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49 건 / 처리 시간 0.196초
한양대역
…왕십리 방향 선로는 일반 지하철 구간과 다를 게 없어 보이는데 뚝섬역 방향 선로는 지상 고가 구간이다.이 역과 왕십리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60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상대식 승강장이며 역의 양 끝으로 출구가 나 있어 게이트 내…
경원본선
…십시오.2005년 중앙본선 시티열차 도입 이후, 중앙선 보통열차의 연장선 격으로 운행된다. 청량리서울라인이 개업하면서 특급열차는 더이상 이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다.2.2. 청량리~철원 구간
[편집]
@설명@ 자세한 내용은 경원선 문서를의 번 문단을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설명@…
모래위키:문서 삭제식 이동
…방식, 기존에 존재하던 문서를 삭제식 이동한 후에 동음이의어인 다른 문서 내용을 덮어쓴 방식을 의미합니다. 해당방식은 피해문서를 집중 기여하지 않는 이상 반달 정황을 파악하기 매우 어렵고, 덮어씌워진 문서는 모래위키의 CCL BY 조항을 명백히 위반했기에, 추가적인…
영종대교
…지하철 7호선 & 동부간선도로의 청담대교처럼 열차와 자동차가 같이 다니는 2층 구조를 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청담대교와 동호대교와 동작대교를 합친 복층과 복합의 조합이다. 이러한 특징 덕에 영종대교 상판의 폭은 41m에 달하며, 단면적당 통행 용량이…
차량기지/대한민국
…착발 KTX 열차의 주박과 1호선 광명셔틀의 회차에 쓰인다. 차량사업소가 아닌 주박기지라 불리는 이유는 별도의 정비를 담당하는 시설이 없고 그냥 유치를 위한 선로만 깔려 있기 때문이다. 원래는 정비시설도 건축하려 했으나 광명역에서 끊으려던 경부고속철도 계획을…
대전조차장
…에서 열차 사고가 발생하거나 역이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수도권과 한반도 남부와의 철도교통이 단절된다. 호남선이 우회하려면 호남고속선이나 장항선이 아니라면 현재로선 답이 없고, 경부선 계통은 청량리-부전 노선과 비슷하게 타는 식으로 동해선과 중앙선으로 크게 우회하든가…
영월역
…으로, 1955년 준공한 고풍스러운 느낌의 한옥 역사가 오랜 시간 동안 영월의 관문으로 역할해오고 있다. 단종의 능이 있는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여 탄생한 단청이 고운 한옥 역사이다. 한자로 쓰인 역명판과 함께 궁서체로 새겨진 한글 역명판이 특히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경인선
…경부선은 302번, 고속선의 경우에는 서울-인천 사이에 고속선이 없기 때문에 경부고속선이 1번(101)이다.개통 당시에는 노량진이 기점이었으며 1900년 7월 경성까지 연장되었으나, 1905년에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구로 이북 구간이 경부선 구간에 편입되고 나머지만…
오리역
…3호선 연장구간으로 착각하게끔 만들었다. 지금은 당연히 오금역으로 다 바뀌어있다.고속터미널역이나 압구정역 등에 비슷한 표지판이 남아있었으나# # 서울남산체를 적용한 표지판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4]역사가 위치한 곳이 옛날 오동나무가 많다고 하여 '오리뜰'…
문래역
…이 많은 환승역이 6개에 이어서 환승역이 끝난 지점들의 다음 역들인 신촌역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은 비환승역이지만 이용객이 최상위권에 들어갈 정도로 많아서 러시 아워 때는 내리기 어렵다. 향후 신촌역은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신안산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강남역, 서울대입구역…
도화역
…1996년 제물포역과 주안역 사이 쑥골 고가교 아래 부근에 역사 신설을 요구하는 민원에 의해 새로 생긴 역이다. 예상 이용 인원이 부족하여 역사 건립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결국 지역 주민들의 편리한 교통 이용을 위해 문을 열게 되었다. 역사는 작은 규모로…
벽제역
…원래 3호선은 벽제역에서 [[수서역]]을 지나 [[분당신도시]]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분당 구간은 3호선이 아니라 [[분당선]]이라는 별도의 노선을 만들어서 [[오금역]]이 종점이 되었다.
==== 조리금촌선 ====
파주시에서는 3호선의 지선 형태로 벽제를 지나가는 [[조리금촌선…
부천역
…하여 1983년에 하차객 전용으로 다시 개방하였다. 1984년에는 부천역 북부에도 역무실과 개찰구 등을 설치하여 역사 규모를 확장하였다.현 역사는 1993년에 착공하여 1999년에 완공된 민자역사이다. 민자역사 공사에 따라 지하 맞이방을 제외한…
보정역
…분당선 수원 방면 공사조차 지지부진하자[1] 분당차량사업소에 임시 역을 설치하여 운영하자는 제안이 나온 것.하지만 그 과정은 매우 험난했다. 당장 분당선 운영기관인 남서울철도부터가 대놓고 안된다고 고집을 부렸기 때문이다. 분당차량사업소 업무에 지장이 초래된다느니…
남태령역
…2909) 소재.2. 역 정보
[편집]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과 관악구 남현동에 걸쳐 있다. 이름은 역 상부에 위치한 고개인 남태령에서 유래했다.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의 종점이자 과천선의 종점이다. 옛 서울메트로에서 관리했던 역 중 제일 남쪽에 있는 역이었다. 여기서부터는 사당…
태백본선
…중앙선과 영동선을 빠르게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이며, 충북선과 비슷하다.38번 국도 강원도 구간[6]과 선형이 비슷하며, 철도판 38번 국도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다만, 선형은 도로가 더 한 수 위라 철도가 뒤쳐지기도 한다.4,505m로 한때 한국에서 가장 긴…
성수역
…었기 때문에 지금도 성수지선 환승 안내방송에는 1호선 구간이 언급되어 있다. 최근에는 우이신설선 구간도 같이 방송에서 언급한다.외선순환 ↔ 성수지선의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섬식 승강장 하나를 두 노선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내리면 바로 코…
교대역(서울)
…2, 3호선 모두 각각 강남역과 서초역, 고속버스터미널과 남부터미널로 이어지기 때문에 혼잡하다. 예상 밖으로 넓지만 붐빌 때는 매우 붐빈다. 환승인구가 많고 실제 지상으로 나오는 인구는 생각보다 적으나, 출퇴근 시간에는 아수라장을 방불케 한다. 특히 이 시간대에 3호…
대청역
…부락인 대청마을에서 유래했다. 한자로 된 역명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마을 이름의 유래가 대청(大廳)마루니까 실제로는 한자 역명이 있는 셈이다. 도곡역 근처에 있는 대청중학교와는 관계가 없다.대청역 밑으로 수인·분당선이 지나가지만,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킨텍스역
…을 무상제공하면서 킨텍스 원시티 103동 지하에 킨텍스역이 들어서게 됐다. 한류월드로 지하에 지으려면 국토교통부나 민자사업자가 돈을 내야하는데 원시티 아파트 103동 지하에 들어서게 되면 공짜로 역이 들어서게 되니까 말이다. 참고로 킨텍스역 건설비는 160억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