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동대문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1 '''東大門驛'''[br]'''Dongdaemun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동대문역}}}}}}'''|| ||<width=120><:><-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동묘앞역|동묘앞]][br]← 0.6 ㎞||<|2><-2><:><width=120><bgcolor=#0052a4>[[파일:SM-1.svg|width=20]][br][[서울 지하철 1호선|{{{-2 {{{#fff 1호선[br]128}}}}}}]]||<-2><width=120><:>[[서울역|{{{-1 {{{#000,#fff 서울 방면}}}}}}]][br][[종로5가역|종로5가]][br]0.8 ㎞ →|| ||<bgcolor=#0052a4><-2><:> [[청량리역|{{{#ffffff {{{-3 ◀ 경원선 직통}}}}}}]] ||<bgcolor=#0052a4><-2><:> [[서울역|{{{#ffffff {{{-3 경인선 직통 ▶[br]경부선 직통 ▶}}}}}}]] || ||<width=120><:><-2>[[당고개역|{{{-1 {{{#000,#fff 당고개 방면}}}}}}]][br][[혜화역|혜 화]][br]← 1.5 ㎞ ||<|2><-2><width=120><bgcolor=#00A4E3><:>[[서울 지하철 4호선|[[파일:SM-4.svg|height=20]][br]{{{-1 {{{#fff 4호선[br]421}}}}}}]]||<-2><width=120><:>[[남태령역|{{{-1 {{{#000,#fff 남태령 방면}}}}}}]][br][[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br]역사문화공원]][br]0.7 ㎞ →|| ||<-2><bgcolor=#00A4E3> [[당고개역|{{{#ffffff {{{-3 ◀ 진접선 직통}}}}}}]] ||<-2><bgcolor=#00A4E3> [[남태령역|{{{#ffffff {{{-3 과천·안산선 직통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bgcolor=#0052a4>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 ||<-6>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302 (창신1동 552) || ||<-6><bgcolor=#00A4E3>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 ||<-6>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308 (종로6가 287-1)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52a4> [[서울 지하철 1호선|{{{#ffffff 1호선}}}]] ||<|2><-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2><bgcolor=#00A4E3>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52a4> [[서울 지하철 1호선|{{{#ffffff 1호선}}}]] ||<-4> 1974년 8월 15일 || ||<-2><bgcolor=#00A4E3>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4> 1985년 10월 1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 [[수도권 전철 1호선]] 128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302 (창신1동 552) 소재. * [[서울 지하철 4호선]] 421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308 (종로6가 287-1) 소재. == 역 정보 == 조선시대 4대문 중 하나인 흥인지문이 이 역 위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호선 역은 사대문안 바깥에 있고, 4호선 역은 사대문 안쪽에 있다. 즉, 조선 시대 한양도성 내외에 걸쳐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패션으로 대표되는 상권이 인접하면서도 낙후된 주택가 및 상가, 오래된 재래시장이 동시에 밀집한 특징이 있다. 2005년에 칙칙해 보이는 4호선 동대문역 역사를 새하얗게 리모델링했다. 대한민국 [[지하철|도시철도]] 역 중 최초로 역사(驛舍) 리모델링을 한 사례이다. 승강장 벽면까지 리모델링했다. 이로써 용암으로 녹아버린 듯한 윗부분을 표현한 과거의 동대문역은 추억으로 남았다. 2013년 12월 31일부로 1호선 승강장의 역명판 및 표지판이 서울남산체를 이용한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 양식으로 교체되었다. 202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는 1호선 승강장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다. 