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교통(r2)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추후 수정예정
주식회사 수평교통 Supyeong Traffic Corp. | |
대표이사 | 김준학 |
설립일자 | 2025년 1월 18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지분구조 | 김준학 60% 구리마을버스 40% |
슬로건 | 기다리고 싶은 버스, 타고 싶은 버스 길이 있는 곳에 KD 운송그룹이 있습니다. |
1. 개요 [편집]
KD 운송그룹 계열사 중 하나. 구리시 면허를 가진 버스 회사이다.
KD 운송그룹에서 새로 만든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는 역사가 짧은 편으로[1], 2007년 12월에 설립했다. 회사에서는 구리권 버스노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원래 운행했던 경기고속의 면허관청인 광주시청에서 막대한 환승 보조금을 주기가 벅차서 구리시 면허를 새로 받아 구리 경유 노선들을 편입시킨 것.
운행중인 노선들 대부분은 경기고속,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던 노선을 경기여객으로 면허를 이관해서 운행하는 노선이였으나 최근에는 신설 노선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2022년 말부터 미래교통에서 7번을 인수받아 KD 운송그룹에서 진명여객에 이어 마을버스도 운행한다.
2. 노선목록 [편집]
2.1. 직행좌석버스 [편집]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구리농산물시장 | 한진그랑빌아파트 - 동구릉 - 배탈고개 - 교문사거리 - 구리역 - 구리여중고교 - 토평정수장 - 강변북로 | 10~17 | ||
수택동 | 7~12 | |||
8~30 | ||||
갈매한라비발디 | 갈매지구 - 세종포천고속도로 - 강변북로 | 15~25 |
2.2. 일반버스 [편집]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내촌 | 30~40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도곡리 | 40~55 | |||
지금지구 | 경동시장 | 35~40 | ||
15~20 | ||||
15~30 | ||||
30~50 | ||||
수택동 | 구리농수산물시장 - 다산1동행정복지센터 - 구리시립묘지 - 갈매고등학교 | 15~30 | ||
대성리 | 35~45 | |||
다산진건지구 | 4~10 | |||
태영데시앙 | 수택3동행정복지센터 - 대림한숲아파트 - 구리경찰서 - 광나루역 - 이후 95번 노선대로 운행 | 평일 3회 | ||
수택동 | 금란교회 | 15~35분 |
2.3. 마을버스
[편집]
마을버스
2.4. 폐선된 노선 [편집]
- 3(다산차고지 - 청량리) - 2020년 5월 1일 이후 운휴되었다가 폐선됐다.
- 53(수택동 - 청량리) - 경기여객에서 순수하게 신설했던 노선으로 시내버스로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왕숙천 제방길을 지나갔다. 농수산물시장을 지나고 나서부터는 52번과 동일.
- 96(다산차고지 - 강변역) - 2024년 4월 8일에 79번의 노선이 변경됨과 동시에 폐선됐다.
3. 면허 체계 [편집]
4. 보유차량 [편집]
4.1. 현재 보유차량 [편집]
4.1.1. 자일대우버스 [편집]
4.1.2. 현대자동차 [편집]
4.1.3. CHTC [편집]
4.1.4. 우진산전 [편집]
4.1.5. 볼보버스 [편집]
4.2. 과거 보유차량 [편집]
4.2.1. 자일대우버스 [편집]
4.2.2. 현대자동차 [편집]
5. 둘러보기 [편집]
[1] 다만 이름 자체는 상당히 역사가 깊다. 경기고속의 예전 이름이 경기여객이니 몇 안되는 개족보... 이 업체가 생기기 전에는 마을버스를 제외하면 구리시는 자체 면허 시내버스가 없었다.[대광위] 2.1 2.2 2.3 2.4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노선이다.[본사]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3.11 3.12 수택본사 소속[내촌] 내촌영업소 소속[덕소] 덕소영업소 소속[대성리] 대성리영업소 소속[다산] 18.1 18.2 다산영업소 소속[출근급행] 출근 급행 노선으로, 강변역 방면으로만 편도 운행한 뒤 이후부터는 본선 노선대로 운행.[24] 갈매동 - 삼육대 - 화랑대사거리 - 화랑대역 - 신내IC - 북부간선로 - 인창동 - 구리시청 - 워커힐 - 천호역 - 길동 순으로 다녔다. 노선의 초반부는 태릉교통 노선들 수요나 주워먹는 수준이었고, 나머지 구간은 23, 1-4번에게 털리는 수준이었다.[25] 이후 88번이 투입되긴 하는데, 이 88번도 2011년 12월에 폐선되었다.[26] 2022년 9월 5일부로 대원운수가 운행하던 167번의 덕소-청량리를 대체해 남양주 면허의 166번으로 일부구간이 변경된 채 부활했다.[27] 구리시 면허[28] 남양주시 면허로, 대원운수 출신 면허[29] 광주시 면허로, 경기고속 출신 면허[30] 의정부시 면허로, 명진여객 1-2번 출신 면허[31] 파주시 면허로, 신성교통 → 신성운수 → 명진여객을 거쳐서 왔다. 같이 들어온 명성운수 출신의 73아 1665호도 있었으나 말소.[32] 전 차량 양주 진명여객 출신 차량이다.[33] 1대 있으며 95번에서 운행중이다.[34] 신성운수→명진여객 출신.[35] 명진여객 1-1번 출신.[36] 연천교통 → 대원고속 15-3번 출신.[37] 경기버스 출신.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