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제역
최근 수정 시각: ()
碧蹄驛
Byeokje Station
Byeokje Station
주소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61년 7월 10일 | |||||
철도거리표 | |||||
교외선 벽 제 |
1. 개요 [편집]
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벽제읍에서 유래되었으며,[1] 1961년 5월 30일에 역사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7월 10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9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
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생태보호 차원의 확장공사와 도로확장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자 철교를 철거하면서 벽제-삼릉역 사이의 선로가 일시 단절된 적이 있었다.
2015년 5월 29일부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에 의해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일부 군용화물만 간간히 들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교외선의 모든 역들 중 노선 동결에서 살아남은 부류에 속한다.
2020년 발표된 교외선 재개통안의 정차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여객 열차의 무정차 통과가 예정되어 있다, 물론 여객열차 운행중단 뒤에도 화물 수요가 남아있어서 없어지지는 않는다.
교외선이 교통이 불편한 벽제(관산동, 고양동)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지만 해당 구간에 정차역은 없고 역간 거리도 길어, 개통 이후 삼릉역을 관산동쪽으로 이전하여 관산역을 신설하거나 벽제역 인근에 여객열차를 정차시켜 달라는 요구가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2]
일영 지역보다 벽제 지역이 인구가 더 많아 일영역을 고양동 쪽으로 옮기려고 했었고, 고양동 중심지에서 장흥역과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이쪽으로 오는 버스가 더 많이 다니며 관산동쪽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3]
역사는 물류업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가 2024년 교외선 재개통 공사 현장사무소가 입주했으나 같은 해 11월 노후화 문제 때문인지 화장실 건물과 승강장[4]을 제외한 모든 시설물이 전부 철거, 역 부지에는 공사 사무실이 들어섰다.
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9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
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생태보호 차원의 확장공사와 도로확장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자 철교를 철거하면서 벽제-삼릉역 사이의 선로가 일시 단절된 적이 있었다.
2015년 5월 29일부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에 의해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일부 군용화물만 간간히 들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교외선의 모든 역들 중 노선 동결에서 살아남은 부류에 속한다.
2020년 발표된 교외선 재개통안의 정차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여객 열차의 무정차 통과가 예정되어 있다, 물론 여객열차 운행중단 뒤에도 화물 수요가 남아있어서 없어지지는 않는다.
교외선이 교통이 불편한 벽제(관산동, 고양동)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지만 해당 구간에 정차역은 없고 역간 거리도 길어, 개통 이후 삼릉역을 관산동쪽으로 이전하여 관산역을 신설하거나 벽제역 인근에 여객열차를 정차시켜 달라는 요구가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2]
일영 지역보다 벽제 지역이 인구가 더 많아 일영역을 고양동 쪽으로 옮기려고 했었고, 고양동 중심지에서 장흥역과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이쪽으로 오는 버스가 더 많이 다니며 관산동쪽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3]
역사는 물류업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가 2024년 교외선 재개통 공사 현장사무소가 입주했으나 같은 해 11월 노후화 문제 때문인지 화장실 건물과 승강장[4]을 제외한 모든 시설물이 전부 철거, 역 부지에는 공사 사무실이 들어섰다.
2.1. 연장 계획 [편집]
2.1.1. 초기 3호선 계획과 벽제역 [편집]
[*문래(현재 신도림)에서 김포공항까지 연결하는 노선은 초기 5호선이고 1992년에 일부 구간은 신정지선으로 대체되었다. 망우역에서 화곡동을 잇는 노선은 구 8호선이며 강북과
[[1980년대]] [[서울 지하철 3호선]] 초기 노선안에서 기점으로 선정되었다가 수익성 문제로 [[구파발역]]으로 단축되었다. 이후로도 벽제역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1990년대에 [[일산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일산선]]을 건설하여 연계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
원래 3호선은 벽제역에서 [[수서역]]을 지나 [[분당신도시]]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분당 구간은 3호선이 아니라 [[분당선]]이라는 별도의 노선을 만들어서 [[오금역]]이 종점이 되었다.
==== 조리금촌선 ====
파주시에서는 3호선의 지선 형태로 벽제를 지나가는 [[조리금촌선]]을 추진하고 있는데, [[통일로]]를 따라 건설될 예정이라 지금의 벽제역하고는 떨어져 있다.
[[송도역]]처럼 전철화와 노선 개량으로 역이 이설한 예도 있고, [[강매역]]처럼 폐역 후 다시 역이 부활하면서 위치가 바뀐 경우도 있기에 만약 [[조리금촌선]]이 현실화된다면 통일로 인근으로 이설되어 부활할 수도 있었지만 조리금촌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만 반영돼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
==== 6호선 연장 ====
[[응암순환선]]을 개량하여 기자촌, [[은평뉴타운]]을 지나 [[삼송지구]]를 거쳐 벽제역에서 끝나는 노선이다.
