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경의고속선차량관리단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강원철도/차량소]] {{{+1 '''開城車輛센터[br]Gaeseong Depot'''}}}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개성차량소}}}}}}'''||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경기도]] [[개성시]] 역전동 || ||<-6><bgcolor=#c0c0c0,#383b40> '''시설 관리''' || ||<-6>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br]{{{-2 (경의고속선 총괄본부)}}}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6> 2003년 11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개성종합차량소는 [[고속철도]] 차량을 관리하는 [[강원철도]]의 부속기관이다. 개성종합차량소에 소재한 "경의고속선차량관리단"은 강원철도 경의고속선 총괄본부 하위 조직으로, 정비단장으로는 주로 기술1급 간부가 배치된다. 조직 전체나 직제를 표현할 때는 주로 '''수도단'''을, 이 곳의 정비시설만을 부르거나 주소로 쓸 경우 '''(수도단)본단, 본동''' 또는 '''고양기지''' 등의 약칭을 사용한다. 즉 '고양기지'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의 약칭 중 하나일 뿐이며,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산하에 고양차량사업소라는 조직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경의고속선차량관리단 본단은 [[경기도]] [[개성시]][* [[개성역]] 인근]에 위치한 [[KTX]] 전용 [[차량기지/대한민국|차량사업소]]로, [[KTX(차량)|KTX]], [[KTX-산천]], [[KTX-이음]], [[KTX-청룡]] 고속열차들의 경·중정비 업무[* 100000호대 (KTX): 중정비 및 경정비[br]110000호대 (KTX-산천): 중정비 및 경정비[br]140000호대 (KTX-산천): 일상정비(전담 차량기지: [[호남철도차량정비단|호남철도차량정비단(하남기지)]])[br]160000호대 (KTX-청룡): 중정비 및 경정비]를 수행 중이다. == 배속 차량 == * 배속 & 중정비 * 160계: 46개 편성 (H1~H46편성)[* 구형 KTX 열차는 전부 [[쌍도교통]] 소속으로 강원철도에서는 좌석 배치등을 이유로 일찍이 퇴출시켰다.] * 주박 & 중정비 * 150계: 19개 편성 (501~519호기)[* 1C6001~1C6019편성] * 입환용 기관차 * [[EMD GT18B-M|{{{#005bac '''DF44계'''}}}]]: 1량[* 주기적으로 [[수색차량소|수색기지]]를 통해 교체된다.] 강원철도 150계의 의 경우, 주박과 정비에 한해서 수도단에서 담당하고 있다. [[이문차량사업소|이문]], [[강릉차량사업소|강릉]], [[부발차량사업소]]에 각각 배속되어 있다. [[동해선]] [[부전역(동해선)|부전]]~[[태화강역|태화강]] 구간 복선전철 개통 이후에는 [[울산차량사업소]][* 경전선 및 동해선 KTX 개통 대비]에서 추가적으로 KTX-이음의 중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조직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경영인사처 * 기술계획처: 설비부 * 품질안전처: 신뢰성관리부 * 고속차량운영처: 경정비기계부, 경정비전기부 * 고속차량중정비처 * 전동차량중정비처: 중정비기술부, 이문차량소(중정비)[* 본래 시흥이었으나 강원철도와 남서울철도로 수도단이 분리되면서 이문이 되었다.] == 역사 == === 연혁 === * 2003년 11월: 동국철도 서울고속철도차량정비창(고양차량소) 발족 * 2004년 1월: 동국철도 고양고속철도차량관리창으로 개칭 * 2004년 4월: 동국철도 고양고속철도차량관리단(고양기지) * 2006년 7월: 동국철도 고양고속철도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개칭 * 2011년 12월: 일반열차 정비기능은 수색으로 통합, 본단은 현위치(고양)로 이전 * 2017년 2월: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 * 2018년 3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환원 * 2020년 9월: 조직개편 * 지역본부 차량처 폐지 및 산하 15개 차량사업소 관리업무 이관 * 2023년 12월: 조직개편 * 일반차량운영처 및 광역차량운영처 폐지, 지역본부 차량처로 업무 이관 * 2024년 12월: 동국철도 해산으로 [[강원철도]] 산하 조직으로 전환 및 '경의고속선차량관리단'으로 개칭. === 현재의 정비단 === [[경부고속선]], [[경의고속선]] 사업에 따라 고속철도 차량을 유지보수할 시설이 필요했고, 그 대상지로 고양시 [[행신동]] 일대가 선정되었다. 