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71 건 / 처리 시간 0.036초
함백역
…2. 승강장
[편집]
↑ 예미│乘조동 ↓乘■ 태백선영월·쌍용리·제천 방면사북·태백·동백산·동해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예 미← 5.2 ㎞쾌속快速아우라지 방면조 동4.4 km →제천 방면예 미← 5.2 ㎞보통普通동해 방면조 동4.4 km →
석왕사역
…여담1. 개요
[편집]
경원본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안변군 석왕사면 오산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의 유래인 석왕사는 이성계에게 꿈을 해몽해준데 대한 보답으로 창건한 사찰로 조선왕조의 보호를 받았다.행정구역 명칭이 '석왕사면'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원산갈마역
…ㅣㅣㅣㅣㅣㅣ21ㅣ원산 ↓1■ 동해선■ 경원본선하행원산 방면2상행안변·통천·세포·철원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 동해선·■ 경원본선통천·철원 방면배 화← 6.7 km보통普通원산 방면원 산4.1 ㎞ →[1] 경원선 구간이 동해선으로 편입된 날짜.
주문진역
…1현남↓1■ 동해선하행양양·낙산·속초 방면2상행경포대·강릉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 동해선부산 방면강 릉← 18.4 km[특급] 환동해[特急] 環東海나진 방면양 양28.9 ㎞ →강릉 방면연 곡← 4.1 km보통普通속초 방면현 남6.9 ㎞ →
승문역
…다.3. 역사
[편집]
1971년 4월 10일에 개통하였다.4. 승강장
[편집]
↑ 문수1||||2옹천 ↓1 중앙본선상행영주 방면2하행안동·의성·영천·동대구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중앙본선영주 방면문 수← 3.5 ㎞보통普通동대구·영천 방면옹 천9.8 km →
효정역
…일 의성~영천 구간의 복선전철화와 동시에 개통하였다.4. 승강장
[편집]
↑ 군위1||||2북영천 ↓1 중앙본선상행의성·안동·영주 방면2하행영천·동대구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중앙본선영주 방면군 위← 14.5 ㎞보통普通동대구·영천 방면북영천12.3 km →
삼산역(경기)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장항선 삼산역 때문에 판대역으로 개업, 2013년 장항선 삼산역 폐역으로 역명 변경삼산역은 1965년 12월 판대역이라는 이름의 중앙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교통이 불편하던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발로 역할 해왔다. 2001년 이용객 감소로…
자미원역
…동백산·동해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조 동← 4.4 ㎞쾌속快速아우라지 방면민둥산6.7 km →제천 방면예 미← 11.0 ㎞조 동← 4.4 ㎞보통普通동해 방면민둥산6.7 km →[1] 정선선으로서의 개업일로, 1973년 10월 16일에…
옥원역
…↑ 흥부ㅣ12ㅣㅣ34ㅣ임원 ↓1■ 동해선상행흥부·울진 방면보통열차 대피용23하행삼척·동해·정동진·강릉 방면4보통열차 대피용4.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 동해선울진 방면흥 부← 10.5 km보통普通강릉 방면매 원9.6 ㎞ →5…
망상해변역
…동진·안인·시동·강릉 방면2상행묵호·동해·삼척·울진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 동해선청량리 방면묵 호← 6.7 km[특급] 태백산[特急] 太白山(하절기 임시정차)강릉 방면정동진16.3 ㎞ →울진 방면망 상← 0.7 km보통普通강릉 방면옥 계4.8 ㎞ →
흥부역
…개요
[편집]
동해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 420-15 소재.2. 역 정보
[편집]
근처에 한울 원자력 본부와 덕구온천이 있다. 원자력 본부의 직원 수요와 덕구온천의 관광객 유치를 통해 수요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배후 인구도 약 7천 5백명으로 울진에서 두 번…
연하역
…2. 역 정보
[편집]
1957년에는 탄광산업 성장에 발맞추어 보통역으로 개업하고 그 이후로도 승객이 꽤 있었으나, 1980년대에 석탄산업합리화정책의 영향으로 탄광 대부분이 문을 닫고 이 역도 1993년 업무위탁역으로 떨어진 뒤 2005년 4월 1일에…
상정역
…승강장
[편집]
↑ 신기│21│미로 ↓1■ 영동선하행미로·동해 방면2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철암·제천 방면신 기← 5.2 km보통普通동해 방면미 로4.7 km →[1] 철암선으로써의 개업일.
구절리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레일바이크 여행의 진수, 구절리역구절리역은 1974년 정선선 여량-구절리 간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과거에는 여량(현 아우라지역)역을 관리하던 역이자 2001년 비둘기호가 마지막으로 운행되었던 역이었다. 1997년 간이역 격하에 이어 2002년 태풍…
나전역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옛 모습 간직한 드라마 촬영 명소 나전역은 1969년 석탄산업의 발달과 함께 정선선 보통역으로 문을 열었다. 세월이 흐르고 1989년 대한석탄공사 나전광업소가 사라지면서 1993년에는 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이 되었다. 나전광업소가 있을…
석항역
…보통열차만 정차하는 역이 되었다.하지만 이 역에서 취급하는 화물량이 2009년 기준 약 50만 톤으로 굉장히 많아 직영역으로 살아남아 있는 상태.2020년 8월 28일 무인역으로 격하되었다.이 역을 통한 화물취급은 인근 예미역 역무원들이…
시동역
…1 소재.2. 승강장
[편집]
2.1. 동해본선·영동본선
[편집]
↑ 안인 2ㅣㅣ1강릉↓1■ 동해본선하행강릉 방면2상행묵호·동해·삼척·울진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 동해선울진 방면안 인← 2.7 km보통普通주문진 방면강 릉6.4 ㎞ →
추전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사시사철 난로가 필요했던 추운 역사추전역은 1973년 태백선 철도 개통과 함께 같은 해 11월 10일 역사가 신축되며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박공지붕의 옛 추전역사가 콘크리트 건물로 바뀌고 연탄난로가 있던 대합실이 기념관으로 바뀌…
쌍용리역
…아우라지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제 천← 18.3 ㎞쾌속快速아우라지 방면영 월16.4 ㎞ →제천 방면입 석← 4.6 ㎞보통普通동해 방면연 당7.6 km →[1] 그래서 거의 화물역이라 역무원들이 엄청 고생했다고 한다. 게다가 3조 2교대라…
신기역(강원)
…1. 개요
[편집]
1940년 문 열고 한때 석회석 화물 취급신기역은 삼척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기차역으로, 1940년 8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0년 누전으로 한차례 역사가 소실되는 사건을 거치면서 1958년과 1992년에 새로운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