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11 건 / 처리 시간 0.098초
입석역
…↓1■ 태백선사북·태백·동백산·동해 방면2제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제 천← 13.7 ㎞보통普通동해 방면쌍용리4.6 km →[1] 공식 지선이 아닌 지선.[2] 다만 이후 폐차되진 않고, 공장 내부 유치선에 보관 중이다.[3] 검수시 7500호대 투입됨.
비동역
…을 위해 2022년 8월 16일부터 여객취급이 무기한 중단되었다.[4]4. 역 및 승강장
[편집]
↑ 양원ㅣ1분천 ↓1 영동본선상·하행철암·춘양·봉화·영주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영동본선영주 방면분 천← 4.2 km보통普通철암 방면양…
울진역
…역 자체는 울진북로에 들어서고 울진종합버스터미널은 울진중앙로에 붙을 예정이라 역에서 터미널로 가려면 횡단보도를 2번 건너야 하기에 울진역과 울진터미널을 잇는 보행육교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접근성을 높일 방안으로 꼽힌다.강원철도 역 중 가장…
분천역
…에서 나름대로 중요한 역으로[2] 철도가 없는 울진군의 관문역같은 역할을 했었다.예전 청량리행 야간열차가 운행할 때는 분천에서 울진읍까지 심야 농어촌버스도 다녔었다고 한다. 청량리행 무궁화호가 폐지되면서 해당 노선은 울진-광비로 단축되었고, 지금은 봉화여객의 춘양…
양원역
…3] 3km면 그냥 평지를 걸어도 꽤나 오래 걸리는 거리이다.[4]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두 역 사이에는 배바위산이라는, 해발고도 967m의 산이 버티고 있다. 산 정상을 들리지 않는 코스로 가더라도 관악산 정도 높이의 산길을 걸어야 한다.[5] 수인선 원곡역이 폐역된…
철암역
…동백산6.1 ㎞ →분천 방면승 부← 17.8 km[특급] SL백두대간[特急] SL白頭大幹시종착영주 방면동 점← 4.0 km보통普通시종착시종착보통普通동해 방면백 산4.3 ㎞ →[1] 철암선으로써의 개업일.[2] 분천역 같은 역들도 화물 업무를 했으나…
두정역
…번(부본선)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현재 2번 승강장과 3번 승강장에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며 북부 개찰구 공사 시작 전에는 쇠사슬이 쳐져 있었지만 공사 시작 후쯤부터는 미닫이 펜스가 쳐져 있다.2017년 9월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정상적으로…
동점역
…2] 1963년 5월 20일. 영동본선으로 편입[3] 과거에는 석포역에서 했으나 다이어 개정과정에서 바뀌었다.[4] 1969년~1986년 간 가행한 아연, 납 광산. ㈜영풍에서 운영하였다.[5] 인근의 버섯농장이 점유하고 있는 사유지로서 답사 시 주의가 필요하다.
송탄역
…부터 송탄 지역의 중심지였다. 서정리역과 연결되는 마을버스 노선도 많고, 송탄 남부 아파트 단지의 접근성이 좋다.수원-천안 구간 복복선화 전에는 지탄, 각계, 신거와 같이 단순히 본선 옆에 다 쓰러져가는 플랫폼만 있던 간이역이어서 여객 취급을 중단하느니 마느니 했지만 복복…
동두천역
…본선 직통 ▶삼성왕십리라인 경유경부본선 직통 ▶경유 장항 쾌속선 직통 ▶시종착경원선KK00청량리 방면보 산1.6 km →1호선 경유경인선 직통 ▶주소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687 (동두천동 245-4)역 운영기관의정부선경원선개업일경원본선1912년 7월 25일철도거리표도봉산…
오산대역
…과 갈등을 빚었으나[3] 경제성 분석 결과 오산대역 신설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공사에 들어갔다.[4] 그러나 그 뒤로도 강원철도[5]와 오산시가 역광장 및 진입도로 조성 공사비 부담 비율로 인해 갈등을 벌여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6]2005년 1…
도봉산역
…방면4창동·광운대·청량리 방면(직통 용산·구로·인천 방면)2.2. 서울 지하철 7호선·도봉산포천선
[편집]
장암 ↑하ㅣㅣ상↓ 수락산상 서울 지하철 7호선당역종착·장암 방면하건대입구·온수·석남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의정부선철원 방면의정부← 5.3 ㎞보통普通…
창동역
…창 동도봉산 방면도봉산4.2 km →1. 개요2. 승강장2.1. 경원선2.2. 경원고속선·의정부선·삼성왕십리라인2.3. 서울 지하철 4호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창동역은 1911년 경원선 부분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안인역
…동해본선상행묵호·동해·삼척·울진 방면2하행강릉·경포대·사천진·주문진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 동해선울진 방면정동진← 7.1 km보통普通주문진 방면시 동2.7 ㎞ →[1] 홍대입구역과 왕십리역에 화물이 없다는 이유로 유동인구 무시하고 업무위탁역으로…
화서역
…다. 1981년에 2복선 확장이 끝난 후 화서역은 일반열차도, 쾌속열차도 정차하지 않으므로 가운데 고상홈이 10년도 쓰이지 않고 그대로 방치된 것이다. 물론 내려가는 계단도 있지만 노량진역처럼 폐쇄되어 있고, 승강장은 꽃밭으로 관리되는 중이다.또한…
전의역
…에 있는 역이라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그러나 2014년에 일평균 400명대로 정점을 찍고 나서는 계속 줄어들어 2019년에는 200명대 중반까지 감소했다.]이 역은 다음 역인 청송역과 전동역, 서창역을 관리한다.표준 발음법에 의하면 역명은 [저…
노량진역
…승강장
[편집]
3.1. 경부본선
[편집]
↑ 용산ㅣ7ㅣㅣㅣ65ㅣㅣ43ㅣㅣ2ㅣ1대방 ↓1 경인선구로·부천·부평·동인천 방면2용산·서울 방면3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구 급행 승강장, 간혹 건설화물이나 입영열차 혹은 갑종회송 열차가 이 대피선에서 대기했다가 출발…
승부역
…방면석 포7.6 ㎞ →분천 방면양 원← 3.7 km[특급] SL백두대간[特急] SL白頭大幹철암 방면철 암17.8 ㎞ →영주 방면양 원← 3.7 km보통普通철암 방면석 포7.6 ㎞ →4. 기타
[편집]
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신이문역
…삼송역 등 에도 설치했었다.[3] 1964년 개통되었다 당시는 없었다가 1966년 무연탄 화물수송위해 역을 신설하였다.[4] 「[밀착카메라] 갈라지고 파이고…불안한 '낡은 지하철역'」, JTBC, 2017-11-14[5] 「경원선 광운대역∼청량리역 구간 운행 중단됐다 6시간만에 재개」…
신길역
…현재의 1호선 신길역 자리는 2복선 시절부터 녹지가 철도 사이에 있어 부지 확보가 비교적 용이했으나, 그럼에도 승강장을 만들 공간이 부족하여 경부선과 노들로 사이 완충녹지를 매입하고 현재의 1호선 역사 자리에 있던 영등포로의 경부선 육교(신길고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