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경부본선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경부선]][[분류:경부본선]] [include(틀:다른 뜻, other1=고속도로, rd1=경부고속도로, other2=고속선, rd2=경부고속선)] ||<-2><)><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2d2f34><tablewidth=360px><bgcolor=#0856a0>{{{#!wiki style="margin: 0px -5px"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남서울철도|{{{#ffffff 남서울철도}}}]]}}}|| ||<-2><)><bgcolor=#C9252B>{{{#!wiki style="margin: 0px -5px" [[쌍도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쌍도교통|{{{#ffffff 쌍도교통}}}]]}}}|| ||<-2><:>[[파일:NS-GB.png|width=35]][[파일:NS-GM.png|width=35]][[파일:NS-CC.png|width=35]][[파일:SD-GD.png|width=35]][[파일:SD-GB.png|width=35]]|| ||<-2> {{{#003DA5,#4B90FF '''{{{+2 경부본선}}}'''[br]京釜本線 | Gyeongbu Main Line}}} || ||<-2><bgcolor=#E61919> {{{#fff '''노선 정보'''}}} || ||<width=90px> '''분류''' ||간선 || || '''기점''' ||[[서울역]] || || '''회사경계''' ||[[대전역]] || || '''종점''' ||[[부산역]] || || '''역 수''' ||90 || || '''개업일''' ||1905년 1월 1일 || || '''소유자''' ||<|2>[[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남서울철도}}}[* 서울 - 대전 구간][br][[쌍도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width=180&theme=dark]][br]{{{#C9252B 쌍도교통}}}]][* 대전 - 부산 구간] || || '''운영자''' || ||<-2><bgcolor=#003DA5>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441.7km[* 본선 구간] || || '''궤간''' ||1,435mm || || '''선로구성'''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7|6]] ([[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5 (2복선+2단선)}}}[br][[3복선|6]]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br][[복복선|4]] ([[구로역|구로]] ~ [[두정역|두정]],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 ~ [[부산역|부산]])[br] 3 ([[동대구역|동대구]] ~ [[가천역|가천]]){{{-5 (1복선+1단선)}}}[br][[복선(철도)|2]] ([[두정역|두정]] ~ [[동대구역|동대구]], [[가천역|가천]] ~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 || || '''급전방식''' ||[[교류(전기)|단상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ATS-S1, ATS-P || || '''최고속도''' ||서울~용산: 90km/h[br]용산~구로(열차선)[* 경부제1본선]: 100km/h[br]용산~구로(전철)[* 경부제3본선]: 100km/h[br]구로~가산디지털단지(열차선)[* 경부제1본선]: 120km/h[br]구로~가산디지털단지(고가)[* 경부제3본선]: 90km/h[br]가산디지털단지~천안(전철)[* 경부제2본선]: 120km/h[br]가산디지털단지~수원: 135km/h[br]수원~천안: 150km/h{{{-5 (일반열차 140km/h)}}}[br]천안~신동: 135km/h[br] 신동~대구북연결선분기 90km/h[br] 대구북연결선분기~대구: 135km/h[br]대구~부산: 150km/h{{{-5 (일반열차 140km/h)}}}||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 >최남선의 [[경부철도가]][* 일본에서 유행하던 [[철도창가]]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中 [[서울역]]과 [[부산역]]을 잇는 총 연장 441.7㎞의 간선 [[철도]] 노선. [[대한민국]] 제1종관 철도이자 대한민국 철도의 대동맥으로,[* 대한민국의 1호 도로망을 [[경부고속도로]]가 맡은 것처럼, 1호 철도망을 경부선이 맡았다고 보면 된다. 물론 경부선 철도가 경부고속도로보다 먼저 지어졌다.] 경부선 본선뿐만 아니라 수많은 타 노선이 이 경부선에서 분기하여 여객, 화물 운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부선 계통의 모든 일반 여객, 화물열차는 이 경부본선을 경유하지만, 고속철도 등급인 [[KTX]]는 별개의 노선인 [[경부고속선]]([[경부고속철도]])을 이용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