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09 건 / 처리 시간 0.07초
거여역
…2개의 출구의 경우 올라가는 거리가 매우 짧아서인지 편의상 한 개의 번호로 묶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용객들의 혼선이 있을 수 있기에 4, 4-1번의 가짓수로라도 출구 번호를 분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경찰병원역
…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3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하자.하행 기준 마지막 비환승역이다.가락시장 ↑하ㅣㅣ상↓ 오금상 서울 지하철 3호선수서·도곡·충무로·대화…
초월역
…곤지암역 방면으로 출발하자마자 다시 지상 고가철로로 달리게 되기 때문에 부산 2호선 동원역과 비슷한 구조이다.초월읍 시가지는 크게 쌍동IC 인근 언덕을 경계로 초월읍사무소가 있는 대쌍령리(대쌍)와 롯데아파트와 도곡초가 있는 쌍동리(소쌍)로 나눠져 있는데…
동암역
…로 신축, 이전하여 새롭게 영업을 개시하였다. 현재의 역사는 옛 역사와는 달리 지상 2층 규모의 선하 역사이며 인천 지하철 1호선 간석오거리역과 인접한 것이 특징이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인선 GI54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암광장로 10 (십정동 541) 소재.2. 역…
대광리역
…2015년 간이위탁역이 되었지만 대신 벽면에 그려진 벽화와 낡은 의자, 닭장처럼 손때 묻어나는 소품들이 세월의 흔적으로 남아 역사를 따뜻하게 데운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의정부선 KU17번.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연신로 1156(도신리) 소재.국립연천현충원이 생기면서 현충일마다…
길동역
…안이 나온 적도 있으나 반려되었다. 선로가 단선이라 제대로 된 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5호선 계획 당시 임시역명은 길동사거리역이었다.3. 승강장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제물포역
…시대의 흐름을 따라간 것이라 할 수 있다.안내방송에서는 "이번역은 제물포,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쪽입니다." 이고, 이 뒤에 인천재능대학교로 가실 분은 이 역에서 내리라는 내용의 안내방송이 나온다. 한때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이기우가 총장이던…
태백역
…은 일반인이 절대 탈 수 없고 여행코스 자체에 이 역 정차 및 중식이 포함된 경우다. 한때는 중부내륙순환열차도 정차했으나 노선변경으로 인해 지금은 오지 않는다.버스 환승면에서는 대단히 좋은 역. 바로 옆에 태백버스정류장이 있다.한국철도 100주년…
양주장흥역
…등이 있어서 교외선 운행시에는 송추역, 벽제역, 일영역 등과 더불어서 행락객이 많았고 교외선 중간정차역 중 수요 1위가 장흥역이었다[1]. 다만, 인근 도로교통의 발달로 인해 철도 수요가 크게 줄어 2004년부로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영업이 중지되었다.2011…
동점역
…2] 1963년 5월 20일. 영동본선으로 편입[3] 과거에는 석포역에서 했으나 다이어 개정과정에서 바뀌었다.[4] 1969년~1986년 간 가행한 아연, 납 광산. ㈜영풍에서 운영하였다.[5] 인근의 버섯농장이 점유하고 있는 사유지로서 답사 시 주의가 필요하다.
매봉역
…재역~남부터미널역~교대역~고속터미널역에서 입석이 생긴다.[2]1980년대 3호선 개통 직후에는 이 역이 없었다. 허나 10년 쯤 지나서 양재역, 수서역까지 3호선을 연장하니 당시에는 수요에 부합하기 위해 압구정역에서 고속터미널역으로 노선을 꺾었던 결정이…
능곡역
…권 전철의 운행을 개시하여 오늘에 이른다. 또한 옛 능곡역사에 대한 리모델링을 통해 옛 모습을 복원하고 새로운 공간을 증축해 신구가 조화된 문화복합공간 ‘토당문화플랫폼 1904’로 재탄생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의·중앙 완행선 KJ27번, 서해선 SO12번…
백양리역
…Y자형 기둥에는 굴봉산 나무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표현한 세련되고 현대적인 형태로, 멀리서 보면 로봇 태권브이의 두상을 닮았다는 이야기가 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춘 완행선 KL66번.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북한강변길 690 (강촌리 680-7) 소재.2…
을지로3가역
…선 내선순환으로 환승 시 가장 빠른 출입문 위치는 4-4, 3호선 오금 방향에서 2호선 외선순환은 7-2이다. 그리고 2호선 내선순환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려면 1-1, 외선순환은 10-4에서 내려야 한다. 3호선이 섬식 승강장이라 환승통로만 잘…
연천역
…통일 후 한국의 역사로 시작한 연천역. 군사적 목적이 중요했던 역사답게 1948년 북한이 군용물자를 수송하던 화물용 승강장이 남아있다고 한다. 1958년 세워진 역사가 최근까지 개보수 공사를 통해 이용되고 있다. 역사 외벽에 증기기관차의 벽화와 또…
독립문역
…어 노선띠가 역명판에 붙어있지 않고 역명판 위에 있다.역 구내에 4.6퍼밀의 구배가 있다. 또한 이 역부터 금호역까지 9개역 연속 섬식 승강장이라서 왼쪽 문만 열린다.3. 승강장
[편집]
막차 시간 한정으로 이 역에서 종착하지만 주박이 아닌 차량기지로…
학여울역
…대치역과 너무 가까워서 이용객이 많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 출구를 적게 만들었다고 한다. 출처 인근 아파트 주민들 또한 범죄를 막기 위해 출구를 내지 말아달라고 요구한 적이 있다. 다만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개통 시 출구를 4개(은마아파트, 쌍용아파트, 미도아파트…
별내역
…역명은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일대는 조선시대에는 양주군 별비면과 내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별비면과 내동면에서 한 글자씩을 따서 별내(別內)라 부르게 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춘 쾌속선 HG05번, 경춘 완행선 HL52번…
지행역
…진입로, 안전설비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의정부와 서울 방면으로 출퇴근 하는 지역주민들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동두천중앙역과 비교적 가깝게 위치하여 승강장 끝에서 동두천중앙역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원선 KK03번, 의정부…
백마역
…따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다. 백석동은 남쪽에 자리한 도당산(도당굿을 지내는 산)에 커다란 하얀 돌이 있어 이름 붙여졌으며, 마두동은 정발산에서 내려다본 마을 모습이 마치 말의 머리가 누워있는 듯이 보인다고 하여 '말머리'란 뜻에서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강원철도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