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04 건 / 처리 시간 0.073초
대동역
…이로 인해 열차와 승강장과의 간격이 넓다. 나머지 두 개는 판암역, 지족역. 또한 신흥역으로 가는 길에 급곡선 구간이 두 군데가 나와 열차 속도가 다소 느리다.그래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속해 있는 동구 지역 역 중에서는 제일 역 주변이 발달되어 있다…
서천역
…일[2] 기존 역사의 주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38 (군사리 55-6)이다.[3] 구 역사는 서천군청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이여서 2019년 3월에 철거되었다. 2009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서천군맑은물사업소가 자리잡고 있었으나 현재는 장항읍…
도농역
…학교가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보통열차가 연장하면서 더이상 급행 이상의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기도 남양주시의 철도역. 2005년 이전까지 중앙선을 이용하면 청량리에서 바로 나오는 역이기도 했다.한 때 특급열차를 정차…
배방역
…[2] 구 역사와 모산육교는 철거되었고 공원으로 조성 중이다.현재 옛 모산역의 흔적은 거의 사라졌고, 사진 속의 모산역사 뒷편에 우뚝 솟은 배방 삼정그린코아 아파트[3]와 더 뒷편에 살짝 보이는 배방 한라비발디 아파트를 제외하고 주변에는 새로운 아파트 단지들이…
분천역
…라는 이름을 가진 고양이가 있었는데 역무원 말로는 원래 길고양이로 제발로 역에 와서는 제 집처럼 쓰다가 나중에는 아예 역에 눌러살아서 분천역의 마스코트가 다 되었으나,# 후에 덫에 걸리면서 한쪽 앞다리가 잘렸다고 한다.[3]영주시·봉화읍에서부터 이어지는 36번 국도…
정선선
…11월 22일 민둥산역 ~ 정선역 구간 17.6km 지점에서 열차 충돌사고가 발생했었다. 5. 열악한 상황
[편집]
강원철도에 따르면, 최악의 성적을 기록한 노선은 정선선으로 영업계수가 무려 1,260에 달하여 폐선이나 제3섹터화 논의가 오가기도 하였다…
강일역
…한성백제의 전통을 모티프로 하였다. 대합실 바닥 주요 동선에는 선사유적의 빗살무늬토기 패턴을, 천장에는 움집 구조와 백제 무령왕릉 이미지가 연상되는 디자인을 적용했다. 또한 대합실 연결통로에는 곧게 뻗은 소나무 형상의 미술작품을 설치해 위례성의 역사를…
지평역
…시골역사 모습의 옛 지평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새롭게 들어선 역사는 전면 채광을 위한 창의 현대식 건물로 출구가 1개인 것이 특징이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중앙 쾌속선 KC16번.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역길 32 (지평리 1120-10) 소재.이 역 부터 제천역까지 중앙 쾌속선 열차만…
대치역
…기지까지 회송한다고 한다. 독립문역도 예전에는 회송하지 않았다.4호선 명동역이나 7호선 청담역처럼 출구 쪽 계단이 양쪽 끝에만 있는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정신 놓고 있다가 한가운데서 내리면 양 끝 가는 길이 제법 멀다. 또한 개찰구를 나온…
문래역
…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2] 2호선이 들어오고 1980년대 중후반 ~ 1990년대 초반까지는 아파트 두어 동을 제외하면 공장 지대였다.출입구는 총 7개로 1, 5, 6, 7번 출입구와 2, 3, 4번 출입구가 역사 양 끝에 자리해 있다…
동암역
…선하 역사이며 인천 지하철 1호선 간석오거리역과 인접한 것이 특징이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인선 GI54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암광장로 10 (십정동 541) 소재.2. 역 정보
[편집]
경인선에서 유일하게 선로가 남북축으로 향한다. 경인선에서 지상출구가 하나인 인천역을 제외하고 동암역만…
금릉역
…역사로 자리하게 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의·중앙 완행선 KJ18번. 경기도 파주시 금릉역로 85 (금촌동 605-1) 소재.2. 승강장
[편집]
2.1.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금촌ㅣ43ㅣㅣ21ㅣ운정 ↓1 경의·중앙 완행선디지털미디어시티·홍대입구·용산·용문 방면2 경의 쾌속선통과열차…
신례원역
…서산 쪽으로 가는 사람들이 역 앞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버스로 갈아타는 경우가 많았기에 제법 흥했던 역이었다. 그러나 장항선의 굴곡 선형, 단선 운행, 그리고 여객 열차의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에는 입지가 좁아졌다.지금은 삼거리 앞 간이…
강매역
…따라 재개통하게 되었다. 처음 개역 당시에는 강매동에 자리하였으나, 역사 이전으로 행신동에 자리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역사는 강고산과 매화를 형상화한 설계로 자연의 흐름을 연계한 공간구성을 통해 자연 친화적인 역사로 구현되었다. 역간 거리…
삽교역
…개업일은 1922년 6월 1일[2] 구 삽교역 자리에는 삽다리공원, 삽교국민체육센터가 들어서면서 흔적이 모두 사라졌다.[3] 삽교(삽교역), 내포(충남도서관), 서산은 무료 운행이다.[4] 정확하게는 극중 대전역 승강장 플랫폼에서 KTX 101열차에 올라타는 장면의 촬영 장소.
평촌역
…의정활동성과보고서(제2대의회 : '95. 7. 10. ~ '96. 7. 10.), p.73[2] 다만 타는 사람도 상당히 많다. 언제까지나 내리는 사람이 조금 더 많다는 거지 열차가 한산해진다는 건 아니다.[3] 예전에는 과천선 또한 서울 지하철 4호선마냥 혼잡도가 160%를…
제물포역
…년경에 역명판 교체, 2021년 1월경에 LED 역명판으로 교체되었다.제물포역 개통 당시 인근에 있었던 학교들은 대부분 여전히 그 자리에 있다. 인천남중학교와 선인재단 내에 있던 선인중학교, 선인고등학교, 인화여자중학교, 인화여자고등학교,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구 항도실고…
오류동역
…현재의 역사가 세워지기 전에는 같은 자리에 선상역사(1973년 완공, 1986년 증축)가 있어서 이곳에서 여객을 취급했고, 그 전에는 3번 출입구로 나가면 보이는, 버려진 건물이 오류동역 역사였다.이 역은 한때 시종착 역할도 수행해서 서울시에서…
상계역
…어 4번 출구로 지정되었다. 2022년에 상계동과 중계동 쪽의 원활한 보행자 왕래를 위해 3번 출구로써 설치된 육교가 철거된 대신 같은 자리에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상계역 북쪽과 남쪽을 잇는 개방통로가 설치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벽산아파트 상가…
신대방역
…이나 주변 상권의 대다수는 관악구 쪽에 있다.역 주변은 거의 다 주택가이지만 1~2번 출구 쪽 신대방역사거리에서 난곡사거리까지 이어지는 난곡로 주변에 유흥가가 조성되어 있다. 그것을 제외하면 사실상 베드타운 한가운데에 조성된 평범한 지상전철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