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86 건 / 처리 시간 0.066초

청소역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등록문화재가 된 장항선의 어르신청소역은 장항선에 유일하게 남겨진 간이역으로 1929년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 1958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장항선 복선화가 완료되면 이제 오랜 세월 동안 열차를 맞이해오던 역사의 업무도…

동인천역

…머 케인경인선 GI60번. 인천광역시 중구 참외전로 121 (인현동 1-613) 소재.2. 역 정보 [편집]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경인선 첫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했다. 즉 대한민국 철도사의 First 8(1899년 역사상 처음으로 운행한 8개 역)중 하나이다. 각각 제물포역(현재의 인천역), 축현역(현재의 동인천역…

분천역

…를 한자화 해서 분천(汾川)이 된 것이다.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3월 역사가 준공되었다.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

오리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94년 분당선 수서-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출발오리역은 1994년 분당 신도시 개발로 수서~오리 구간의 분당선이 개통되며 영업을 처음 시작하였다. 한동안 분당선의 시종착역으로 역할하였으나, 이후 보정역과 죽전역이 각각 2004년, 2007…

지평역

…중앙 쾌속선·경의·중앙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지역주민의 사랑과 염원으로 성장하는 역지평역은 1940년 4월 1일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대체 교통수단이 부족했던 지역주민들의 소중한 이동수단으로 역할을 해 왔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에 따라 2008년…

병점역

…군포시로 편입됐으며,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한정된 영역으로 간주하면 최초의 전철역이기는 하다.병점 ~ 오산 구간은 원래 삼미동 쪽으로 방향을 크게 트는 곡선이었다. 하지만 당시 수원 ~ 천안 간 2복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1번 국도 서쪽의 고가 선로…

초월역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1. 개요 [편집] 2016년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초월역은 2016년 9월 2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지하 1층에 타는 곳이, 지상 1층에 맞이방이 있는 반지하 역사로, 도시와 농촌이 만나는 지역적 특색…

보산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역 사이의 신설역역사 나서면 이국적인 그래피티의 거리보산역은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역 사이에 자리 잡은 경원선 철도역으로 2006년 12월 5일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명은 미군부대의 주둔으로 없어진 옛 지명을 따서 붙여진…

퇴계원역

…경춘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왕숙천의 흐르는 물을 담다퇴계원역은 1939년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70년 화재로 역사가 소실되어 이듬해 역사를 신축 준공하면서 인근 다른 역들에 비해 빠르게 철근콘크리트 현대식 역사로 지어졌다. 2010년 경춘선…

동암역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1983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88년 남북부 역사를 분리 증축 준공하였는데, 당시 역사는 328㎡ 규모에 269㎡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선상 단층 역사였다. 이후 2001년 10월 현재의 역사로 신축, 이전하여 새롭게 영업…

도화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2001년 쑥골 고가교 아래 신설, 쑥골역으로 불려도화역은 2001년 11월 30일 경인선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존 경인선에는 없던 역으로, 1995년과 1996년 제물포역과 주안역 사이 쑥골 고가교 아래 부근에 역사 신설을 요구하는…

소요산역

…의정부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교과서에도 등장했던 소요산역의 정취소요산역은 1976년 1월 11일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후 1982년 9월 21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꽃그림이 그려진 동화책 속을 달리는 것 같은 경원선 열차를 타…

벽제역

…준공되었고, 같은 해 7월 10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부천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899년 경인철도 개통과 함께 소사역으로 개업부천역은 1899년 9월 소사역이라는 이름의 경인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1년에는 군수물자와 유류수송을 위한 부천역과 김포공항을 잇는 김포선이 건설되었다가 도로교통의…

서강대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06년 경의선 보통역으로 출발한 유서 깊은 역서강대와 경의선 숲길로 이어지는 지하역사서강대역은 본래 서강역이란 이름으로 1906년 10월 경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사는 147㎡ 규모의 아담한 역사로 46.92㎡ 규모의 부속…

파주역

…위길 38 (봉암리 487-4) 소재.1965년 한 평 남짓 간이역으로 출발파주역은 월롱역과 파주역의 중간에 해당하는 지금의 파주시 봉암리에서 1965년 8월 경의선 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원도 없이 3.24㎡의 작은 알미늄 샷시 하나가 전부였던 옛 파주역…

도심역

…도심으로 바뀐 사연2007년 12월 27일 도심역 광장에서 지역주민과 경기도지사 및 관계자 등이 모여 중앙선 복선전철 남양주 덕소-팔당 구간 연장 개통을 축하하는 행사가 열렸다. 도심역도 이와 같은 날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237번지…

강매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자연의 흐름을 담아낸 환경 친화적인 역사강매역은 1974년 경의선 행주역(임시승강장)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 역원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가 1976년 현재의 강매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경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행신역과 통합되면서 폐지되…

양수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39년 개업, 한때 화재로 역사 소실되기도양수역은 구불구불한 철길 위로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7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역사와 대합실, 각종 비품들까지 모두 타버리는…

예산역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예당저수지를 연상시키는 푸른 유리타워 역사예산역은 1922년 장항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예산역은 예산의 명물, 사과 등 농산물과 공산품이 오가는 물류의 거점 역사로, 일제강점기에는 경남철도(사철)의 종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