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역

최근 수정 시각: ()
延신내驛
Yeonsinnae Station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연신내역
파일:DH-UT.png
운정동탄라인
UT05
동탄 방면
서 울
9.4 km →
파일:SeoulMetro_Wlogo.svg서울교통공사
연신내역
파일:SM-3.svg
3호선
321
단방향 운행 구간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경평로 지하849 (갈현동 397)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
개업일
1985년 7월 12일
2000년 12월 15일
2024년 12월 28일
철도거리표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개괄3.2. 오락시설3.3. 노점3.4. 패스트푸드, 카페 프랜차이즈3.5. 욜로길3.6. 기타 편의 및 보건시설3.7. 대진성주회 핫스팟3.8. 주변 지역 핵심 상권과의 비교
4. 승강장5.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2. 역 정보 [편집]

서울특별시 서북부 지방 은평구의 번화가에 있는 역으로, 국도 1호선과 통일로가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불광동, 대조동, 갈현동이 인근에 있다.

연신내(延신내)는 연서천(延曙川)의 순우리말이다. 연서천은 역촌동이 마을 동녘에 있는 산에 가려서 새벽[曙]이 늦다[延]고 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즉 연(延)+시내[川]가 변해서 연신내가 된 것이다. '연서천-연신내'와 비슷한 사례로 대치역-한티역, 아현역-애오개역, 노량진역-노들역 등이 있다.

본래 연신내역 부지는 하천이 흐르던 자리인데, 오래전에 복개한 뒤 도로를 만들었다. 3호선 개통 당시 역명을 한글로만 표기했는데, 2000년 6호선이 개통되면서 새로 바뀐 표지판에 '延新內'라는 음차표기가 추가되었다. 원래 의미와 무관하게 음만 빌려 표기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2001년 한자 표기를 삭제[2]하여 한자 역명이 존재하지 않는 역이 되었다. 중국어 표기로는 아직도 음차한 명칭(延新川)을 표기해 두었다.

6호선은 구산역 방향 단선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신내역이 출발지이고 독바위역이 목적지인 경우, 이 두 역은 같은 노선에 한 정류장 차이나는 역이지만 연신내역에서 탑승하여 독바위역에서 곧바로 하차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3호선 불광역을 경유하여 독바위 방향 6호선 열차로 갈아타야 한다. 그러다보니 환승의 대부분은 3호선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승객으로 이루어지며, 반대로 6호선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려는 사람은 별로 없다. 독바위역을 이용하는 승객은 서울 사대문 안이나 강남 방향으로 나갈 때에는 연신내역보다 7720번을 타고 불광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불광역에는 6호선에서 3호선(대화 방면)으로 환승하는 승객이 많은데, 연신내역은 그 반대로 3호선에서 6호선으로 갈아타는 승객이 주를 이룬다.

경기도 방면으로는 파주, 벽제 및 삼송 방면, 도심방면으로는 광화문, 숭례문 방면 버스가 잘 연계 되어 있다. 의정부로 가는 버스도 있다.

경기북부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교통요지이나, 신촌 및 수색지역과 파주 및 고양시와의 교통연계가 상당히 좋아짐으로서 그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응암순환선 구간 중에서도 연신내역은 곡선이 심한 편이다. 따라서 6호선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매우 넓다. 그리고 독바위역과 연신내역 사이의 선형은 S자형 구간이기 때문에 독바위역에서 연신내역으로 진입하는 열차 안은 소음이 매우 심하다. 불광-독바위-연신내가 통일로에서 불광로를 끼고 큰 곡선을 그리며 돌아나가는 형태기 때문이다.

운정동탄라인 연신내역이 위의 조감도대로 지하 8층에 승강장이 위치할 예정이다. 연신내 물빛공원 지하에 역사가 건설된다. 운정동탄라인의 정차역으로 지정되면서 연신내역의 잠재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3.1. 개괄 [편집]

1~2번 출구 중간에 메트로타워 지하2층과 연결되는 연결통로가 있다.

