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벽제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경기도의 철도역]][[분류:교외선]] {{{+1 '''碧蹄驛'''[br]'''Byeokje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벽제역}}}}}}'''|| ||<width=120px><-2><:>[[고양역|{{{-2 {{{#000000,#fff 고양 방면}}}}}}]][br][[삼릉역|삼 릉]][br]← 4.2 km||<|2><-2><width=120px><:><bgcolor=#8FC31F>[[교외선|[[파일:DH-KE.png|height=20]][br]{{{#fff {{{-2 교외선}}}}}}]][br]{{{-2 {{{#fff KE07}}}}}}||<|2><width=120px><-2><:>[[의정부역|{{{-2 {{{#000000,#fff 의정부 방면}}}}}}]][br][[일영역|일 영]][br]4.7 ㎞ →|| ||<-2><bgcolor=#8FC31F> [[고양역|{{{#ffffff {{{-3 ◀ 서해선 직통}}}}}}]]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430번길 8-15[br]([[대자동]] 산139-4)||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8FC31F> [[교외선|{{{#fff 교외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8FC31F> [[교외선|{{{#fff 교외선}}}]] ||<-4> 1961년 7월 10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능곡역|{{{-2 {{{#000,#fff 능곡 방면}}}}}}]][br][[삼릉역|삼 릉]][br]← 4.2 km||<bgcolor=#f5f5f5,#373a3c><-2><:>'''[[교외선]]'''[br]벽 제||<-2><:>[[의정부역|{{{-2 {{{#000,#fff 의정부 방면}}}}}}]][br][[일영역|일 영]][br]4.7 ㎞ →|| [목차] [clearfix] == 개요 ==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1430번길 8-15([[대자동]] 산139-4) 소재. == 역 정보 == 역명은 벽제읍에서 유래되었으며,[* '벽제'는 [[조선]]시대 [[명나라]] 사신이 머물며 휴식을 취했던 벽제관(碧蹄館. 현재는 터만 남음)이라는 곳의 이름을 딴 것. [[임진왜란]] 당시에는 [[벽제관 전투]]가 일어난 격전지이기도 했다. 벽제관에서는 제일 가까운 역이지만 이름이 같은 벽제동과는 거리가 2㎞정도 있다.] 1961년 5월 30일에 역사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7월 10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9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 [[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생태보호 차원의 확장공사와 도로확장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자 철교를 철거하면서 벽제-[[삼릉역]] 사이의 선로가 일시 단절된 적이 있었다. 2015년 5월 29일부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에 의해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일부 군용화물만 간간히 들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교외선의 모든 역들 중 노선 동결에서 살아남은 부류에 속한다. 2020년 발표된 교외선 [[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375788|재개통안]]의 정차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여객 열차의 무정차 통과가 예정되어 있다, 물론 여객열차 운행중단 뒤에도 화물 수요가 남아있어서 없어지지는 않는다. 교외선이 교통이 불편한 벽제([[관산동]], [[고양동]])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지만 해당 구간에 정차역은 없고 역간 거리도 길어, 개통 이후 [[삼릉역]]을 [[관산동]]쪽으로 이전하여 관산역을 신설하거나 벽제역 인근에 여객열차를 정차시켜 달라는 요구가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 [[http://www.gyinews.co.kr/front/news/view.do?articleId=ARTICLE_00020330|#]] [[http://www.gyinews.co.kr/front/news/view.do?articleId=ARTICLE_00021474|#]]] 일영 지역보다 벽제 지역이 인구가 더 많아 일영역을 고양동 쪽으로 옮기려고 했었고, 고양동 중심지에서 [[장흥역(교외선)|장흥역]]과 소요시간은 비슷하지만 이쪽으로 오는 버스가 더 많이 다니며 [[관산동]]쪽과도 연결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벽제역 활용 방안 관련 건의 답변에 의하면 아직 정차역이 확정된 게 아니라 활용 방안을 구상하기 어렵다고 한다.] 역사는 물류업체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다가 2024년 교외선 재개통 공사 현장사무소가 입주했으나 같은 해 11월 노후화 문제 때문인지 화장실 건물과 승강장[* 연석 등은 보존되어 있으나 안내판이 달려있던 기둥은 철거됐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519895&search_pos=-519495&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B2%BD%EC%A0%9C%EC%97%AD&page=1|철거 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532083&search_pos=-529495&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B2%BD%EC%A0%9C%EC%97%AD&page=1|철거 후]]]을 제외한 모든 시설물이 전부 철거, 역 부지에는 공사 사무실이 들어섰다. === 연장 계획 === ==== 초기 3호선 계획과 벽제역 ==== [*문래(현재 신도림)에서 김포공항까지 연결하는 노선은 초기 5호선이고 1992년에 일부 구간은 신정지선으로 대체되었다. 망우역에서 화곡동을 잇는 노선은 구 8호선이며 강북과 [[1980년대]] [[서울 지하철 3호선]] 초기 노선안에서 기점으로 선정되었다가 수익성 문제로 [[구파발역]]으로 단축되었다. 