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735 건 / 처리 시간 0.188초
태백본선
…고한읍 - 태백시(구 황지역)이며, 제천역에서 중앙선 및 충북선과, 태백시 백산역에서 영동선과, 그리고 정선군 민둥산역에서 정선선과 접속한다. 중앙선과 영동선을 빠르게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이며, 충북선과 비슷하다.38번 국도 강원도 구간[6]과 선형이 비슷하며, 철도판 38번 국도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을지로3가역
…으로 소개되고 있다. 1기 지하철 노선끼리 환승하기 때문에 개념환승에 버금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두 역이 십자로 교차하는 형태가 아니라 ㅓ에 가까운 구조라서 2호선 을지로4가역 방면 승강장 끝 쪽에서 약간 긴 통로를 따라 걸어야 3호선 승강장에 도착하…
성수역
…인천/신창 방면 ↔ 3호선 환승통로에도 있다.2호선에서 유일하게 스크린도어 역명판의 글씨체가 지하철체로 유지되어 있었다. 그리고 1차 교체대상 중에 유일하게 PSD 서울남산체 역명판을 부착하지 못했다. 교체 전 스크린도어도 서울남산체를 부착한 김포공항역…
교대역(서울)
…은 서초역을 위해 남겨두고 이 역에는 교대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리고 당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전신인 서울지방법원은 현 위치에 있지도 않았고[4], 현 위치로의 이전계획이 나온 것도 아니었다…
을지로4가역
…것이다. 특히 2호선-5호선 다음 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2-5호선 환승하는 것은 막장환승으로 매우 불편하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2-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4호선 승강장을 가로질러야 한다. 애시당초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2호선-4호선, 4…
독립문역
…오후 10시엔 매우 붐빈다.역의 선로 측 벽면에 그려져 있는 것은 태극기의 4괘다. 1기 지하철 중에서 이런 형태로 예술적인 멋을 살린 역이 몇 없어서 이 벽면의 존재 가치는 중요하다. 하지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후부터 보기 힘들어졌다…
신당역
…어있기에 황학동으로 들어간다. 환승통로는 2호선처럼 신당동에 있지만 퇴계로 북쪽이 황학동과 흥인동으로 나뉜다.2.1. 역무시설
[편집]
243m에 달하는 환승거리로 인해 막장환승 반열에 오른 역이다. 2호선이 네거리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6호선 기준으로 환승…
건대입구역
…건대입구)까지 이어지는 연결통로가 완공되었으며 이 통로를 통해 스타시티 영존과 스타시티가 연결된다. 흔히 건대상권이라고 불리는 건대맛의거리 쪽으로는 출구가 뚫려 있지 않기 때문에 3, 4번 출구에서 나와 길을 건너가거나 환승통로를 거쳐 1…
대청역
…더군다나 대청역까지 환승시켜버리면 수인·분당선은 수서역에 이어서 대청역까지 2연속 환승역이 탄생해버린다. 그리고 현재 강남구 수인분당선 역이 압구정로데오역에서 수서역까지 총 10개 역이다. 대청역 밑 수인·분당선 공사 때문에 10년 동안 3호선 열차가 대청역 주변을 지날 때는 서행을 했었다…
경의본선
…많은 지역의 중심지를 철도변의 요충지로 옮겼고, 과거 도강의 편리성을 위해 상류 쪽에 있었던 청천강변의 안주시와 압록강변의 의주군 구시가지를 대신하여 보다 하류지역에 신안주와 신의주라는 신시가지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이 중 평양과 신의주는 당시 평안…
충무로역
…인공암반 자체가 가연성이고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데다가 화재 시 연기가 시야를 가린 상황에서 인공암반에 머리를 박아 쓰러져 연기를 들이마셔 사망할 위험이 있었다.[4] 이 과정에서 긴 캡슐 모양을 하던 역명판이 교체되었는데 역시나 디자인서울의 영향을 받…
서울대입구역
…승강장이다.2호선 승강장은 승강장의 리모델링을 꽤 성의있게 한 역으로, 스크린도어로 가려져 있는 벽면 역시 동그란 타일 일부를 떼어내고 벽면으로 마감한 공간이 존재한다. 현 시점에서는 이렇게 벽면으로 마감을 하는 예가 거의 없어지…
송파하남선
…시의 3호선 원안 요구에 사업을 효율적으로 검토하여 3호선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하남시와 최종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그리고 국토교통부 주재로 하남시와 LH가 참석한 가운데 LH 용산 특별본부에서 열린 3호선 연장관련 관계기관회의에서 하남…
잠실나루역
…5호선 강동역, 둔촌동역에서 하차해야 한다. 다들 이 역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성내천이 근처에 있지만, 성내천은 강동구 성내동을 전혀 지나지 않는다.1기 지하철만 운행했을 당시에는 이 역이 성내동과 가장 가까운 역이어서 서울대입구역처럼 해당 지역으로 가는 이용객들이 이…
영동본선
…부로 복구 공사가 완료되어 폐지.동해~안인 구간은 열차 안에서 바다를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구간이다.[8] 그리고 KTX 운행 구간들 가운데 유일하게 열차 내에서 바다를 볼 수 있다.[9]험지를 지나가다보니 태백선과 마찬가지로 BT급전 방식을 채택하…
종합운동장역(서울)
…하지만 시종착역 시절의 X자형 회차선은 지금도 그대로 있다. 그리고 9호선 2차 구간이 개통되어 한시적으로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다가 3차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2.1. 서울 지하철 2호선
[편집]
2호선 종합운동장역은 서울종합운동장 정문…
사당역
…에서 시·종착했다. 1994년 4월 1일부터 4호선이 남태령역을 넘어서 과천선, 안산선과 직결운행하여 지금의 수도권 전철 4호선 운행 체계가 되었다.한때 병기역명으로 도보로 약 9분 거리에 있는 "대항병원"이 추가되었다가 2023…
고려대역
…많지만 역사 부지는 성북구 종암동에 많이 속해 있다. 그리고 인근에 성북구 안암동 경계도 지척에 있다.역사(驛舍)가 굉장히 깊은데 실제 역의 위치가 고려대 라이시움 바로 밑에 있고 고려대 부지를 지나가기 때문이다. 이 라이시움은 6호선 공사와 함께 설계 및 시공되었…
강남역
…에서 역간거리가 1km도 채 안되는 구간이라 강남역을 출발한 열차는 출발하자마자 광고방송과 안내방송이 나오고 신논현역에 도착한다.2호선 강남역은 서울대입구역, 영등포구청역과 더불어 승강장에 원형 모자이크 타일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다.역 개통 이래 오랫동안 강남역사거리에 있…
불광역
…번[1].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지하723-1 (불광동 14-1) 소재.서울 지하철 6호선 612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지하723-1 (불광동 14-1) 소재.3호선과 6호선이 각각 다른 지번주소의 역무실을 가지고 있는데도 도로명주소가 동일하다. 김포공항역과 비슷하다. 대조동 소재로…