2번 출구 북쪽으로는 연서시장이라는 재래시장이 있으며[3] 4, 5번 출구 동남쪽은 포차스러운 옛 느낌이 나는 먹자골목, 6번 출구 서남쪽은 현대적 느낌이 나는 호프, 모텔 등이 즐비한 유흥가 블록이 있다. 그리고 가운데에 물빛공원이라고 불리는 공원이 있다.[4] 11월 말 쯤에 리모델링을 하였다. 이후에는 GTX-A 공사 때문에 공원은 사라졌고 6번 출구도 폐쇄되었다.

2010년대 초반 들어 도로 근처에 의원들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건물이 유명[5]했는데 2010년대 후반에 인터넷 밈이 되면서 생명의 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3.2. 오락시설 [편집]

상당히 큰 규모의 오락실짱구게임장이 있다. 7번 출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학생이나 술 마시러 온 젊은이들이 많은 탓에 호황을 누리고 있다.

3.3. 노점 [편집]

6번 출구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다보면 국수 노점이 4곳 정도 열리는데(한 곳은 노점이 아닌 가게) 과거에는 길거리에 천막 형식으로 운영하고 안 그래도 막히는 연서로에 도로 일부분을 점거하고 방문객들이 주차까지 하여 엄청난 교통 혼잡을 초래했다. 지금은 구청 측에서 거리 정화 등을 목적으로 새로 설치한 철제 노점에서 천막을 펼쳐서 손님들을 받고 있다. 가격은 4,000원 안팎인데, 양이 생각보다 많아 충분한 요기가 된다.

3.4. 패스트푸드, 카페 프랜차이즈 [편집]

4번 출구에 노브랜드버거 매장이 있다. 5번 출구에서 50m 정도 내려가면 3층을 통으로 쓰는 KFC 매장이 있다[6]. 6번 출구[7]에서는 100m 정도 내려가면 롯데리아, 서브웨이, 맥도날드, 맥도날드에서 골목길로 100m 정도 들어가면 맘스터치가 있다. 3번 출구와 7번 출구 인근에 각각 스타벅스 연신내사거리점, 연신내점이 위치해 있다. 욜로길에 투썸플레이스, 파스쿠찌가 입점해 있고, 맥도날드 맞은편에 할리스커피 직영점이 있다. 번외로 10년대 후반만해도 버거킹, 파파이스, KFC, 맘스터치, 롯데리아, 맥도날드, 노브랜드버거 가 1km내외에 있던 시기도 있었다.

3.5. 욜로길 [편집]

연신내 최대 번화가로 각종 음식점과 주점, 옷 가게, 화장품 가게, 노래방 등이 즐비해 있다. 인근 지역의 중고생과 청년층이 주수요층인 만큼 저가 전략을 사용하는 업장 위주로 상권이 형성되어있다. 원래 명칭은 연신내 로데오거리였으나 언제부턴가 욜로길이라는 입간판을 세워두고 새로운 명칭을 홍보하고 있다.

3.6. 기타 편의 및 보건시설 [편집]

3번 출구 나가자마자 꽤 큰 규모의 롯데슈퍼가 있다. 5번 출구에서 2분 정도 내려가면 매장 안에 카페가 있는 알라딘 중고 서점이 있고, 그 맞은편에 2층 규모의 아트박스가 있다. 종합병원은 청구성심병원이 있으며 조그마한 일반병원들이 여럿 산재해 있다.