이후로도 벽제역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1990년대에 [[일산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일산선]]을 건설하여 연계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 원래 3호선은 벽제역에서 [[수서역]]을 지나 [[분당신도시]]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분당 구간은 3호선이 아니라 [[분당선]]이라는 별도의 노선을 만들어서 [[오금역]]이 종점이 되었다. ==== 조리금촌선 ==== 파주시에서는 3호선의 지선 형태로 벽제를 지나가는 [[조리금촌선]]을 추진하고 있는데, [[통일로]]를 따라 건설될 예정이라 지금의 벽제역하고는 떨어져 있다. [[송도역]]처럼 전철화와 노선 개량으로 역이 이설한 예도 있고, [[강매역]]처럼 폐역 후 다시 역이 부활하면서 위치가 바뀐 경우도 있기에 만약 [[조리금촌선]]이 현실화된다면 통일로 인근으로 이설되어 부활할 수도 있었지만 조리금촌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만 반영돼 가능성이 매우 낮아졌다. ==== 6호선 연장 ==== [[응암순환선]]을 개량하여 기자촌, [[은평뉴타운]]을 지나 [[삼송지구]]를 거쳐 벽제역에서 끝나는 노선이다. 그러나 애초에 [[교외선]] 연계를 노리고 있고, 응암순환선 일부 구간을 폐쇄하지 않는 이상 실현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 승강장 === ||<-6> ↑ [[일영역|일영]] || ||<-2><height=200%><bgcolor=#8FC31F> {{{#ffffff 1}}} ||<-2> ㅣ ||<-2><height=200%> ↖ || ||<-2> ㅣ ||<-2> ㅣ ||<-2> ㅣ || ||<-2><height=200%> ↘ ||<-2> ㅣ ||<height=200%><bgcolor=#8FC31F> {{{#ffffff 2}}} || ||<-6> [[삼릉역|삼릉]] ↓ || ||<bgcolor=#8FC31F> {{{#ffffff 1}}} ||<|2>[[파일:DH-KE.png|width=17]] [[교외선]] || 하행 ||[[일영역|일영]]·[[송추역|송추]]·[[의정부역|의정부]] 방면 || ||<bgcolor=#8FC31F> {{{#ffffff 2}}} || 상행 ||[[원릉역|원릉]]·[[대정역|대정]]·[[고양역|고양]] 방면[br]{{{-2 (직통 [[김포공항역|김포공항]]·[[소사역|소사]]·[[초지역|초지]]·[[향남역|향남]] 방면)}}} || ||<height=200%> ↖ ||하행(의정부방면) 선로 본선 합류 || ||<height=200%> ↘ ||상행(대곡, 능곡방면) 선로 본선 합류 || 승강장은 1면 1선이나 삼릉 방면 구내에 대피선 2개가 있어 열차의 교행이 가능하다. 또 삼릉 방향 남쪽 수풀 속에 길쭉한 승강장이 하나 더 있다. 2024년 10월 1일부터 교외선 운행 재개를 위한 시운전으로 모터카나 공사 열차를 비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다. 2024년 11월 역사가 철거된 이후 승강장에 펜스를 설치하여 접근을 차단하였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파일:DH-KE.png|width=20]] [[교외선]]|| ||<width=34%><-2><:>[[향남역|{{{-2 {{{#000000,#fff 향남 방면}}}}}}]][br][[삼릉역|삼 릉]][br]← 4.2 km||<width=32%><-2><bgcolor=#808080><color=#fff><:>{{{-1 보통[br]普通}}}||<width=34%><-2><:>[[의정부역|{{{-2 {{{#000,#fff 의정부 방면}}}}}}]][br][[일영역|일 영]][br]4.7 ㎞ →|| == 역 주변 정보 == 벽제화장터로 알려진 [[서울시립승화원]]이 직선거리로 300m, 보행자통로로 돌아가도 650m 정도 떨어져 있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가 벽제역 남쪽으로 달라붙어 있다. 통일로IC로 진출한 후 대자로로 바로 우회전하면 벽제역이다. [[국군고양병원]], [[제1군단]] 사령부가 벽제역 남북으로 둘러싸고 있다. 인근에 벽제유원지가 있었기 때문에 여객열차 운행 시절에는 행락객들이 많이 이용했다. 역에서 의정부 방면으로 약 330미터 떨어진 곳에 [[방객현터널]]이 있다. == 연계 교통 ==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24c><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0524c> {{{#ffffff '''벽제역 연계 버스 정보'''}}} || ||<width=20%> '''정류소''' ||<width=10%> '''구분''' ||<width=70%> '''노선''' || ||<|4> '''벽제역'''[br](19259)[br]역 앞 정류소 ||<colcolor=#ffffff><bgcolor=#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3|{{{#fff 033(중부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3|{{{#fff 053(고양동)}}}]]}}} || ||<bgcolor=#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광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90|{{{#fff 790(고양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고양동)}}}]]}}} || ||<bgcolor=#b62367> 맞춤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1(광탄)}}}]]}}} || ||<bgcolor=#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4|{{{#fff 774(파주읍)}}}]]}}} || ||<|4> '''벽제역'''[br](19258)[br]역 건너편 정류소 ||<bgcolor=#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33|{{{#fff 033(원신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3|{{{#fff 053(삼송역)}}}]]}}} || ||<bgcolor=#33cc99> 시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원흥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790|{{{#fff 790(숭례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고양 버스 850|{{{#fff 850(행신역)}}}]]}}} || ||<bgcolor=#b62367> 맞춤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95em" [[파주 버스 313|{{{#fff 313-1(원흥역)}}}]]}}} || ||<bgcolor=#3d5bab> 간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4|{{{#fff 774(불광역)}}}]]}}} || || '''벽제역'''[br](57320)[br]부대앞 방면 정류소 ||<bgcolor=#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2|{{{#fff 052(지축동)}}}]]}}} || || '''벽제역'''[br](57477)[br]선유동 방면 정류소 ||<bgcolor=#f99d1c>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고양 버스 052|{{{#fff 052(선유동)}}}]]}}}[* 벽제역에서 양주시 장흥면 방향으로 가려면 반드시 이 버스를 타고 비석거리에서 환승해야 한다.] || == 사건 사고 == [youtube(sUOgpRD0mEg)] [[2016년]] [[6월 9일]] 인근 건널목에 군용차량과 화물열차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