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원역

최근 수정 시각: ()
蠶院驛
Jamwon Station
파일:SM-3.svg
3호선
338
주소
역 운영기관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
개업일
1985년 10월 18일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2. 역 정보 [편집]

역명의 유래인 잠원동(蠶院洞)의 첫 글자 "蠶"은 조선시대에 국립양잠소인 잠실도회가 설치되었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했고, "院"은 조선 시대에 공무를 위해 여행하는 관리나 상인을 위해 국가에서 설치한 숙박시설인 원(院)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원은 잠원동 지역이 아닌 근처 동네인 신원리(현 서초구 신원동)에서 유래했다. 사실 이 동네도 원래 잠실이었는데 송파구의 잠실동이 서울에 먼저 편입되는 바람에 신원리에서 원자를 따와 강제 개명당한 곳이다. 그래서 역 벽면에는 누에 그림과 아낙들이 실을 뽑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잠원역 역세권메이플자이 아파트가 독점한다. 메이플자이는 2025년 6월 입주 예정이다.

1980년대 초반에 조성된 신반포아파트단지에서 북쪽에 위치해 있다. 한신아파트가 이 역에 인접해 있었으나 재건축에 들어갔고 구 대림아파트단지 터에는 현재 래미안이 들어서 있다. 한편 인근에 경원중학교가 위치해 있어, 야구부 등 먼 거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아파트 재건축으로 인해 잠시 수요가 주춤해졌으나 추후 입주를 시작하면서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은 큰 도로를 따라 건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역은 당시 막 신설된 아파트 단지들 한가운데에 건설되어, 출입구가 놓인 도로가 왕복 2차선에 불과하다. 이로인해 이 역을 직접적으로 경유하는 버스 노선은 마을버스인 서초01번 딱 하나 밖에 없다. 게다가 서초01번은 1번이라는 번호가 무색하게도[2][3] 배차 간격이 25분으로 매우 나빠 존재감도 낮은 편이라 이 역을 경유하는 배차 좋은 버스 노선은 전무하다. 간접적으로 경유하는 노선은 143번, 345번, 4318번서초14번이 있다. 모두 잠원역의 근처를 지나긴 하지만 각자 정류장까지 5분 정도 걸어야 한다.

2024년 6월 1일 신반포27차 재건축 사업을 SK에코플랜트수주했고, 같은 날 신반포12차 재건축 사업을 롯데건설수주하였다. 신반포아파트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하면 잠원역의 이용객은 일시적으로 줄었다가 입주 이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잠원한강공원으로 가는 거리는 꽤 멀지만 사실상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이 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편이 낫다. 4번 출구로 가서 좌회전후 잠원로까지 직진하면 맞은편에 입구가 보인다.

4. 승강장 [편집]

5. 인접 정차역 [편집]

[1] 개정 전 28번.[2] 서울 대부분 구의 마을버스 01번 노선은 배차간격이 좋고, 수송량도 많아서 지선버스 못지 않다.[3] 그리고 서초01번은 비공식 반포고 통학셔틀이라고 불릴 정도로 배차간격이 길고 노선이 짧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