응답해 온 역사(驛舍)의 운명동화역은 1938년 4월 1일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어 1956년 한차례 역사를 새롭게 건설했다. 넓이 66.92㎡의 조그마한 기와 지붕 역사. 바로 현재의 동화역사이다. 등록…

태백역

…태백선 개업 당시 태백역은 현재의 동백산역을 가리켰던 것. 1984년 12월 1일에 태백역으로 개명했다. 황지역으로 시작한 태백선의 대표역태백역은 1962년 12월 태백선 황지역으로 영업을 시작, 1984년 황지읍이 태백시로 승격하면서 태백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동점역

…[편집] 영동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태백시 태백로 2382 (동점동) 소재.2. 역 정보 [편집] 이 역이 속한 지명은 원래 통점이었는데 '구리를 캐는 곳(店)'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구리는 구리 동(銅)자이기에 통점에서 서서히 동점으로 정착해 버려 현재의 동점이 되었다.1956년…

수색역

…임시역사를 거쳐 2006년 현재의 역사가 완공되면서 이전하였으며, 2009년 7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서울 지하철 6호선에도 수색역이 있었지만 경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6호선 수색역의 이름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