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본선

최근 수정 시각: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파일:다른 뜻 아이콘_White.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속도로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도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고속선에 대한 내용은 경부고속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S-GB.png파일:NS-GM.png파일:NS-CC.png파일:SD-GD.png파일:SD-GB.png
경부본선
京釜本線 | Gyeongbu Main Line
노선 정보
분류
간선
기점
회사경계
종점
역 수
90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소유자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남서울철도[1]
파일:쌍도교통 로고.png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
쌍도교통[2]
운영자
노선 제원
노선연장
441.7km[3]
궤간
1,435mm
선로구성
6 (서울 ~ 용산)(2복선+2단선)
6 (용산 ~ 구로)
4 (구로 ~ 두정, 부산진 ~ 부산)
3 (동대구 ~ 가천)(1복선+1단선)
2 (두정 ~ 동대구, 가천 ~ 부산진)
급전방식
신호방식
ATS-S1, ATS-P
최고속도
서울~용산: 90km/h
용산~구로(열차선)[4]: 100km/h
용산~구로(전철)[5]: 10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열차선)[6]: 120km/h
구로~가산디지털단지(고가)[7]: 90km/h
가산디지털단지~천안(전철)[8]: 120km/h
가산디지털단지~수원: 135km/h
수원~천안: 150km/h(일반열차 140km/h)
천안~신동: 135km/h
신동~대구북연결선분기 90km/h
대구북연결선분기~대구: 135km/h
대구~부산: 150km/h(일반열차 140km/h)

1. 개요

1. 개요 [편집]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최남선의 경부철도가[9]
서울역부산역을 잇는 총 연장 441.7㎞의 간선 철도 노선.

대한민국 제1종관 철도이자 대한민국 철도의 대동맥으로,[10] 경부선 본선뿐만 아니라 수많은 타 노선이 이 경부선에서 분기하여 여객, 화물 운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부선 계통의 모든 일반 여객, 화물열차는 이 경부본선을 경유하지만, 고속철도 등급인 KTX는 별개의 노선인 경부고속선(경부고속철도)을 이용한다.
[1] 서울 - 대전 구간[2] 대전 - 부산 구간[3] 본선 구간[4] 경부제1본선[5] 경부제3본선[6] 경부제1본선[7] 경부제3본선[8] 경부제2본선[9] 일본에서 유행하던 철도창가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10] 대한민국의 1호 도로망을 경부고속도로가 맡은 것처럼, 1호 철도망을 경부선이 맡았다고 보면 된다. 물론 경부선 철도가 경부고속도로보다 먼저 지어졌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