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49 건 / 처리 시간 0.066초

중앙 쾌속선

…0청량리(淸凉里)KC0717.34회 기(二 村)KC0819.94.0KC0925.49.5KC1028.812.9KC1133.117.2KC1238.822.9KC1347.131.2KC1463.847.9KC1574.458.5KC1678.062.1KC1780.965.0KC1884.468.5KC1988.272.3KC2091.275.3KC2195.179.2KC22102.386.4[1] 운행계통 발족일은 2014년 12월 27일[2]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약간 다른 색이나…

금촌역

…금촌역은 1906년 경의선의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155.76㎡ 규모의 목조 기와 단층역사로 일제강점기 표준역사와 유사한 모습이지만 재료와 구축이 변화된 1960년대 표준역사였다. 남북분단과 휴전선으로 파주 일대의 관공서가 인근으로 내려오…

동광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제주순환선 JL06번.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한창로 지하100 (동광리 809-3) 소재.여기서부터 서귀포시 구간이다.2. 승강장 [편집] ↓ 광령 ↑외ㅣㅣ내↓ 창천 ↑외 제주순환선서귀포중앙·중문 방면내 제주순환선제주시청·아라·제주대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제주순환선외선…

현남역

…개요 [편집]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남애리 361-3 소재.이름과 다르게 현남면 소재지는 인구역이 더 가깝다. 이는 강원도 고성군 남애역과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역명을 현남으로 하였기 때문이다.2. 승강장 [편집] 2.1. 동해선 [편집] ↑ 주문진 2ㅣㅣ1인구↓1■…

평내호평역

…경춘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 1958년 플랫폼 상에 역사가 위치한 (-)자형 역사가 지어졌다. 역사는 옛 팔당역이나 백양리역과 유사한 모양이었다. 1969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지만 1997년과 2004년에 연달아 역원배치간이역,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이목역

…강원도 평강군 현내면 이목리 소재.2. 상세 [편집] 이목이라는 마을 이름은 배나무가 많다하여 배나무골로 불리다가 이를 한자로 옮긴 것인데 지배층 및 일제 때문에 지명을 한자로 옮기는 일이 많았다. 배나무골에 궁예가 뒷날에 경원선이 되는 길을 따라 철원…

온양온천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365일 따뜻한 온양온천역온양온천역이 위치한 장항선은 과거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 의하여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사설철도선으로 1922년 6월 1일 천안역과 온양온천역 구간이 개통하며 온양온천역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7년 3월…

호포역

…나 되며, 동해선 광역전철을 제외한 부산 도시철도의 모든 구간들 중에서 가장 긴 구간이자 지하로 들어가지 않는 전국의 철도 직류 구간 중 가장 긴 구간이다.[2] 두 번째로 긴 구간은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미남역 간 거리로 3.3km다. 증산역이…

송파하남선

…개요 [편집]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에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시청역까지 가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하여 운행된다. 일산선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 3호선의 한 구간이다.2. 역사 [편집] 2.1. 계획 입안 [편집] 감일지구와 감북지구의 개발에 따라 오금역에서 본선을 추가로 뻗어 감일…

잠실나루역

…법정동명인 신천역으로 개명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당시 신천역은 법정동 잠실동이자 행정동 잠실본동에 이미 존재했다.잠실에서 지명에 대한 이런 문제가 계속 제기되는 이유는 잠실이 기존의 섬이었던 곳을 매립해서 만든 새로운 땅이기 때문이다. 샛강이었던 신천과 한강 본류였던 송파강…

연안역

…개요 [편집] 배천선의 철도역. 황해남도 연백군 연안읍 남쪽 소재. 1932년 설치되었다.원래 연백군 연안읍 지역이다. 연안(延安)은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고 지은 이름이다. 조선시대 연안군 지역에서 1914년 연백군이 되었다. 1945년 38선으로 나뉘자 남한의 연백군은 벽성군의…

영동본선

…동백산 ~ 도계4. 역 목록1. 개요 [편집] [경상북도]] 영주시와 강원도 동해시를 연결하는 철도노선이다. 강원도 영동 지방으로 가는 철도라 영동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전 구간 전철화되어 있고, 영주시 영주역 - 봉화군 봉화역 - 태백시 동백산역 - 삼척시 도계역 - 동해시 동해역을 경유하며 영주시 영주역에서…

동두천중앙역

…동두천, 동안 그리고 동두천중앙동두천중앙역은 1911년 경원선의 어수동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1945년 해방으로 남한의 경원선 종착역이 되었던 곳이다. 동두천시 시가지에 위치하여 유동인구가 많아 지역의 대표성을 위해 1984년 동두천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선바위역

…039;라는 뜻의 자연지명인 선바위를 한자로 음차해서 '선암역'이라 하려 했지만, 이보다 2년 앞서 울산에서 동해남부선 선암역(현 개운포역)이 개업했기 때문에 혼동을 우려하여 순우리말 이름인 선바위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과천선 개통 전 노선도에는 하리역, 하동역이…

식장산역

…있게끔 개량해서 신설하였다. 본래 충청선과 대전 1호선에 모두 건설해 환승역으로 개통할 계획이었으나 충청선은 터널 입구에 곡선 구간이라는 어려운 시공 조건 때문에 역 건설이 무산되었고 대전 1호선만을 연장하기로 하였다고 한다. # 충청선은…

동작역

…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길다.이렇게 동작역과 이촌역의 거리가 멀어진 이유는 동작대교를 건너고 지하로 내려가 급드리프트 이후 서빙고로를 쭉 따라가서 도착하기 때문이다.사당행 열차는 이 역이 마지막 지상역이고 진접행 열차는 이 역이 첫 지상역이다.2.2…

정자역

…막차시간대 주박은 판교역 유치선에서 한다. 광교 연장 직후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서 그러는 듯하다.이 역에서 북쪽으로 신분당선주식회사, 남쪽으로 경기철도주식회사 관할이다. [신사~신논현] 구간에서 출발해서 이 역에서 하차하면 별도요금 1,700원을, [강남~판교/미금~광교]구간에서 출발하…

풍산역

…기존 경의선의 긴 역 간 거리를 보완하고,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 특징이다. 역명이 유래한 지명은 옛 마을 이름인 풍동(楓洞)과 산황동(山黃洞)을 합쳐 붙인 이름이다. 이 중에서 풍동은 오래전부터 산이 없고 벌판이 넓…

연신내역

…년 12월 28일철도거리표서울 방면서 울← 9.4 km경의고속선연신내신의주 방면고 양9.9 km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3.1. 개괄3.2. 오락시설3.3. 노점3.4. 패스트푸드, 카페 프랜차이즈3.5. 욜로길3.6. 기타 편의 및 보건시설3.7…

타고타고

…애플페이 사용1. 개요 [편집] 오늘도 타고타고~ 내일도 타고타고~타고타고 슬로건서해철도와 동해철도의 철도 예약 서비스이다.네이버, 카카오T 등 사설 예약 서비스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2024년 10월 10일부로 강원철도에서 재래선 예약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