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73 건 / 처리 시간 0.062초
승부역
…년 다시 보통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96년 역사가 기존위치의 강 맞은편으로 옮겨지며 하늘도 세평이라 적혔던 그 친필은 사라졌지만 승부역 앞 조형물에 그대로 남아 옛 기억을 되새기고 있다.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영동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길 1162…
대야역
…역 내 게시판에 고지되는 군산항선 운행 다이어를 봐야 한다.열차운전시행규칙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며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tvN 드라마 시그널 2화, 3화의 현풍역 기찻길이 이 역의 구 역사에서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2021년, 군산시가 쌍도교통에 익산역 시종착 KTX를…
운정역
…신도시를 연결하는 역사로 지어졌다. 또한 다양한 풍광을 담아내는 우물 천창과 우물 구조물들을 통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지역발전을 상징하는 하이테크한 이미지로 구현되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의 쾌속선 KO11번, 경의·중앙 완행선 KJ19번…
하양역
…성이 뛰어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도 편리하다.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대구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금락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1917년 12월 24일 경동선의 대구-영천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고 1938년 7월 1일 표준궤로 개…
대야미역
…개통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한 역으로 승강장 한복판을 제외하고는 플랫폼에 지붕이 설치되지 않았었다. 상록수역과 중앙역이 언론의 뭇매를 맞고 2001년에 지붕을 설치했을 때에도 대야미역에는 아무 변화도 없었으나, 2015년부터 지붕 공사를…
인덕원역
…년 4월 1일까지 금정~인덕원 구간이 개통되면서 과천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으나, 지금은 종착하지 않는다.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중간 개찰구는 방향별로 분리되어 있지만 북쪽 끝 개찰구가 상/하행 공통이므로 북쪽 가장자리의 계단을 통해 횡단…
쌍용역
…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전시회가 열리기도 한다.3. 승강장
[편집]
↑ 봉명 ↓1ㅣㅣ2↑ 아산 ↓1 장항선각역정차천안 방면2 장항선각역정차아산·홍성·대천 방면2017년경 스크린도어 공사를 시작해 2018년 1월 중순부터 가동을 시작했다.4. 인접 정차역
[편집]
…
군산역
…과거 군산선과 장항선은 1912년과 1930년에 각각 개통되었으나 충남과 전북을 가로지르는 금강에 가로막혀 한 구간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2000년에 이르러 시작된 금강철교 공사가 7년여 만에 준공하며 드디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되게 되었다…
장항역
…연결로 구 마석리에 신장항역이 들어서면서 옛 장항선은 장항화물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는데, 2019년 과거 물류거점이던 옛 장항역, 장항화물역이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한다.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항역길 55 (덕암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철도 이설로 발생한 파크웨이 철도…
춘양역
…춘양목으로 통용되는 목재의 명산지이다. 때문에 지역 명품인 춘양목을 역 구내에 비치, 춘양목의 우수한 품질과 그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영동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운곡길 22-2 (의양리 152) 소재.2. 역 정보
[편집…
용산역
…향남·반월 방면국립박물관1.3 ㎞ →서울교통공사용산역(아모레퍼시픽)진접 방면삼각지← 0.7 ㎞4호선429남태령 방면이 촌1.3 ㎞ →과천안산선 직통 ▶주소서해철도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한강로3가 40-999)서울교통공사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112 …
온양온천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365일 따뜻한 온양온천역온양온천역이 위치한 장항선은 과거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 의하여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사설철도선으로 1922년 6월 1일 천안역과 온양온천역 구간이 개통하며 온양온천역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7년 3월…
대공원역(과천선)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대로 지하50 (막계동 526)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인근의 초대형 위락시설인 서울대공원에서 따왔다. 개통 초기부터 2024년까지 병기역명은 서울랜드로, 서울대공원에 딸린 서울랜드에서 따온 것. 남서울철도 관할구간 중 신창(순천향대)역 처럼 대공원역의 병기역명은 서울랜드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