그러나 애초에 [[교외선]] 연계를 노리고 있고, 응암순환선 일부 구간을 폐쇄하지 않는 이상 실현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 승강장 ===
||<-6> ↑ [[일영역|일영]] ||
||<-2> {{{#ffffff 1}}} ||<-2> ㅣ ||<-2> ↖ ||
||<-2> ㅣ ||<-2> ㅣ ||<-2> ㅣ ||
||<-2> ↘ ||<-2> ㅣ || {{{#ffffff 2}}} ||
||<-6> [[삼릉역|삼릉]] ↓ ||
|| {{{#ffffff 1}}} ||<|2>[[파일:DH-KE.png|width=17]] [[교외선]] || 하행 ||[[일영역|일영]]·[[송추역|송추]]·[[의정부역|의정부]] 방면 ||
|| {{{#ffffff 2}}} || 상행 ||[[원릉역|원릉]]·[[대정역|대정]]·[[고양역|고양]] 방면[br]{{{-2 (직통 [[김포공항역|김포공항]]·[[소사역|소사]]·[[초지역|초지]]·[[향남역|향남]] 방면)}}} ||
|| ↖ ||하행(의정부방면) 선로 본선 합류 ||
|| ↘ ||상행(대곡, 능곡방면) 선로 본선 합류 ||
승강장은 1면 1선이나 삼릉 방면 구내에 대피선 2개가 있어 열차의 교행이 가능하다. 또 삼릉 방향 남쪽 수풀 속에 길쭉한 승강장이 하나 더 있다.
2024년 10월 1일부터 교외선 운행 재개를 위한 시운전으로 모터카나 공사 열차를 비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다.
2024년 11월 역사가 철거된 이후 승강장에 펜스를 설치하여 접근을 차단하였다.
== 인접 정차역 ==
||<-6><:>[[파일:DH-KE.png|width=20]] [[교외선]]||
||<-2><:>[[향남역|{{{-2 {{{#000000,#fff 향남 방면}}}}}}]][br][[삼릉역|삼 릉]][br]← 4.2 km||<-2><:>{{{-1 보통[br]普通}}}||<-2><:>[[의정부역|{{{-2 {{{#000,#fff 의정부 방면}}}}}}]][br][[일영역|일 영]][br]4.7 ㎞ →||
== 역 주변 정보 ==
벽제화장터로 알려진 [[서울시립승화원]]이 직선거리로 300m, 보행자통로로 돌아가도 650m 정도 떨어져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가 벽제역 남쪽으로 달라붙어 있다. 통일로IC로 진출한 후 대자로로 바로 우회전하면 벽제역이다.
[[국군고양병원]], [[제1군단]] 사령부가 벽제역 남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인근에 벽제유원지가 있었기 때문에 여객열차 운행 시절에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했다.
역에서 의정부 방면으로 약 330미터 떨어진 곳에 [[방객현터널]]이 있다.
== 연계 교통 ==
||<-3> {{{#ffffff '''벽제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4> '''벽제역'''[br](19259)[br]역 앞 정류소 ||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3|{{{#fff 033(중부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3|{{{#fff 053(고양동)}}}]]}}} ||
||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광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90|{{{#fff 790(고양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고양동)}}}]]}}} ||
|| 맞춤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1(광탄)}}}]]}}} ||
||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4|{{{#fff 774(파주읍)}}}]]}}} ||
||<|4> '''벽제역'''[br](19258)[br]역 건너편 정류소 ||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3|{{{#fff 033(원신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3|{{{#fff 053(삼송역)}}}]]}}} ||
||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원흥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90|{{{#fff 790(숭례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행신역)}}}]]}}} ||
|| 맞춤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1(원흥역)}}}]]}}} ||
||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4|{{{#fff 774(불광역)}}}]]}}} ||
|| '''벽제역'''[br](57320)[br]부대앞 방면 정류소 ||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2|{{{#fff 052(지축동)}}}]]}}} ||
|| '''벽제역'''[br](57477)[br]선유동 방면 정류소 ||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2|{{{#fff 052(선유동)}}}]]}}}[* 벽제역에서 양주시 장흥면 방향으로 가려면 반드시 이 버스를 타고 비석거리에서 환승해야 한다.] ||
== 사건 사고 ==
[youtube(sUOgpRD0mEg)]
2016년 6월 9일 인근 건널목에 군용차량과 화물열차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2016년 6월 9일 인근 건널목에 군용차량과 화물열차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