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

최근 수정 시각: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파일:다른 뜻 아이콘_White.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용산역에 대한 내용은 용산역(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龍山驛
Yongsan Station
파일:SR_Wlogo.png서해철도
용산역
파일:NS-GM.png
경부본선
(청량리서울라인)
GM11
파일:NS-GB.png
경부선
GB35
천안·동탄 방면
노량진
2.6 km →
파일:NS-GI.png
경인선
GI35
파일:NS-PJ.png
제2경인선
PJ10
파일:DH-KG.png
경춘 쾌속선
KG01
파일:DH-KC.png
중앙 쾌속선
KC02
파일:DH-KJ.png
경의·중앙 완행선
KJ39
시종착
향남·반월 방면
국립박물관
1.3 ㎞ →
파일:SeoulMetro_Wlogo.svg서울교통공사
용산역
(아모레퍼시픽)
파일:SM-4.svg
4호선
429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한강로3가 40-999)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12 (한강로2가 181)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219 (한강로3가 311)
역 운영기관
파일:SR_logo.png파일:SR_logo_black.png
신분당선
파일:DXLine_logo.svg파일:DXLine_logo_black.svg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
개업일
1900년 7월 8일
1905년 1월 1일[1]
1905년 11월 5일
1911년 10월 15일[2]
1974년 8월 15일
1985년 10월 18일
2014년 12월 27일[3]
2022년 5월 28일
2024년 8월 4일
철도거리표
경부본선
용 산
시종착
경원본선
용 산
용산선
용 산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2.2. 신분당선2.3. 제2경인선·경춘 쾌속선
3.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철도역. 경부선의 철도역이자 경원선용산선의 기점이다.

경부선, 1호선, 경의·중앙선 등 많은 열차가 정차하는 역.

서해철도서울 터미널 역이었으나, 동국철도 해산 이후로 서울역의 운영권을 남서울이 가져오며 터미널 역이 서울역으로 옮겨갔다.

2024년 5월 30일 기존 민자역사였던 용산 아이파크몰을 인수하고 타임빌라스 용산점으로 새단장하였다.

4호선은 신용산역이라는 별개의 역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신분당선 개업 후 나흘 뒤인 2022년 6월 1일 용산역-신용산역간 환승통로가 설치되면서 통합되었다. 다만 환승 거리가 긴 편이니 중앙선의 경우 이촌역, 경부선의 경우 서울역을 대신 이용하는 것도 고민해볼 수 있다.

2. 역 정보 [편집]

2.1. 승강장 [편집]

서울
남영
종착역
13
12
10
9
8
7
6
5
4
3
2
1
이촌


이 역을 통과하는 경부본선 열차의 경우에는 상행은 10번 승강장과 12번 승강장 사이에 있는 선로로, 하행은 6번 승강장 좌측에 위치한 선로로 통과한다.

경인선·경부선 승강장 중 3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은 경인선 쾌속열차가 사용한다. 경부선·경원선 쾌속열차는 5번 승강장과 6번 승강장에서 승하차한다.

2.2. 신분당선 [편집]

향남반월 방면으로 국립박물관역이 있다.

2.3. 제2경인선·경춘 쾌속선 [편집]

인천대입구 방면으로 여의도역이, 춘천 방면으로 서울역이 있다.

3. 인접 정차역 [편집]

특별쾌속
特別快速
쾌속
快速
보통
普通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B.png 경부선
쾌속
快速
각역정차
各驛停車
동탄·천안 방면
노량진
2.6 ㎞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I.png 경인선
<:>급행
急行
<:>쾌속
快速
<:>각역정차
各驛停車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4.svg 서울 지하철 4호선
각역정차
各驛停車
특별쾌속
特別快速
쾌속
快速
각역정차
各驛停車
시종착
쾌속
快速
[1] 개통과 동시에 경부선으로 편입.[2] 전차선 개업일은 1978년 12월 9일.[3] 중앙선 전차선 단독 개업일은 2005년 12월 16일.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