인근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은 원래는 동대문역으로 통합 이후 1호선 및 4호선과 환승될 계획이었는데, 그러면 [[막장환승]]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6호선 개통시 동대문역에서 1, 4호선과 6호선의 편리한 환승을 위해 1998년에는 무빙워크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지만[*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062500209113009|「서울 2기지하철 환승거리 짧아진다」]], 동아일보, 1998-06-25] 결국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 10월에 6호선 동묘앞역이 1호선(4호선) 동대문역과 별개의 역으로 확정되면서 동대문역의 6호선 환승통로 건설 이 취소되었으며, 이미 무산되어 1-4-6호선 상호 환승이 불가능해진 반면 1호선에서 6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신설역을 기존 지하통로 상에 시공하는 방안으로 최종 확정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0100663161|「1호선 동묘앞역 환승역 만든다 .. 2호선엔 동마장사거리역」]], 한국경제, 2000-10-07] 그리하여 6호선 동대문역은 2000년 말 정식 개통 직전에 동묘앞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1호선 [[동묘앞역]]이 개통되기 전까지 [[신설동역]] 입체교차를 통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차량들은 이 역에서 종착역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다가 [[신설동역]] 방향으로 입체교차선로가 나오기 직전에 [[동묘앞역]]이 생성됨으로써 동대문역 종착 기능은 사라졌다. 이미 1970년대 후반에도 [[1기 지하철 계획]] 수립부터 4호선과의 환승역으로 기획됐다. 계획되었던 4호선 선형과 역사 위치도 지금의 4호선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막장환승 역으로, 1↔4호선 환승역 중 [[서울역]]의 지상 1호선 급행↔4호선 환승과 더불어 둘뿐인 막장환승이다. 1호선 승강장에서 계단을 타고 긴 통로를 걸어간 뒤에 계단 및 에스컬레이터를 2번 건너가야 4호선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혼잡도로는 2호선 못지 않은 종로선과 4호선 강북구간이 도심 한복판에서 만나므로 환승통로가 막장환승급이어도 환승객이 많다. 양 노선 간 환승거리가 길어지게 된 이유는 보물 1호인 흥인지문 보호차원에서이다. 흥인지문과 근접하게 역을 지으면 전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영향을 줄 수 있어서 1호선 역이 원래 예정된 곳보다 동쪽으로 20m 이전해서, 즉 사거리에서 벗어난 곳에 지어졌다. 반면 4호선은 율곡로 하단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1호선과 거리가 멀어져서 환승통로가 좁고 긴 모양이 되었다. 흥인지문의 옹벽이 부풀고 주저앉는 등의 일이 일어나 보수공사를 10년 넘게 진행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는 흥인지문과 매우 가깝게 지어진 4호선 쪽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4호선 공사 중에도 문화재청에서 이의제기를 했고, 이에 방진 공법 등을 이용해 시공하여 최대한 흥인지문에 진동이 가지 않도록 조치한 바 있다. 다음 지도나 네이버 지도에 환승통로 거리가 88~90m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4호선 승강장 중간에서 나와서 1호선 승강장 중간으로 들어가는 수직거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150m는 충분히 나온다. 상술했듯이 유동 인구가 많다. 인근 동대문시장으로 오기 위해 내리는 승객이 많은 데다가 관광이나 근로 목적으로 역을 찾은 외국인들도 손에 무언가를 싸들고 오가기 때문이다. 1호선과 4호선을 갈아탈 일이 있으면 [[서울역]]에서, 특히 [[경원선]] [[도봉산역|도봉산]], [[의정부역|의정부]], [[소요산역|소요산]] 방면은 [[창동역]]에서, 경부선 [[의왕역|의왕]], [[수원역|수원]], [[천안역|천안]] 방면과 [[과천안산선]] [[산본역|산본]], [[오이도역|오이도]] 방면은 [[개념환승]]인 [[금정역]]에서 갈아타는 방법이 용이하다. 하지만 서울역도 기대 그 이상의 막장환승이고, 서울역, 금정역, 창동역도 환승 인파로 포화되어 나가기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1호선 서울역은 매우 미어터지므로 차라리 서울역보다 동대문역에서 갈아타는 게 나을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 1호선은 서울역 이북의 [[시청역(서울)|시청역]], [[종각역]], [[종로3가역]]에서 내리는 승객이 많으므로 이 부분만 넘어가면 다소 여유가 생긴다. 1-4호선 환승통로에 수직형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되었다. 다만 리프트를 이용하려면 역무원을 호출해야 하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이 리프트와 리프트 앞에 있던 상가를 철거했다.