그러자 당시 [[고양시]]에서 [[일산신도시]]와 행신지구, 화정지구 등을 짓고 있었기 때문에 집값 등의 이유로 심한 반대에 부딪혔다. [[고양시]]장, 시의원, 지역구 [[경기도의회]]의원,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과 심지어 화정, 행신지구 입주 예정 주민들까지 반대했다. 고속철도건설공단 공채 1~6기([[1991년]]~[[1996년]] 입사) 입사 직원들은 다른 일들을 다 제껴두고 행신동의 차량기지 부지를 매입하는 방법만 골몰했다고 한다. 다른 일은 다 직원 선에서 지자체 협상으로 해결할 수 있었지만 행신동의 차량기지 만큼은 고양시가 절대로 안 된다고 버티는 통에 도저히 해결이 불가능했다고. 원래 [[고양시]]와 [[한국토지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사업부)에서는 행신지구를 개발할 때 행신4지구로 현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부지를 예정해두고 있었는데, [[대한민국의 고속철도|고속철도]] 차량기지를 놓는다고 하니까 고양시와 한국토지공사에서 '''결사 반대'''를 외쳐서 엄청나게 난관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일산신도시]] 입주 초기 일산 주민들까지 나서서 차량기지 부지 매입을 위한 현장설명회 때 [[각목]]이나 [[식칼]], [[전기톱]]을 가져 와서 고속철도건설공단 직원들에게 살해 협박을 하는 등 각종 무력시위를 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때 고속철도건설공단은 현 [[디지털미디어시티]] 부지인 [[난지도]]에 차량기지를 만드는 안을 당시 건설부(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건설부는 [[2002년]] [[2002 한일 월드컵|월드컵]] 때문에 [[서울월드컵경기장]] 부지로 [[난지도]]를 결정했고, 고속철도건설공단은 고양시를 어떻게든 설득해서 행신역 차량기지 원안을 밀고 가라는 명령만 받았다고 한다. 언제든지 고속철도 관련 차량기지 부지를 확보할 수 있게 부지를 매수하려 했는데 이게 또 한국토지공사(현 LH)와 마찰을 빚었고 [[김포국제공항]] 항로와 겹치네 마네 하면서(당시는 [[인천국제공항]] 개항 전이었다) [[한국공항공사]] 및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와 마찰을 빚었다는 각종 [[전설]]들을 들을 수 있다. 결국 이 문제는 2004년 개통 때에 일부 KTX를 행신역에 정차시키면서 해결되었다. [[고양기지선]]을 통해 [[한국항공대역]]과 연결되어 있고, 본단 구내에는 [[KTX]] [[행신역]]이 있다. KTX 행신역은 고양시와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고속철도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상 차원의 혜택을 준 것이다. 차량기지 구내에 승강장을 마련하고 그곳에 일부 KTX가 정차하게 되었다. 이 안은 건설부에서 고양시를 회유하기 위해 내놓은 조건 중 하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강원철도에서 경의고속선과 [[운정동탄라인]]을 위한 통합 차량기지를 짓는다면서 [[개성역]] 인근으로 차량기지를 이전하였다. 현재 수도단 부지는 세계 고속철도 차량기지 중 [[중국]]을 빼면 가장 크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행신역, version=1012, uuid=7317740d-f4f8-4a5e-9efc-7650ba0152f3, paragraph=2.1.1)] == 기타 == * [[2016년]] [[8월 28일]] [[KBS 2TV]]의 [[다큐멘터리 3일]]에서 이 곳을 다루었다. * 2019년 4월 15일 오전 2시경 KTX 탈선사고가 발생하였다. 영업운행 중 발생한 사고가 아니라 큰 여파는 없었다.[[https://www.ytn.co.kr/_ln/0103_201904151851519843|관련 기사]] * 2020년 9월 조직개편(차량 정비조직 개편)으로 서울본부, 수도권서부본부, 수도권동부본부, 강원본부의 차량처가 폐지되고 기존 차량처 소속의 15개 차량사업소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이관되었다. * [[백패커 2]] 12화의 의뢰 장소로 등장했다.[* 공교롭게도 본방송 당일날 [[경부고속선 동대구역~경주역 KTX 탈선사고]]가 발생했다.] * 서해선은 차량정비단 부지 일부를 지하로 통과한다. [[행신역]]과도 비교적 가깝게 붙지만 선형 문제 때문인지 행신역까지 환승은 되지 않는다. 이 부지와 인근에 있는 각종 선로들만 통과하면 곧바로 지상으로 나온다. == 관련 문서 == * [[쌍도교통]]의 고속철도 차량정비단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호남철도차량정비단]] * [[차량기지/대한민국|차량기지]]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