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31 건 / 처리 시간 0.097초
도담역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매포길 113-10 (우덕리 13-6) 소재.2. 역 정보
[편집]
이 역 인근에 있는 단양8경 중 하나인 도담삼봉이 있어서 명명되었다. 정확히는 역이 이설되기 전 매포읍 도담리에 있었기 때문에 도담역이 된 것이다.[1] 매포읍에 있지만 매포역이 아닌데…
이문차량소
…8] 나머지 편성은 강릉차량소 및 남서울철도 부발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현재 이문차량소에서는 청량리역을 출발 및 도착하는 KTX 열차에 한해서 일상정비 및 경정비를 시행하고 있다.[9] 중정비를 받기 위해서는 경의본선의 고양 차량센터…
수유역
…이 역을 수유동과 번동, 우이동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고, 강북구의 중심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지만 우이신설선과는 환승되지 않는다. 역 이름은 수유역인데 역무실은 번동에 있는 이유는, 수유역 자체가 수유동과 번동의 경계 지점의 어정쩡한 곳에 세워졌기 때문…
달월역
…으로 들어선 역달월역은 수인선이 개통된 후, 새로운 역사 개통 요청에 의해 1965년 5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의 역사는 이호정 마을 부근에 승강장만 있는 간이역이었다. 비록 역사는 없었지만, 인천으로 장사를 하러 가는 사람들이 많…
반월역
…시골역 풍경을 띠는 역이다. 그것도 역 건립 당시에는 반월면 시가지가 현재의 반월동주민센터나 반월초등학교가 있는 남쪽 부근에만 시가지만 있었고, 최근 반월역 주변에 많은 카페와 놀거리가 들어와 인프라가 좋아졌다실외 지상역이라 하늘이 보이고…
판교역
…중부내륙선 KTX가 판교역으로 연장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제 경강선 판교역에도 엄연히 일반열차가 들어서게 되면서, 두 역의 역할이 일정 부분 겹치게 됐기 때문. 물론 여전히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역 인근 주민들에게는 큰 문제가 안 되지만, 두 역을 잘 모르는 사람의…
경부선(서해철도)
…부성2026. 01. 11. 신가1. 개요1. 개요
[편집]
1974년 8월 15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한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노선연장이 가장 긴 노선이다.[1] 병점기지선 운행 계통.[표준궤] 2.1 2.2 서해철도에서 수입하여 표준궤에 맞게 설비를 개조…
모래위키:문서 삭제식 이동
…사용자가 문서 이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예전 방식 혹은 자신이 편한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그러나 모래위키가 따르고 있는 라이선스인 CCL의 저작자표시 조건인 BY를 준수하려면 기여자의 목록이 문서의 로그(역사)에 표시되어야 합니다…
개롱역
…병자호란 당시 갑박산에서 고리궤짝을 주워와 현재의 가락2동 개롱근린공원 위치에서 열어보니 투구와 갑옷이 나왔다는 일화에서 유래하였다.[4]지하철 출구가 사거리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정작 사거리의 모든 사분면에는 걸쳐있지 않아서 사거리 사분면 중 오금역 방향…
흥부역
…다. 그런데 일제시대에 일본이 전국의 지명을 한자를 바꾸면서 영구(靈龜)를 임의로 염구(鹽邱)로 바꾸어 마을사람들이 원래 중시하던 신령한 거북바위의 뜻을 지명에서 없애버렸다.이후 부군면 통폐합 때 흥부동과 염구리가 합쳐지며 지금 사용되는 지명인 '부구리…
도계역
…반대로 읍내쪽으로 가면 과거 광부사택이었던 장미사택 등과 천연기념물 95호 긴잎느티나무가 있다.도계역은 강원도 남부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트래킹 코스인 운탄고도1330 중 7길 종점이자 8길 시작점이다.내일로 예전에는 내일로 플러스를 끊은 사람들…
영월역
…모니터를 장착한 타워형 컴퓨터였다.[4] 하술했듯, 사진에 보이는 발전소 건물은 1998년에 활용이 중지된 후 각종 부속 등이 해외로 재매각되었고 최종적으로 2007년에 폭파해체되었다. 일제 시대 말기와 6.25를 치른 제1호기는 1970년…
도경리역
…었다[2]. 2011년 기준으로 한 번 리모델링을 거친 듯하다.이곳에서 가수 다비치가 부른 '오늘따라 보고 싶어서 그래'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동 노선의 양원역의 개통 비화를 담은 영화 기적의 촬영지 중 한 곳이다. 영화에서는 승부역사로 나온다…
봉천역
…안내문을 부착해 뒀다. 상행 에스컬레이터는 하행 에스컬레이터 종료 지점에서 시작된다. 하행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불만이 많은 편이다. 4번 출구 공사 기간 동안 바로 뒤 엘리베이터가 매우 혼잡하였다. 왜냐하면 해당 출구를 이용하던 이용객들이 한번에 몰렸기 때문이다.2호선 역들 중 스크린…
잠원역
…중학교가 위치해 있어, 야구부 등 먼 거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아파트 재건축으로 인해 잠시 수요가 주춤해졌으나 추후 입주를 시작하면서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은 큰 도로를 따라 건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역은 당시…
오리역
…적으로 스크린도어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5년 중반쯤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운영중이다. 2020년 말까진 태평역이나 정자역과 달리 천장공사를 하지 않아서 여타 지하역과는 다르게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다. 2020년 말부터 미세먼지 유입차단…
진접역
…학교, 해밀초등학교, 경복대학교, 부평초등학교, 진접중학교주거 시설진접 금강펜테리움(19단지), 신도브래뉴(22단지), 신안인스빌(23단지), 휴먼시아(24,16단지), 원일플로라(21단지), 반도유보라메이플타운(15단지), 신영지웰(20단지), 진접하우스토리, 부영사랑으로(18단지)…
남부터미널역
…이을 통로로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97년, 위의 모든 계획은 진로그룹이 부도나면서 무산되었다. 지하도는 2002년에 모든 상인들이 지하상가를 떠나 방치되었다가 2008년에 서울메트로에서 시설을 기부채납 방식으로 인수받았다. 서울메트로와 그 뒤를 이은 서울교통…
강변역
…현재 기점이 바뀌어 서울 버스 3319로 운행 중이다. 유일한 예외가 있는데, 풍납동에서 타면 편하다. 하지만 풍납동은 행정구역 상으로는 송파구이지만 반쯤 강동구인 곳이다. 광주군 시절에도 중대면이 아닌 구천면 소속이었다.도로 한가운데 섬처럼 자리잡고…
신창역
…는데, 당시의 역사는 217.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단층 모습이었다. 신창역은 지역의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성장과 쇠락을 반복해오다 2004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면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그러나 장항선 선로가 이설되면서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로 역사가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