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방협역

최근 수정 시각: ()
三防峽驛
Sambanghyeop Station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삼방협역
주소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협리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개업일
1914년 8월 16일
철도거리표
경원본선
삼방협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5. 여담

1. 개요 [편집]

경원본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협리 소재.

2. 역 정보 [편집]

삼방협리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협곡으로 되어 있다. 안변남대천이 기어이 추가령산맥을 뚫어낼 때 이 지역이 용암대지였기 때문에 협곡이 될 수밖에 없었다.

삼방이라는 지명은 고려시대에도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가다가 나오는 중요한 교통의 요지인 이곳에 삼방관이라는 3개의 관문을 설치한 데서 유래한다.

이 역 부근에 유명한 것은 협곡과 약수인데 삼방협곡은 천연기념물 1236호이다. 그리고 삼방역 북서쪽의 삼방약수는 1238호이다.

삼방협은 일제 강점기에 수도권에서 기차로 바로 통하는 피서지로 유명했고 또 북쪽 사면에는 1929년 스키장이 생겼고, 현재도 영업 중에 있다.

궁예의 능으로 추정되는 무덤과 사당이 역 근처 삼방협 일대에 있다고 전해진다.[1]

3. 승강장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승강장이 하천 위에 설치되어 있다.

3.1. 경원본선 [편집]

세포
2
1
삼방

4. 인접 정차역 [편집]

5. 여담 [편집]

경원선 함경남도 구간의 첫 역이다. 안변군부터는 함경남도 소속이기 때문.
[1] 무덤은 6.25 전쟁이래로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