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역
최근 수정 시각: ()
興富驛
Heungbu Station
Heungbu Station
주소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68년 3월 16일 | |||||
철도거리표 | |||||
동해본선 흥 부 |
1. 개요 [편집]
2. 역 정보 [편집]
2.1. 역명 유래 [편집]
흥부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당시 산세가 수려하고 땅이 기름진 곳에 다섯 성씨가 새마을을 일구어 '흥부동'(興富洞)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었다. 조선시대 역참인 '흥부역'도 일대에 있었다. 이와 함께 인근에는 세 성씨가 신령한 거북바위가 있는 곳에 새마을을 일군 영구리(靈龜里)가 있었다. 그런데 일제시대에 일본이 전국의 지명을 한자를 바꾸면서 영구(靈龜)를 임의로 염구(鹽邱)로 바꾸어 마을사람들이 원래 중시하던 신령한 거북바위의 뜻을 지명에서 없애버렸다.
이후 부군면 통폐합 때 흥부동과 염구리가 합쳐지며 지금 사용되는 지명인 '부구리'(富邱)가 만들어졌는데, 되었는데 거북 구(龜)가 아닌 일제가 바꾸었던 언덕 구(邱)로 정해졌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최근에는 북면지역 독립운동 기념장소를 '흥부만세공원'으로 명명하고, 부구시장을 흥부시장으로 바꾸는 등 등 지역에서는 원래 지명 흥부를 되살려 사용하고 있다.
흥부전의 흥부와는 관계 없다. 애초에 그 흥부는 興夫이며, 배경이 되는 곳도 평안남도 평원군 순안면 일대이다.
이후 부군면 통폐합 때 흥부동과 염구리가 합쳐지며 지금 사용되는 지명인 '부구리'(富邱)가 만들어졌는데, 되었는데 거북 구(龜)가 아닌 일제가 바꾸었던 언덕 구(邱)로 정해졌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최근에는 북면지역 독립운동 기념장소를 '흥부만세공원'으로 명명하고, 부구시장을 흥부시장으로 바꾸는 등 등 지역에서는 원래 지명 흥부를 되살려 사용하고 있다.
흥부전의 흥부와는 관계 없다. 애초에 그 흥부는 興夫이며, 배경이 되는 곳도 평안남도 평원군 순안면 일대이다.
3. 역 및 승강장 [편집]
4. 인접 정차역 [편집]
5. 연계 버스 [편집]
흥부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노선 |
원자력발전소 (3720129) | 울진→검성 울진→고포 울진→덕구 울진→검성 울진→부구 울진→주인 울진→호산 |
원자력발전소 (3720129) | 검성→울진 고포→울진 덕구→울진 부구→울진 주인→울진 |
[1] 인구가 거의 없는 영덕-삼척 구간에서도 흥부역이 들어설 부구리는 울진읍, 후포면, 영해면과 더불어 꽤 번화한 마을이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