3.7. 대진성주회 핫스팟 [편집]

공덕이 많은 사람을 알아보는 무리들이 하루 7~8번 정도 출몰한다. 7번 출구에서 10분 정도 걸어 올라가면 대진성주회 연락소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간대에 나타난다. 주로 해가 진 저녁 시간 또는 오전 11시 30분부터 시작을 해서 밤 8시 50분까지 많이 나타나는 듯. 붙들리면 골치 아프니 주의할 것. 이들의 출몰지는 주로 연신내역에서 청구성심병원 또는 동명여고 사이이며, 드물게 파리바게트 앞이나 불광역에서도 출현한다. 발견시 112에 즉시 신고하자. 사실 옷차림새가 촌스러워서 다가오면 눈치채기는 쉽다. 다만 젊을 경우 대학생처럼 옷을 입고 접근하는 경우가 있고 수법이 교묘해졌으니 주의해야 한다.
연락소 위치
피해 사례

3.8. 주변 지역 핵심 상권과의 비교 [편집]

은평구 사람들이 접근성이 좋고 분위기도 더 깔끔한[8] 홍대거리신촌으로 놀러 나가면서 연신내역 상권이 많이 위축되었다고는 하지만 서북부 지역의 독보적인 상권이고 교통 중심지이다 보니 여전히 유동인구는 어마어마한 편이다. 다만 은평구 중남부(수색동, 증산동)의 수요는 확실히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9] 그리고 수색과 연신내는 5km 정도 떨어져 있어서 원래 같은 생활권이 아닌 데다가 수색에서는 조금만 가면 홍대, 신촌, 연대, 이대 등의 번화가가 널렸는데 굳이 연신내를 찾을 이유가 전혀 없는 것도 한 몫 한다. 실제로도 도로망 상으로도 차이가 나는데 수색은 신촌, 연대, 이대로 연결되지만 연신내는 홍제, 독립문으로 연결되는 등 도로망도 약간 다르다.[10]

그래도 인근에 오래된 주택가가 있고 인근 초중고등학교가 많은 탓에 (동명, 선일, 대성, 예일, 갈현초, 선정) 방과후 놀거리나 군것질을 찾는 학생이나 저녁에 외식을 나오는 가족이나 돌아가는 길에 술과 안주를 찾는 수요가 많아서 음식점이나 주점이 비교적 잘 되는 편에 속하다.

4. 승강장 [편집]

4.1. 서울 지하철 3호선 [편집]

4.2. 서울 지하철 6호선 [편집]

구산

3호선 승강장 문단의 지도에서 볼 수 있듯 깊이가 상당하다. 이외에도 응암순환선 역들이 대부분 심도가 깊다.

4.3. 운정동탄라인 [편집]

5. 인접 정차역 [편집]

[1] 개정 전 11번. 현재 3호선 계통의 11번은 정발산역이 가져갔다.[2] 그러나 옆 역들인 구파발역불광역에서는 스크린도어에 가려진 역명판에서 연신내역의 한자를 가린 흔적이 남아 있다. [3] 역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많이 통행하는 보도 위에 시장이 있어서, 길이 심히 좁고 혼잡하다. 그러다 보니 차도 많이 밀린다. 구파발에서 720번 타고 통일로로 내려가면 안돼는 이유가 구파발에서 기자촌으로 돌고 도는 것도 있지만, 연서시장 정체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4] 노년층 승객들의 만남의 장소로 쓰이는 듯하다. 가끔씩 공연을 한다.[5] 2020년대 초 기준 이미 간판을 정리했다.[6] 그 전에도 KFC 연신내점은 다른 건물에서 지난 2008년 말 무렵까지 영업한 적이 있었다.[7] GTX 공사로 임시 폐쇄[8] 아무래도 연신내역은 주변에 노후된 건물이 많고 재래시장이 있다보니 낙후된 느낌을 준다.[9] 응암순환 덕에 중남부에서 전철을 타고 연신내로 오는 것보다 합정역이나 디엠씨역을 거쳐서 홍대나 신촌으로 가는 게 훨씬 빠르다.[10] 특히 연신내에서 차로 나갈때 불광, 홍제역 인근은 의문의 정체가 많이 일어나는 구간이기도 하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