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입구역

최근 수정 시각: ()
弘大入口驛
Hongik Univ. Station

1. 개요 [편집]

기본 정보
[ 펼치기 · 접기 ]
관리역 등급 영업사업소
업무위탁역
(수색역 관리 / 동해철도 수도권서부지사)

파일:KANGWON_Wlogo.svg
개성과 젊음의 상징, 신개념 민자역사
홍대입구역은 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10년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 개통, 2012년 수도권 광역전철 경의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서울지하철과 인천공항선 , 경의중앙선 등 세 개의 노선이 연결되는 여객수송의 중심역으로 떠올랐다. 개성과 젊음의 랜드마크인 홍대입구역은 2018년 공덕역 등 경의선 일부 역사들과 함께 CENTRE PLAZA 복합역사로 지어졌다. 2만 844㎡의 넓은 부지에 300실 규모의 호텔과 쇼핑몰, 지하 역사와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현대식 복합민자역사로 경의선 숲길과 더불어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동해철도 공식 소개 문구

용산선을 지하화한 자리에 CENTRE PLAZA가 입점하였다.

유동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동해철도 역의 역 등급은 업무위탁역이다.

2. 팬덤 광고의 성지 [편집]

파일:Ado2홍대.jpeg
파일:홍대입구역_칸나광고.jpg
Ado 서울교통공사 역사 광고
아이리 칸나 동해철도 역사 광고
홍대입구역은 케이팝 아이돌이나 각종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팬덤 광고성지이다. 홍대입구역의 어느 곳을 봐도 광고판에 아이돌 광고나 오타쿠 캐릭터 광고가 한 개쯤은 걸려있다. 홍대입구역은 젊은 유동인구가 많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인접해 있는 곳이다 보니 젊은 층이 아이돌이나 오타쿠 캐릭터 광고를 내기 딱 좋다. 특히 애니메이트 홍대점이 CENTRE PLAZA 홍대점 구내에 있어서 오타쿠 캐릭터 광고는 동해철도 홍대입구역 쪽이 많다.

동해철도~지하철 사이의 환승통로, 3·4번 출구 쪽 통로에 많이 붙어 있다.

지하철 팬덤 광고는 보통 대상이 되는 아이돌 혹은 캐릭터의 생일에 맞춰서 올린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쪽 라이트박스가 매우 단가가 높다. 2호선 역들이 대체로 단가가 높은데 그들 중에서도 홍대입구역은 강남역, 삼성역, 신촌동역과 함께 최상위권이다. 반면 동해철도 쪽은 저렴하다.

2호선 쪽 라이트박스는 1개월(30일) 임차에 대략 700만 원(부가가치세 포함)[2] 정도 소요되는 반면, 동해철도 쪽은 1개월(30일) 임차에 대략 220만 원(VAT 포함) 정도이다. 2호선은 서울교통공사에서 광고사업자를 모집하여 사용료를 받고 광고판을 걸고, 동해철도 쪽은 관동기획[3]에서 광고 사업자를 모집해서 사용료를 받고 광고판을 걸고 있다. 동해철도에서는 이 자리에 가끔씩 강원도 관광이나 강원도 지역 고향사랑기부제 광고를 하기도 한다.

3. 승강장 [편집]

3.1. 서울 지하철 2호선 [편집]

3.2. 인천공항선 [편집]

엄청난 승객 수요를 감안하여 2호선 홍대역 섬식 승강장 너비만큼 상대식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이 역은 유일하게 전동차 안에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다는 방송을 한다.

3.3.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4. 인접 정차역 [편집]

4.1. 동해철도 [편집]

4.2. 서울교통공사 [편집]

신도림·강남 방면
합 정
← 1.1 ㎞
외선
外線
내선
內線
시청·왕십리 방면
신촌오거리
1.3 ㎞ →
[1] 개정 전 39번.[2] 2023년 700만원으로 인상됐다.[3] 동해철도 직속 광고사. K홀딩스 홍보및 동해철도, 관동여객 광고 시설 관리를 하고있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