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해변역

최근 수정 시각: ()
三陟海邊驛
Samcheok beach Station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삼척해변역
주소
강원도 삼척시 수로부인길 542 (갈천동 산3-16)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개업일
1944년 2월 11일
철도거리표
동해본선
삼척해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역 및 승강장5. 인접 정차역6. 연계 버스

1. 개요 [편집]

후진역이란 이름의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삼척해변역은 1944년 2월 11일 동해-삼척 간 연장개통으로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삼척, 동해, 강릉 간 버스가 정기 운행되면서 열차여객이 감소하자 1991년 여객수송을 중단, 화물운송에 집중하게 된다. 삼척해변역의 역사도 이와 비슷하다. 삼척해변역은 삼척역과 함께 1944년 2월 11일 후진역이란 이름의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후진역은 출퇴근하는 직장인들과 학생들을 실어 나르는 완행열차가 오가던 작은 간이역으로 삼척역의 여객중지에 이어 1992년에 문을 닫고 말았다. 그러나 여름마다 후진해수욕장(현 삼척해수욕장)을 찾는 피서객들이 늘어나면서 2001년 7월 1일 부활, 후진이라는 이름이 관광명소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2003년 삼척해변역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삼척시 수로부인길[1] 542 (갈천동 산3-16) 소재.

2. 역 정보 [편집]

1944년 2월 11일 무배치간이역 등급의 후진역으로 개업, 1967년 9월 1일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되었다.

1992년 6월 22일 한 차례 폐지되었고[2] 2001년 7월 1일 무인역으로 영업을 재개하였다.[3]

2003년 1월 1일부로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고,[4] 산장 형태의 역사도 생겼다.[5]

2024년 강원철도의 운영비 절감 정책으로 역사가 철거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세권주변에 삼척해수욕장이 있고 도보 5분거리에 쏠비치 삼척 리조트가 있다. 해수욕장 내 상가에 카페,식당이 몰려있다. 새천년 해안도로를 따라 자동차로 5분거리에 정라항이 있다.

4. 역 및 승강장 [편집]

삼척
2
1
추암
1
상행
삼척·울진 방면
2
하행

5.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동해선
보통
普通

6. 연계 버스 [편집]

삼척해변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노선
갈천 (4227901)
양지아파트 (4227511)
110(삼척터미널)
후진 (4225911)
후진 (4221861)
갈천/양지아파트 정류소는 역 남쪽 도보 3~5분 거리에 있고, 후진 정류소는 역 동쪽 도보 7분 거리에 있다.
[1] 근처 증산해수욕장 인근에 수로부인공원이 있다.[2] 철도청고시제1992-19호[3] 철도청고시제2001-22호[4] 후진이라는 명칭이 관광명소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주민들의 의견이 적지 않았으며, 비슷한 시기에 후진해수욕장도 삼척해수욕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다만 삼척해수욕장 옆의 작은 해변은 지금도 작은후진으로 불리고 있다. 철도청고시제2002-71호[5] 삼척 산간 지역의 지붕 형식인 너와지붕 형태를 한 것이 특징이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