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15 건 / 처리 시간 0.151초
인천역
…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시대에 이 지역을 '하인천', 동인천역 일대를 '상인천'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인천 토박이들은 인천역 일대를 '하인천'이라고 부른다. 인천역 앞 지구대 이름이 하인천지구대이다.서울 근교로 서울과 30㎞ 거리밖에 되지 않…
복정역
…모두 섬식 승강장이고, 8호선 중에서는 유일한 섬식 승강장 및 왼쪽 문이 열리는 역이다. 8호선은 2폼 3선식 역도 없으며, 복정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다. 신설된 별내선 구간도 모두 상대식 승강장이라서 앞으로도 계속 8호선의 유일…
고속터미널역
…분위기가 일신되었다. 엔터식스도 이 역에서 영업 중이다.이 역에서 반포역까지 지하로 걸어갈 수 있다. 강남터미널지하상가 고투몰을 거쳐 반포역 방면으로 쭉 가거나 한가람문구 옆으로 나있는 통로를 따라가면 된다. 후자의 통로는 원래 지하상가였으나 유동인구가 괴멸적…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이라고 불렸으나 동일 노선에 수색역이 있었기 때문에 2009년 인근 상암 디엠시(Digital Media City)지구의 명칭을 따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0년 12월 29일 인천공항선가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서울 지하철 6호선 618번…
상봉역
…하고도 연결되어 있다.↑ 청량리ㅣ12ㅣㅣ34ㅣ별내 ↓1 경춘 쾌속선청량리·서울·용산 방면23별내·마석·춘천·속초 방면42.1.3. 서울 지하철 7호선
[편집]
중화 ↑하ㅣㅣ상↓ 면목상 7호선노원·도봉산·장암 방면하건대입구·고속터미널…
홍대입구역
…고 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서울 지하철 2호선 239번.[1]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60 (동교동 165) 소재.경의·중앙 완행선 KJ35번, 인천공항선 HA03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지하188 (동교동 190-1) 소재.용산선을 지하화한 자리에 CENTRE PLAZA가 입점하였다.유동인구가…
공덕역
…하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서울 지하철 5호선 529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지하100 (공덕동 423) 소재.서울 지하철 6호선 626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지하200 (공덕동 439) 소재.경의·중앙 완행선 KJ37번.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92 (도화동 25-13) 소재.인천공항선 HA02…
지축역
…까지 고수한 두 역 중 하나이다. 즉 현재는 강원철도 측 구간도 서울교통공사 측의 역명판이 붙어있다.[4][1] 실제로 역사 자체는 지효로라는 다른 도로 상에 위치하나 우편업무 및 역무 편의를 위해 지축차량사업소 주소를 부여받았다.[2] 이로 인해 강원철도…
정자역
…부르던 지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2000년 행정동과 법정동 지명을 통폐합하면서 정자동으로 행정지명이 변경됨에 따라 2002년 역명도 변경되었다. '낭만적 삶'을 주제로 한 지하 3층의 지하역사로, 풍요롭고 세련된 언제나 추억하고 싶은 사랑과 여유…
천안역
…이 병점역에서 이 역까지 연장되며 경부선 전철의 남쪽 시종착역이 되었다. 2008년 장항선 전철과 충청선이 연장개통하며 같은 회사의 전차선 시종착역은 대천역과 대전역에게 넘겨주었지만 여전히 많은 열차들이 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장항선의 기점으로…
경기광주역
…여 아직도 90년대 구 광주읍내 수준 이상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답보하고 있는 좁디 좁은 광주 시가지를 좀 넓혀 보려는 의도도 작용했을 수 있다. 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확장되다 보면 현 시가지와 만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양재역
…에 일찌감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 대합실로 올라가는 계단도 좁아서 승객들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또한 양재동 일대에 최초로 들어선 지하철역이기 때문에 지하철 사각지대인 서초구 내곡동, 염곡동, 우면동 등의 주민들도 이 역을 많이 이용하며, 해당 지역과 이 역을…
도담역
…인 13칸만 끌고 가게 되었는데 시멘트 부족으로 인해 손해를 보았다. 유개차 1량, 컨테이너 화차 1량과 벌크차 4량이 폐차되었고, 전체 피해액은 약 4억2천286만원으로 집계되었다.5. 승강장
[편집]
↑ 삼곡|12|단양 ↓1…
진부역
…푸른 강원도의 하늘과 유독 잘 어울린다. 또한 내부 역시 눈꽃을 형상화한 사출물을 천장에 설치, 부드러운 간접조명을 통해 마치 역사 내부에서 눈꽃이 흩날리는 연출을 하고 있다. 특히 눈 결정으로 하나하나 수놓은 듯한 천장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지붕을 떠받친 8개의 배흘림기둥…
강릉역
…치고는 매우 작고 열악한 모습을 보여줬다. 강릉역의 모습은 강릉선 이전과 강릉선 이후의 강원철도를 투영한다는 의견이 많다. 다른 강원도 주요 도시들과는 달리 보통열차는 2량으로 단편성 열차만 운행하지만 그럼에도 강릉선 이후 강원철도에서는 공을…
만종역
…臺山강릉 방면횡 성18.3 km → 치악산선서울 방면동 화← 4.7 km쾌속快速제천 방면원 주4.9 km →[1] 경경선으로서의 개업일로, 이후 중앙본선 및 치악산선으로 개정됨.[2] 원주시내에는 원주역이 있으나 중앙본선이 개량되고 구선로는…
하양역
…단촐한 구성이지만 최소한 필요한 것들은 다 있으며 화장실도 작은 편은 아니다. 승차권 자동발매기는 2대가 설치되어 있다.2.1. 승강장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지만 공사로 인해 2면 3선으로 바뀌었다가 상행선 부분 승강장의 고가화가 거의…
달빛철도
…쌍도교통의 인수전이 펼쳐졌는데, 김준학이 이를 인수하였다.이광영 전임 대표가 이후 사면 복권되면서 쌍도교통 법인을 돌려주며 2024년 11월 15일 자로 다시 분리되었다.[1] 전임 대표 이광영의 성범죄 입건으로 인한 대표 공석[2] 하동역 역사는 쌍도교통이 소유하고 있다.
상록수역
…㎞ →당고개 방면반 월← 3.7 ㎞각역정차各驛停車오이도 방면이 동1.5 ㎞ →안산선 준쾌속은 산본역 이북부터 당고개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1] 이는 오류이다. 용신역은 가칭이었을 뿐 역명으로 쓰인 적이 없다.[2] 김유정역은 당시에…
인덕원역
…이라고 불렀다가 공용 여행 숙박시설인 원이 들어서면서 인덕원으로 바뀌었다. 이 원은 조선 후기에 없어졌지만 인덕원 일대는 교통의 요충지가 되어 인덕원사거리라는 지명으로 살아남았고 역명에도 반영되었다. 2024년에는 이 역이 위치한 행정동 관양2동이 아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