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1호선]] === ||<-4> ↑ [[동묘앞역|동묘앞]] || ||<width=10px><bgcolor=#0052a4> {{{#fff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52a4> {{{#ffffff 2}}} || ||<-4> [[종로5가역|종로5가]] ↓ || ||<width=10px><bgcolor=#0052a4> {{{#ffffff 1}}} ||<|2> [[파일:SM-1.svg|width=20]]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광운대]]·[[의정부역|의정부]]·[[동두천역|동두천]] 방면|| ||<width=10px><bgcolor=#0052a4> {{{#ffffff 2}}} ||[[시청역(서울)|시청]]·[[서울역]]·[[인천역|인천]]·[[천안역|천안]] 방면|| 이 역은 종로5가 방면으로 2퍼밀 하구배가 있다. 이 역은 동묘앞역 개통 전까지 군자기지 입출고 차량 한정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이후 서울메트로) 전동차의 시종착역 역할을 했다. 왜냐하면 신설동역 방면으로 중간에 [[군자차량사업소]]로 연결되는 선로가 부설되어 있기 때문이다. 1호선 열차 동대문역 TTS 안내방송 영어 발음이 변경됐다. 202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승강장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었고, 위의 사진처럼 역사 보존 공간에서 옛날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옛날의 역명판과 지하철체를 상징하는 원형 역명판이 과거 55번의 빨간색이 아닌 128의 군청색으로 남아 있다. 이 역과 [[동묘앞역]] 사이의 거리는 불과 0.6km로 1호선 구간 중에서 가장 짧은 구간이다. 1호선에서 막차가 가장 늦은 시각에 운행이 종료되는 역이다. 경우에 따라 새벽 1시가 넘어서 종운한다. === [[서울 지하철 4호선]] === ||<-4> [[혜화역|혜화]] ↑ ||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2}}}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1}}} ||<width=10px> ㅣ || ||<-4>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1}}} ||<|2> [[파일:SM-4.svg|width=20]] [[서울 지하철 4호선]] ||[[혜화역|혜화]]·[[미아역|미아]]·[[창동역|창동]]·[[노원역|노원]]·[[진접역|진접]] 방면||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2}}}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명동역|명동]]·[[이촌역|이촌]]·[[금정역|금정]]·[[오이도역|오이도]] 방면|| 2006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됐다. [[과천안산선]] 포함 4호선 전구간 중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됐다. 리모델링 전 1호선 승강장과 다르게 스크린도어 설치와 동시에 리모델링을 해서 승강장이 깔끔하다. 리모델링 전에는 2호선 / 3호선 섬식 승강장과 비슷한 모습이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방면으로 2퍼밀 내리막이 있다. 이 역부터 [[미아사거리역]]까지 왼쪽 문과 오른쪽 문이 번갈아가며 열린다. 초창기에는 지하 역인데도 승강장 내 선로가 자갈 도상이었는데, 2000년도에 콘크리트 슬라브 도상으로 리모델링을 하였다. 양 방향에 언덕진 율곡로와 청계천이 있어서 NATM 단선 터널 구간이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1.svg|width=20]] [[서울 지하철 1호선]] || ||<-2><width=34%> [[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동묘앞역|동묘앞]][br]← 0.6 ㎞ ||<-2><width=32%><bgcolor=#01B3E6><color=#fff> {{{-1 쾌속[br]快速}}} ||<-2><width=34%> [[천안역|{{{-2 {{{#000,#fff 천안 방면}}}}}}]][br][[종로5가역|종로5가]][br]0.8 ㎞ → || ||<-2> [[동두천역|{{{-2 {{{#000,#fff 동두천 방면}}}}}}]][br][[동묘앞역|동묘앞]][br]← 0.6 ㎞ ||<-2><width=32%><bgcolor=#0052a4><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2> {{{-2 {{{#000,#fff [[인천역|{{{#000,#fff 인천}}}]]·[[동탄역|{{{#000,#fff 동탄}}}]]·[[천안역|{{{#000,#fff 천안}}}]] 방면}}}}}}[br][[종로5가역|종로5가]][br]0.8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동대문역, version=709)]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