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청역

최근 수정 시각: ()
河南市廳驛
Hanam City Hall Station
파일:NS_Wlogo.svg남서울철도
하남시청역
(덕풍·신장)
파일:NS-H.png
하남선
H57
파일:NS-SH.png
송파하남선
SH58
시종착
주소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지하820 (덕풍동 405-1)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2021년 3월 27일
2024년 6월 8일
철도거리표
하남선
하남시청
송파하남선
하남시청
시종착
1.8 km →[1]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하남선 H57번, 송파하남선 SH58번.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지하820 (덕풍동 405-1) 소재.

2. 역 정보 [편집]

하남 구시가지에 있는 신장초교사거리 밑에 지어졌으며, 상대식 승강장이다.

5호선 하남시 구간인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은 경기도 지역에 있기 때문에 이 역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과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2]

미사역만큼은 아니지만 출퇴근시간대에 은근히 붐비는 역이다. 하남선 구간 내 역들 중 이용객 2위이기도 하고, 하남 원도심 안쪽 깊숙한 곳에 있는 역이라 인근 주민들의 출퇴근 수요가 이 역의 승하차량의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출근시간대에 생각보다 꽤 긴 줄이 스크린도어 각 칸별로 서 있으며, 이 역부터 여지없이 입석이 시작된다. 운이 안 좋은 경우 이미 하남검단산역부터 입석이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2024년 6월 8일 송파하남선이 개통하였지만 크게 수요는 늘지 않았다.

하남풍산역하남검단산역 사이에 위치해 있어 3연속으로 하남 접두어가 들어가는 역 중 하나이다. 역명인 하남시청에서 하남시청역까지 도보 10분, 하남검단산역까지 도보 12분 거리로, 하남시청은 하남시청역과 하남검단산역 중간에 있다. 이와 관련해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이 역의 역명 결정 권한은 하남시에 있는데, 역은 덕풍동과 신장동 경계에 있으며, 주소지로는 덕풍동에 있다. 주민들 의견과 역명 공모 당시에는 '덕풍역'이 우세했으나 이에 신장동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했고, 하남시청은 주민 갈등 해소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덕풍도 신장도 아닌 중립적(?)인 하남시청을 역명으로 결정했다. 이는 덕풍동과 신장동 주민 모두 만족시키지 못했으나, 덕풍과 신장이 병기역명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3. 승강장 [편집]

3.1. 하남선 [편집]

3.2. 송파하남선 [편집]

2
1
종착역
1
감일·오금 방면
(직통 교대·충무로·구파발·고양·대화 방면)
2
당역종착

송파하남선 승강장은 하남선 승강장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5호선 승강장과 십자교차하지 않고 더 북쪽에 지어졌으며, 심도는 40m이다.

4. 인접 정차역 [편집]

<:>각역정차
各驛停車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SH.png 송파하남선
<:>각역정차
各驛停車
시종착
[1] 하남차량사업소 입고[2] 따라서 서울전용 정기권을 태그 하면 승차가 불가능하고, 하차 시 1회 추가 차감된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